• 제목/요약/키워드: 담화 중심 수업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Changes in Describing and Commenting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Prospective Teacher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9-424
    • /
    • 2014
  • 예비 교사 교육은 수업 전문성의 기초를 쌓는 시기라는 점에서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논문은 예비 교사가 초등수학교육방법론 강의를 수강하면서 초등 수학 수업을 기술하고 비평하는 능력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수업 기술 측면에서는 강의 초반보다 후반에 수업의 핵심적인 단계에 더 주목하게 되었고 학습 내용에 적합한 수업 전략의 활용 여부에 주목하게 되었다. 수업 비평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수업 전략과 수학적 담화에 대한 내용에 대해 교사를 중심으로 평가적 수준에서 대안 없이 비평하는 비중이 높았다. 다만 강의 후반에는 교사와 학생을 함께 고려하고, 수학 개념이나 이론을 적용하여 비평의 근거를 마련하며, 해석적 수준에서 비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예비 교사 교육에서 초등수학교육방법론 지도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초등과학영재 특성 도출을 위한 탐구활동에서의 담화분석 (Discourse Analysis for Deriv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Inquiry Activities)

  • 최미향;전영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69-388
    • /
    • 2010
  • 초등과학영재들의 학습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과학 탐구 문제를 협동 과제로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담화 분석도구를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은 서울의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과학반에서 1년 동안 공부한 4명의 초등학생이며, 이들이 모둠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녹화하고 녹음한 다음, 체계기능언어학에 바탕을 두고 정보-주제 구조를 중심으로 담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분석틀은 과학교육 및 영재교육 전문가들과의 집중 작업을 통해 개발하였으며 문법적 분석 보다는 의미의 전개 과정의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개발된 분석틀을 적용한 결과, 새로 개발된 분석틀이 초등과학영재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둠 구성원 중 두 학생은 탐구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대화의 점유율이 서로 상반된다는 특성을 보였는데, 이를 통해 학생 간 상호 작용이 문제 해결 과정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집단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영재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대방과 의사소통하는 방법에 대한 적절한 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

교사들의 수업 분석 특징에 대한 연구 -통계 지도를 위한 교사 지식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alysis of an Instruction :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tatistics)

  • 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19-542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현직 중등학교 교사 45명이 통계 영역의 수업을 분석한 결과를 검토하여 수업 실행과 관련된 교사 지식의 특징을 기술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과 관련된 논의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들의 수업 관찰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사들이 작성한 수업 분석문의 세부 내용을 코드화하였다. 이렇게 코드화된 분석문을 통해 통계 지도와 관련된 교사 지식의 실제적 특징을 확인하여 '수업의 목적', '교사의 역할과 담화', '자료와 공학 도구'의 관점에서 통계 교육과 관련된 몇 가지 이슈를 추출하였다.

  • PDF

국내 영어학과 수업 내 한·중·일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인식 (Perspectives on Learning English of Korean·Chinese·Japanese Students in an English Department in Korea)

  • 이영화;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50-65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상호작용, 그리고 희망사항을 중심으로 국내 한 대학 영어학과에 재학 중인 한국 중국 일본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참여자는 영작문 수업을 수강한 한국(32명), 중국(10명), 일본(14명)학생들이며, 자유설문지와 인터뷰가 주된 데이터이다. 분석을 위해 '의향내용분석'과 '비평담화분석' 모델이 사용되었다. 영어와 영어-한국어 동시 습득이 목표인 상황에서, 한국에서의 영어 학습에 대한 만족도는 일본학생(80%), 한국학생(71.9%), 중국학생(50%) 순이었으며, 일본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는 풍부한 인간관계에 기인하고 있었다. 세 그룹 모두에게 가장 어려운 요소는 영어 말하기였다. 외국학생들과의 소통을 위해 한국학생들(43.8%)은 한국어만 사용한 반면, 중국 일본 학생들은 영어와 한국어를 함께 사용하였다. 대다수 한국학생들(78.1%)은 외국학생들과의 친밀한 유대를 원하고 있음에도 상대방이 먼저 다가와 주기만을 바라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환경에서 학생들이 서로의 문화를 공유하고 보다 적극적인 영어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인식 행위로서 수업 담화 분석: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as an Epistemic Practice: Based o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 오필석;안유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269-2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stemic process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by analyzing classroom discourse as a epistemic practice. Data came from four elementary teachers in the form of video-recordings. A total of 12 elementary science lessons were examined to reveal the discursive modes and sequences in which the teacher and students participated when they constructed and developed scientific knowledge during the lessons. Three representative discursive patterns were found in the elementary science lessons explored: (i) 'Retrieving-Retrieving-${\cdots}$' by which well-established scientific knowledge was retrieved repeatedly, (ii) 'Exploring-Building on the Shared' which allowed introducing new scientific knowledge based on the scientific phenomena explored by the teacher and students together through practical work, and (iii) 'Retrieving-Elaborating/Reformulating/Narrating' or 'Building on the Shared-Elaborating/Reformulating/Narrating' which expanded and strengthened scientific knowledge already learned. These discursive patterns were suggested as discursive-epistemic mechanisms employed frequently in the epistemic process in elementary science lessons and as a basis for defining epistemic cultures of science classrooms.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나타나는 조별 모델 구성과정 이해: 제약조건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Group Modeling Process with Geological Field Trip applied on Social-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Focusing on Constraints)

