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즙산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7초

계란 급여가 일반식이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C57BL/6 마우스의 혈중지질과 분변 담즙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n Egg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Profile and Fecal Bile Acid of C57BL/6 Mouse Fed Normal and High Cholesterol Diet)

  • 장애라;김동욱;박정은;최주희;강근호;함준상;오미화;설국환;이승규;김동훈;김현욱;황경아;황유진;김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0-256
    • /
    • 2011
  • 계란급여에 따른 혈중지질특성과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공시하여 일반식이군과 고콜레스테롤식이군으로 나눈 후 계란을 2%와 10% 첨가한 사료를 5주동안 급여하였다. 일반사양성적(체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혈액과 간조직, 분변의 지질함량 및 담즙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과 사료효율은 일반식이와 고콜레스테롤식이군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섭취량은 10% 계란 첨가구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HDL-C농도는 일반식이 급여군에서 2%와 10% 계란 첨가구 모두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간 조직 내 TG와 TC농도는 일반식이군에서 계란의 급여가 TG와 TC 증가에 영향을 미친 반면 고콜레스테롤식이군의 경우 TG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TC는 10% 계란 급여군에서 감소하였다(p<0.05). 분변의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담즙산 농도는 일반식이군과 고콜레스테롤식이군 모두 계란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TC와 TG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담즙산 농도 역시 일반식이 급여군에서 계란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여 계란이 분변의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담즙산과 cholesterol 및 phosphatidylcholine이 vacuolar apparatus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미세구조적 관찰 (Some Observations on the Fine Structure of Vacuolar Apparatus Affected by Dehydrocholic acid, Cholesterol and Phosphatidylcholine)

  • 신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4호
    • /
    • pp.465-47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담즙산과 cholesterol 및 phospholipid가 흰쥐 간세포내 소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이들 담즙물의 수송기전을 알아 보고져 하였다. 정상군과 각 실험군에서 관찰된 Golgi장치는 거의가 cis side를 담세관으로 향하고 있었다. 각 실험군에서는 ER과 Golgi 장치 및 용해소체 등 소기관의 수적 증가, 소조의 팽대, budding 등이 관찰되었다. Dehydrocholic acid 투여군에서는 cis Golgi cistern의 선상 팽대을 많이 볼 수 있었는데 공포(vacuole)들은 담세관과 Golgi 장치사이에서 관찰되었으며 ER과 담세관 사이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Cholesterol 투여군과 Phosphotidylcholine 투여군에는 Golgi 장치의 모든 소조들이 팽대되어 있었으며 ER 유래의 공포와 용헤소체가 증가되어 있었는데 용해소체의 증가는 특히 cholesterol 투여군에서 현져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담즙성분의 분비에 관여하는 주된 세포내 소기관은 ER과 Golgi 장치 및 용해소체로 추정된다. 그러나 dehydrocholic acid는 ER과 cis Golgi 소조 유래의 공포에 의해 분비되며 Cholesterol과 phosphatidylcholine은 ER에서 또는 trans Golgi 소조을 거친 후 용해소체를 통해서 배출될 것으로 추정되는데 특히 cholesterol은 용해소체를 통해서 빈번히 배출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acillus licheniformis의 생균제로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as a Probiotic)

