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담수환경

Search Result 96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ow can we better understand microplastic pollution in the river environments? (어떻게 담수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 Kim, Kyung Min;Jeong, Ha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2-382
    • /
    • 2021
  • 인간이 만들어내는 미세플라스틱은 물환경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담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생성, 운송, 축적, 그리고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담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관리를 위해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오염원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지, 또 어떤 인간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 등에 대한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 미세플라스틱의 실측자료가 확보된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담수 미세플라스틱과 측정망 수질항목(pH, BOD, DO, T-N, T-P, SS) 및 토지이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담수 미세플라스틱의 가능한 거동과 관리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환경칼럼 - 담수생물자원은 미래의 국가자산이다

  • An, Yeong-Hui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9
    • /
    • pp.2-4
    • /
    • 2015
  • 육상생물자원이 연구 및 활용의 대상이었다면 가까운 장래에는 잠재적 개발가치가 큰 담수생물자원에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중생태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담수생물이야말로 우리의 귀중한 자산이며 미래 번영의 필수 요소가 될 것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담수생물자원을 연구하는 기관이며 앞으로 생물자원 연구의 선두에 서게 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 모든 분들의 격려와 뜨거운 성원을 부탁하는 바이다.

  • PDF

Contaminant Release under Different Redox Conditions from Sediments in Seawater and Freshwater (해수와 담수에서의 퇴적저니 용출특성)

  • 최동호;배우근;신응배;심호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4a
    • /
    • pp.62-65
    • /
    • 2001
  •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환경에서 퇴적 저니로부터의 오염 물질 용출률을 조사하였다. 축산폐수와 산업폐수의 영향을 받은 두 지점의 퇴적저니 시료에 대해 해수와 담수로 장기(약4주) 용출 시험을 행한 결과, 해수보다는 담수에서의 오염물질(영양염류 및 중금속) 용출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담수에서의 이온강도(ionic strength)가 상대적으로 낮아 오염성분의 포화농도가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용존산소의 농도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무산소 상태에서의 용출률이 호기성 상태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이 생물학적인 것인지 화학적인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시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산소 상태의 담수에서 오염물질의 용출이 극대화되며, 따라서 강어귀 등과 같이 유속이 작아져 오염물질의 침강은 잘되는 반면 오염물질의 해수에 의한 희석 효과는 적은 경우가 저니로 인한 수질 환경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된다.

  • PDF

Detection of Freshwater Jellyfish (Craspedacusta sowerbii Lankester, 1880) by Biofilm eDNA in Miho River Watershed (미호강 수계 생물막의 환경유전자를 이용한 담수해파리 (Craspedacusta sowerbii Lankester, 1880) 유전자 탐색)

  • Keonhee Kim ;Hyeonjin Cho ;Jeong-Hui Kim;Yun-mo Yang;Hyunji Ju;Hyun-Gi J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3
    • /
    • pp.250-258
    • /
    • 2023
  • Freshwater jellyfish, a type of jellyfish exclusively found in freshwater, has a limited number of species but is found globally. However, their ecology and causes of occurrence are largely unknow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of polyps, which produce the larvae of freshwater jellyfish, can provide important data for comprehending their ecolog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I gene of freshwater jellyfish using environmental DNA from the microbial film in the Miho River system. Among the 12 survey points in the Miho River watershed, genetic material of freshwater jellyfish was detected in 8 points, mainly located upstream near reservoirs. These genetic materials were identified as genes of the well-known freshwater jellyfish species, Craspedacusta sowerbii. Notably, the C. sowerbii genes found in the Miho River watershed survey points were closely related to a species previously discovered in Italy. Consequently, utilizing environmental DNA to explore the genetic traces of freshwater jellyfish enables rapid screening of areas with a high likelihood of freshwater jellyfish occurrence. This approach is deemed to provide cruc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freshwater jellyfish in Korea.

First Record of Four Yeast Strains Isolated from Freshwater in Korea (국내 담수환경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효모 4종 보고)

  • Yoosun Oh;Wonsu Cheon;Hye Yeon Mun;Jaeduk Goh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51 no.4
    • /
    • pp.349-359
    • /
    • 2023
  • Freshwater ecosystems are significant habitats of fungi including yeasts. This study aimed to isolate and characterize wild yeasts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in Korea. The yeast isolates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D1/D2 domains of the 26S rDNA regions. We identified four strains, Candida viswanathii (NNIBRFG39781), Curvibasidium cygneicollum (NNIBRFG49003), Oberwinklerozyma silvestris (NNIBRFG39803) and Vishniacozyma foliicola (NNIBRFG6120). These yeasts had not previously been recorded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yeasts. All of them grew on YPD, PD and YM media. Candida viswanathii (NNIBRFG39781), O. silvestris (NNIBRFG39803) and V. foliicola (NNIBRFG6120) grew in YPD medium containing glucose and in pH range of 4-8. Curvibasidium cygneicollum (NNIBRFG49003) grew well low temperature compared to others and slowly.

