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담도폐쇄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19초

신생아 황달에서 $^{99m}Tc-DISIDA$ 간담도 스캔: 감별진단에서 간 섭취율의 유용성 ([ $^{99m}Tc-DISIDA$ ] Cholescintigraphy in the Evaluation of Neonatal Jaundice: The Usefulness of Hepatic Uptake in Differential Diagnosis)

  • 박병란;지주연;김세종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2-496
    • /
    • 1995
  • 저자들은 신생아 황달에서 간담도 스캔의 결과를 판정하는데 있어서 간 섭취율의 차이가 담도폐쇄증과 신생아 간염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1) 신생아 황달로 간담도 스캔을 시행한 38명의 환아중 24시간 지연 영상에서도 장내 방사능이 관찰되지 않은 14명중 확진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1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2) 13명의 대상 환아중 담도폐쇄증이 4명, 신생아간염이 9명이었다. 3) 담도폐쇄증과 신생아 간염을 감별진단하는데 있어서 간 섭취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두 질환간의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간 섭취율의 차이는 없었다. 4) 간담도 스캔은 장내 방사능의 유무로 두 질환을 감별시 민감도가 100%인 우수한 검사법이지만, 지연영상에서도 장내 방사능이 관찰이 안되는 경우에 대하여서는 Jaw등12)과 같이 십이지장액의 방사능을 측정하거나 또는 다른 보조적인 검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에서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for Biliary Obstruction by Secondary Malignant Biliary Tumors)

  • 윤원섭;김태현;양대식;최명선;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35-43
    • /
    • 2003
  • 목적 :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페쇄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 고식적 치료 효과, 예후인자, 치료에 수반된 부작용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2월부터 20이년 8월까지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가 발생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5세부터 82세(중앙 연령 58.5세)였다. 대상 환자를 원발 종양 부위에 따라 분류해 보면 위암이 12명, 담낭암이 6명, 간암이 3명, 췌장암이 2명, 대장암이 1명이었다. 환자의 중앙 추적조사기간은 7.2개월(3$\~$76개월)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24명 중 18명에서 시행하였으며 매일 1.8$\~$2.5 Gy씩 주 5회 분할치료를 하였고 30$\~$61.2 Gy (중앙값 50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었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는 주당 2회에서 3회를 치료하였고 16명의 환자는 일일분할선량을 3 Gy로, 8명의 환자에서는 분할선량을 2.5 Gy로 하루 2회 시행하는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의 총조사선량은 9$\~$3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결과 : 대상 환자 24명 중 22명은 추적기간 중 사망하였다.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3개월이었고 6개월 이상 생존한 환자는 13명(54.2$\%$),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20.8$\%$)이었다. 단일변량분석에서 1년 이상 생존에 영향을 준 유의한 인자는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200)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도 총 방사선량(50 ey 이상)(p=0.0337)이 유의성을 보였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5명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로 인한 담도염이 의심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치료후 7개월에 혈액담즙증(hemobllla)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기 합병증보다는 종양의 국소적인 진행에 의한 천공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 담도의 배액술을 시행한 후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할 경우 기존의 배액술만 시행한 환자에 비해생존기간의 연장이 기대되었고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외부방사선치료에 추가할 경우 추가 방사선량은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었고 예후인자인 총 방사선량을 늘릴 수 있었다. 외부방사선치료 및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대증 요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안전한 치료였다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의 유증상 이탈 발생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for Symptomatic Dislodgement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Catheter in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 유희정;박정구;정규식;서광일;박현준;윤종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50-1360
    • /
    • 2023
  • 목적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을 시행할 때 유증상 이탈을 유발하는 예측 인자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572명의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시행한 733건의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카테터의 거치 기간, 접근 위치, 카테터 팁의 위치, 삽입 각도, 피그테일 루프의 유무, 도관 직경을 평가하였다. 결과 추적관찰 기간 동안 157명의 환자에서 224건(30.56%)의 도관 이탈이 발생하였다. 그중 146건(19.92%)가 유증상 도관 이탈이었다. 배액관 이탈 발생까지의 기간은 평균 30일(범위: 1-159일)이었다. 유증상 도관 이탈은 배액관의 교체(137명) 또는 담관 스텐트 삽입(9명)을 통해 치료하였다. 남성(교차비: 1.636, 95% 신뢰구간: 1.131-2.367, p = 0.009), 우측 접근(교차비: 1.567, 95% 신뢰구간: 1.080-2.274, p = 0.018), 도관 삽입 각도 증가(교차비: 1.015, 95% 신뢰구간: 1.005-1.026, p = 0.005), 불완전 피그테일 루프(교차비: 1.672, 95% 신뢰구간: 1.098-2.545, p = 0.016)가 독립적인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도관 유증상 이탈의 예측 인자였다. 결론 유증상 이탈을 유발하는 예측인자에는 남성, 우측 접근, 도관 삽입 각도 증가, 불완전 피그테일 루프가 있다.