  • 김진욱;전경동;강재선;장정수;하배진;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0권5호
    • /
    • pp.359-362
    • /
    • 2005
  • Bacillus licheniformis는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물질이다. 본 연구의 목포는 B. licheniformis의 낮은 pH (pH 2, 3, 4, 6, 7), 인공 담즙산, 높은 농도의 염 (0. 5, 10, 20, $30\%$) 그리고 에탄올 (0, 4, 3, 16, $32\%$)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려고 한다. B. licheniformis는 pH 3, 4, 6, 7에서 안정적인 생존율을 보였다. B. llicheniformis의 담즙 내에서의 최종 생존율은 $25\%$ 이하로 확인되었다. 높은 농도의 염에서는 B. licheniformis는 $10\%$의 염에서 최적 생존율을 보였다. licheniformis의 에탄올이 포함되지 않은 것에 비해 에탄올이 4, 8, 16, $32\%$ 포함된 것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그러므로 B. licheniformis가 pH 3, 4, 6, 7, 높은 농도의 염, 에탄올에서 안정하나 pH 2와 담즙산에서 불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율무쌀이 쥐의 혈장콜레스테롤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ix on Plasma Cholesterol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 박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2호
    • /
    • pp.89-98
    • /
    • 1988
  • 율무쌀이 흰쥐의 혈장과 조직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이지질 및 총담즙산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흰쥐에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시킨 실험식이를 자유급식하여 사양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증체량은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형장콜레스테롤 함량은 라이드 급여시 현저히 높았으며 라이드-ㅠ율무쌀을 급여시에는 가장 낮았다. 혈장의 중성지방 역시 라이드 급여시 높았다. 혈장의 인지질 역시 라아드 급여서 현저히 높았고 대두유군이 가장 낮았다. 혈장의 총담즙산 함량은 각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혈장 담즙산은 glycoursodeoxy cholicacid, tauroursodeoxy choilic acid와 cholic acid이었다. 3) 간의 단위무게당 총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역시 라이드- 율무쌀 급여시 현저히 낮았다. 4) 소장의 단위무게당 총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함량도 역시 라이드-율무쌀을 급여시 낮았다. 5)실험식의 소화율을 모든식이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콜레스테롤 보유율은 라이드-전분군이 가장 높았고 대두유-율무쌀군이 가장 낮았다.

  • PDF

각종 처리에 의한 Aflatoxin의 분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limination of Aflatoxin by Various Treatment)

  • 이정희;정영채;정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1-205
    • /
    • 1973
  • Aflatoxin의 각종 액성에 대한 변화와 위액, 담즙산, 각종 산과 알칼리 및 식염 농도에 따른 열처리시의 그 안정성 및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flatoxin은 액성의 pH가 산성에서보다 알칼리성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한편 $100^{\circ}C$에서 30분 열처리한 것은 $37^{\circ}C$에서 30분 처리한 것보다 더욱 aflatoxin이 감소하였다. 2) Aflatoxin에 대한 초산(醋酸), 염산, 황산을 각기 1%, 5% 및 10% 액으로 $20^{\circ}C$ 30분 처리할 때에, 초산은 $40{\sim}50%$, 염산은 $48{\sim}73%$ 및 황산은 $68{\sim}8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산화나트륨 및 암모니아의 1%, 5% 및 10%액으로 처리하면 완전히 aflatoxin이 파괴되었다. 3) 인공위액에 대한 aflatoxin은 $37^{\circ}C$ 60분에 약 75%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담즙산에 대하여는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때 파괴된 물질은 TLC 상에서 Rf치가 0.96이었으며 $220{\sim}420m{\mu}$ 까지의 UV spectrum에서 최대 흡수 파장대는 관찰할 수 없었다. 4) Aflatoxin에 식염을 가하여 $100^{\circ}C$ 30분 열처리하면 그 $39{\sim}55%$의 aflatoxin이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식염의 농도에 따라 그 변성도의 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몰로키아가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흰쥐에서의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lokhia (Corchorus olitorius) and Its Mucilage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 정창화;최인욱;김성란;석호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9-385
    • /
    • 2003
  • 국내산 몰로키아와 몰로키아 점질추출물인 mucilage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담즙산 흡착능과 콜레스테롤 식이를 투여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In vitro에서 mucilage는 몰로키아 열수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담즙산 흡착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흡착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 콜레스테롤 식이에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를 첨가한 경우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인 셀룰로오스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triglyceride 함량은 몰로키아 첨가군에서 증가되었으나 HDL-콜레스테롤인 경우는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이 몸무게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해 본 결과,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4.01{\sim}4.31%$이었으나 몰로키아 분말 섭취군에서는 $3.74{\sim}3.84%$, mucilage 첨가군에서는 $3.40{\sim}3.45%$의 낮은 값을 보여 몰로키아의 섭취로 간의 지질 침착이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간에서의 중성 지방 농도는 셀룰로오스 군에 비해서 몰로키아 분말과 mucilage 첨가군이, 콜레스테롤 함량은 몰로키아 10% 첨가군에서, triglyceride는 mucilage 1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몰로키아 분말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mucilage 첨가군도 셀룰로오스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5% 수준에서는 mucilage 첨가 군이 매우 높았으나 10% 첨가시에는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가자미식해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Gajami Sikhae)