A Feasibility Study on Mid-watershed Representative Station of Suyeong-river based on Field Measurement (현장 계측 기반 수영강 중권역 대표지점 선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 연구)

  • Lee, Ho Soo;Lee, Jae Kwang;Tak, Yong Hun;Kim, Yo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8-128
    • /
    • 2018
  • 하구는 강이 흘러 바다로 유입되는 지역으로 강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만나는 강의 하류에 형성되며 지형, 담수의 유입, 해수의 조석 등에 의해 염분분포가 변화 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하구에 형성되는 하구역은 조수 간만의 차로 인한 상하운동이 일어남으로 인해 염분 농도는 0.5~30 ‰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하구는 해수가 미치는 최대 경계인 감조역과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기수역이 나타나며, 하구에서의 염분의 변화는 동 식물의 생존 및 분포, 수자원 확보 및 관리, 구조물 설치 등 공학적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염수쐐기와 조석의 영향으로 하구의 수층에서는 담수 및 염분분포가 지점에 따라 다르게 형성이 되기 때문에 하천 수질측정 시 염수에 의해 대표성이 결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다로 유입되는 수영강을 대상으로 염분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권역 대표지점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수영강은 부산 용천산에서 발원하여 회동수원지를 거쳐 온천천과 합류하여 남해로 유입된다. 수영강에 위치한 좌수영교와 수영교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연직 염분분포를 분석하여 하천수질 측정지점의 대표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만조에서 간조로 수위가 변화 할 때 표층의 담수층이 옅어지는 현상을 보이며 소조기 보다 대조기에서의 담수층 변화 폭이 커지며 수질측정 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II)

  • 고기원;박윤석;박원배;문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72
    • /
    • 2003
  • 제주도 동부지역에 설치한 심부관측정과 지하수 개발공에 대한 시추코아 지질검층, EC 및 수온검층, 지하수위 관측, 수질조사 등의 자료를 기초로 이 지역의 지하지질 분포와 지하수 부존특성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였다. 제주도 동부 해발 200m 이하지역은 평균 해수면 하 90~120m 깊이까지 투수성이 좋은 용암류 누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서귀포층 상부에 유리쇄 설성 각력암층(hyaloclastite breccia)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어 담수지하수의 확산과 해수의 유입이 잘 일어날 수 있는 지질상태를 이루고 있다. 특히 서귀포층은 G-H비에 의한 담.염수 경계면 분포 깊이보다 깊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어 제주도 서부지역에서처럼 담수지하수를 저류 해주는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동부지역 지하수체는 수직적으로 담수지하수, 저염지하수, 염수지하수로 구분할 수 있으며, Ghyben-Herzberg 원리가 적용되는 담수렌즈(기저지하수) 두께는 일반적인 G-H비 보다 훨씬 얇은 평균 1:20의 비율을 나타냈다. 담수렌즈는 대체로 해안으로부터 내륙쪽 8km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담수렌즈 포장량은 822백만톤(공극율 5%)에서 1,970백만톤(공극율 1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 PDF

새만금방조제에서 해수-담수 경계면 예측

  • 박유철;김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32-535
    • /
    • 2003
  • 새만금 방조제를 통하여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해수 침출수량과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서의 해수와 담수 사이의 상호작용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밀도 차이에 의한 흐름을 고려한 지하수 흐름 지배 방정식과 염류의 분산 및 이송 지배 방정식을 결합시킨 수치해석 모델이 이용되었다. 밀도류를 고려한 경우에는 밀도류를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해수 침출량은 다르지 않았으나, 해수 침출면의 길이가 축소되고 유속이 증가하였다. 부정류상태의 해수-담수 경계면은 정류 상태의 결과와 매우 달랐으며, 해수 침출면이 방조제의 하부가 아닌 상부에 존재함을 보였다.

  • PDF

광양만의 유기물 증가 환경에서 주요오염원과 오염원의 영향권

  • Lee, Yeong-Sik;Gang, Chang-Geun;Choe, Yong-Gyu;Lee,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69-272
    • /
    • 2006
  • 유기물 증가에 미치는 환경인자를 중심으로 그 수평분포 특성, 원인, 주요오염원의 영향권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해 표층 해수와 표층 퇴적물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물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주요 오염원은 크게 섬진강과 동천 등의 담수, 광양시 생활하수, 여수산업단지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었다. 해수와 퇴적물의 환경인자에 대한 수평분포 특성과 해수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이들 주요 오염원의 영향권을 구분한 결과, (I)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 (II) 광양시와 동천의 영향이 큰 해역, (II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오염원의 영향권별 수질환경인자의 특성으로는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과 $SiO_2$-Si, 담수와 생활하수의 영향이 큰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 $NH_4$-N, $SiO_2$-S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표층해수의 경우 높은 수온, 높은 농도의 $NH_4$-N과 $PO_4$-P, 퇴적물의 경우 높은 농도의 $NH_4$-N, $PO_4$-P, $SiO_2$-Si로 특징지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