  • 최윤성;최종림;김찬종;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3-32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을 적용한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생들이 만드는 조별 모델 구성 과정에 대해 제약조건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S 영재원 지구과학분과 3조,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관악산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를 주제로 야외지질답사 2차시,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 3차시로 진행하였다. 조별 모델 구성과정에 관해서는 Nersessian (2008)이 제시한 제약조건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 야외지질답사,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의 모든 담화,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야외지질학습에 적용한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 나타난 제약조건의 출처는 과학 이론, 야외지질답사에서 관찰한 내용,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추가로 제공된 것이 있었다. 두 번째 조별 모델링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종류의 제약조건이 있다. 조별 모델에는 조별 구성원 모두가 동일하게 가지고 있던 것으로 '공통적인 제약조건', 조별 구성원 일부가 가지고 있던 것 중 조별 모델에 반영된 '채택된 제약조건', 마지막으로 초기 모델에는 없었으나 조별 모델 구성과정에서 새롭게 나타난 '생성된 제약조건'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학교 과학에서 제약조건을 기반으로 조별 모델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지질학습이라는 수업 사례를 보여줌으로서 실제 적용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Methodological Review of Research Literature on the Expertise of Science Teachers)

  • 오필석;이선경;이경호;김찬종;김희백;전찬희;오세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66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 교사 전문성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구 방법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고찰해 보는 문헌 연구이다.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기존 연구들이 교사의 전문성에 관하여 공유하고 있는 기본적인 관점이 무엇인지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그동안의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방법들을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각각의 특징을 실제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때 분류된 연구 방법들의 유형은 질문지 또는 면담법, 시각적 표상을 이용한 방법, 수업 관찰 및 담화 분석, 그리고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러한 방법론적인 고찰을 통해 과학 교사 전문성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과 새롭게 시도해 볼 필요가 있는 연구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 방정숙;오민영;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31-549
    • /
    • 2023
  • 수학 지도서는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가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양상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0종의 수학 지도서에 대해 수, 연산, 도형, 측정,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 영역에 부합하는 6개 단원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 자원의 교사 학습 기회(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의 7가지 차원별로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educative features)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서에는 교수를 위한 수학 내용 지식이 풍부히 제공되지만 학생의 오류나 오개념 정보는 충분하지 않았다. 매 차시 수업 담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요점을 제공했지만, 근거나 구체적인 전략은 부족했다. 수학 내용 측면의 과정중심평가방안, 보충 및 심화 활동이 다수 있었지만 맞춤형 수업에 대한 설명은 부족했다. 교구 및 공학 도구 활용에 관한 교사 지식은 특정 단원이나 내용에 대해서만 제시되었고, 수학 공동체에 관한 교사 지식은 수학 교과 역량, 수학 교실 문화, 동기 유발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수학 지도서를 개선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러닝을 활용한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of Polite Expressions Using M-learning)

  • 김혜정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261-2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공손 영어 표현 학습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담화 능력 외에도 사회 언어적 능력이 필요하다. 상대방이 누구인지, 어떠한 대화 상황에 직면했는지, 대화의 주제나 목적 등에 따라 사회적 가치에 맞는 적합한 표현을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상대방의 지위나 나이가 화자보다 높거나 상대방과의 친밀도가 낮을 경우 한국인 화자는 공손한 표현을 구사하게 된다. 한국어는 언어 자체적으로 경어 체계를 지니고 있지만 영어는 이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영어의 공손 표현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손 언어 학습에 학습자들이 교실에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학습 교재로는 영국의 시대극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를 이용하였는데 이 드라마는 귀족들의 삶을 중심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공손 표현을 학습하기에는 매우 적합하다. 모바일 활용을 통한 공손 영어 학습의 효율성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네이버 밴드를 활용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팀별 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제반을 설정하였다. 두 반의 공손 언어 학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 번의 평가가 시행되었고 개방형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평가 결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은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모바일이 수업 후 활동으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인 학습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설문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공손 표현을 우아하거나 고급스러운 언어 형식으로 인지하거나 실용적 표현과 구분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대극을 이용하여 공손 언어를 교수할 경우 교수자들은 현대 영어와의 접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MiC 교과서의 함수 과제에 대한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에 관한 탐색 (A study on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in the Tasks of Function of Mathematics in Context Textbook)

  • 황혜정;최선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53-374
    • /
    • 2016
  • 우리나라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는 창의적 역량을 갖춘 융합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위하여 수학 교과 역량을 강조하였는데, 이 중 하나가 의사소통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상화 방정숙(2010)이 제안한 D.R.O.C 유형을 근간으로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요소를 탐색을 위하여 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를 선정하여 총 34개의 함수 내용 관련 과제에 속한 316개 문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교과서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유형별 요소에 따른 과제 중심의 수업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함수 내용의 특성상 주로 그래프로 나타내거나 해석하는 것과 같은 표현에 해당하는 문항들이 많음을 보였다. 또한 자신이 접한 내용, 문제 풀이 과정, 또는 자신의 판단이나 생각들을 언어를 통해 말하고, 동료들과 서로 설명해 보게 하는 담화 유형과 구체물을 이용하는 조작 유형들을 다룸으로써 처음 접하는 용어나 개념에 친숙하게 접근하도록 이끌고 있었다. 한 마디로, 의사소통 유형 및 요소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함수 관련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과제들이 비교적 풍부히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