  • 배은영;조기운;김지혜;정성근;조영제;김병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4-342
    • /
    • 2023
  • 가자미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 40종은 Lactobacillus plantarum spp., Leuconostoc mesenteroides spp., Lactobacillus brevis spp., and Weisella paramenteroides spp.로 확인됐으며, 40종 중 10종을 선별해 검사에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자미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을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하기 위해 산 및 인공위액 저항성, 담즙산 저항성, 자가 응집성, 공동 응집성, 세포 표면 소수성 등의 프로바이오틱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리한 유산균주는 산성 및 인공 위액에 대해 저항성을 보여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L. plantarum GS11이 가장 뛰어난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담즙산 저항성 측정 결과 모든 유산균주가 108~109 log CFU/ml의 생균수로, 100% 이상의 생존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세포 표면 부착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응집력 평가를 한 결과, autoaggregation 능력을 46% 이상 나타내었다. 세포 표면 소수성 평가를 위해 Xylene 부착능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주에서 32.2%의 소수성을 가지는 B. subtilis 보다 더 뛰어난 세포 부착률을 보여주었다. 이와같이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될 만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L. plantarum GS12와 L. plantarum GS13을 제외한 유산균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가자미 식해에서 분리된 유산균은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진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약물전달체로서 디옥시콜산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oxycholic Acid-Grafted Hyaluronic Acid as a Durg Carrier)

  • 최창용;박준규;김원석;장미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19-12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전달체로 응용하기 위하여 천연고분자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에 소수 성기 도입을 위하여 담즙산(bile acid) 중 하나인 디옥시콜산(deoxycholic acid)(DA)을 개질하여 양친성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이를 항암제 전달체로 응용하고자 하였다. 디옥시콜산이 결합된 히알루론산(HADA)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1H$ NMR, FTIR, spectrophotometer와 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디옥시콜산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에 항암제(파클리탁셀)를 투석방법을 통하여 봉입시켰고, in vitro에서 KB 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디옥시콜산이 결합된 히알루론산이 항암제 전달체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시판(市販) 담즙(膽汁) 생약(生藥)중 주요(主要) 담즙산(膽汁酸)의 분리(分離)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Major Bile Acids i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 박종대;유승조
    • 생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9-146
    • /
    • 1984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is described for the analysis of bile acids after hydrolysi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and ox and pig galls. They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with HPLC mobile phase of acetonitrile/0.5% ammonium carbonate (pH 6.7) (25.5 : 74.5) at a flow rate $(1.0{\rightarrow}1.5ml/min.)$ and differential refractometer. The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and recovery test are good by using the method. The analysis of major bile acid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using the described method is presented. Sample no. 1 of them is similar to separation pattern of ox gall. Sample no. 6 of them is supposed to be genuine bear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Sample $no.\;2{\sim}5$ and 7 of them are supposed to be pig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hyodeoxycholic acid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pig gall.

  • PDF

동치미 유래 생균제로서 가능성이 있는 Lactobacillus sp. FF-3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p. FF-3 for Probiotics Production from Korean Dongchimi.)

  • 정원복;서원석;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06-410
    • /
    • 2003
  • 생균제로서 가능성 있는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발효식품인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내산성, 내담즙성, 내췌장 액성 및 유해균 억제능을 조사하였다. 특히 분리된 균종 중에서 FF-3가 인공위액과 담즙산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Salmonella sp. 과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FF-3유래 박테리오신은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에서 넓은 항균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선별된 FF-3 균주를 16s rDNA sequence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sp.으로 확인되어 FF-3으로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