경피경간담도배액술로 치료한 외상 급성 췌장염에 의한 폐쇄 황달 (A Case of Obstructive Jaundice Secondary to Traumatic Pancreatitis Treated with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 박지숙;백종근;염정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신태범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2호
    • /
    • pp.204-209
    • /
    • 2010
  • 소아에서 외상 급성 췌장염은 드물기는 하지만 주로 자전거 손잡이에 의한 복부 둔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손상의 정도에 따라 개별화되며, 저자들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췌장 도관의 손상과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외상 급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췌장 거짓낭이 주로 발생하지만 저자들은 췌장염의 보존적 치료 경과 중 원위부 총담관의 협착과 담즙찌꺼기에 의한 담도 폐쇄를 경험하였고 경피경간담도 배액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담도폐쇄 (Biliary Atresia)

  • 한석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14
    • /
    • 2011
  • Biliary atresia (BA) is an infantile cholestatic disease of progressive obliterative cholangiopathy with varying degrees of damage to both extra and intrahepatic bile ducts due to unknown causes. The diagnostic studies should be done to diagnose or exclude BA without unnecessary delay. Kasai portoenterostomy i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for bile drainage from microscopic bile ductules present in the portal fibrous mass. The medical management after Kasai portoenterostomy should be done carefully to maintain bile excretion and prevent and treat complications Including cholangitis, hepatic fibrosis, portal hypertension and nutritional problem. The reported five years-survival rates after Kasai portoenterostomy range from 30 to 60 %. About 20 % of all patients undergoing Kasai portoenterostomy during infancy survive into adulthood with their native liver. Even if Kasai portoenterostomy remains as the first line of treatment In BA, liver transplantation serves as a good salvage treatment when portoenterostomy fails or liver function gradually deteriorates after initially successful establishment of bile flow, Overall 5-year survival rate in BA is about 90 % in recent series.

  • PDF

간섬유화스캔을 이용한 선천성 담도 폐쇄증의 최적 수술시기 시험적 제안 (Tentative Proposal of Optimal Timing of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Based on Fibroscan Results)

  • 이화영;박영아;한석주;고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74-80
    • /
    • 2011
  • 목 적: 선천성 담도폐쇄증의 일차적 치료로 알려진 Kasai 수술에서의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로 수술 시기가 중요하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 환아들을 수술 시기별로 분류하고 간섬유화 스캔을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얻어진 간탄성률값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간 섬유화 변화를 비교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최적의 수술시기가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지 재확인 하고자 한다. 방 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Kasai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후로 간섬유화 스캔을 시행한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수술 시기별 간탄성률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수술 시기가 빠를수록 수술 전과 후 모두에서 간탄성률 결과값은 좋았고, 특히 8주 이전에 수술을 시행 받은 경우 그 이상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군보다 수술 후의 간섬유화가 적게 진행되었고 일부에서는 회복되었다. 또한 8주 수술 전후의 각 탄성률 간의 차이값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Kasai 수술의 시기가 이를수록 수술 전 간 섬유화가 적고, 적어도 8주 이전에서 Kasai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수술 이후의 간섬유화가 양호하였으며 수술전후의 간섬유화 진행 정도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섬유화스캔을 바탕으로 적어도 8주 미만의 연령이 Kasai 수술을 시행 받기에 최적의 시기임을 재확인하였다.

전국 회충란 양성률 감소에 따른 담도 및 기타 외과적 회충증의 감소 양상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biliary and other surgical complications of ascariasis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its national egg prevalence in Korea)

  • 채종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01-112
    • /
    • 1991
  • 한 지역사회에서 최충 감염을 반드시 관리해야 하는 궁극적 이유 또는 그 당위성에 대하여 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것은 회충 관리 결과 충란 양성률이나 감염량의 감소 이외에 실제로 무엇이 호전되었는지를 알기가 그리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전국적으로 시행해 온 회을 집단관리 사업이 성공적 결실을 맺게 됨에 따라 국내 각 종합병원급 이상의 담도(또는 담석증), 충수, 췌장 등에 대한 수술 환자 중 회충미립중(迷入症)의 빈도가 크게 감소된 점을 중시하고 이들 외과적 회충중의 감소를 우리 나라 회충 관리의 실질적 효과 중 하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 국민의 회충 감염률 감소 양상은 전국 학생 검변 자료(1969~1989) 및 전국민 장내 기생충 감염현황 자료(1971, '76, '81, '86)에서 파악하였다 외과적 회충증의 빈도는 주로 문헌 고찰에 의하되 1959~1990년 사이에 외과학회지 등에 발표된 담도 질환, 충수염, 췌장염, 장폐쇄 등에 관한 논문을 총 망라하여 참고로 하였다. 분석 결과 종합병원중 이상의 총 담도 수술례(또는 총 담석증례) 중 회충 미립이 차지하는 비율을 YA(또는 YB)라 할 때 YA(또는 YB)의 감소 양상은 전국 학생 회충란 양성률(X)의 감소와 매우 밀접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치로 표시하면 $Y_A=0.25X^2+0.013(r=0.96),{\;}Y_B=0.19X^2+0.016(r=0.94)$의 관계를 보였다. 다른 외과적 회충증의 경우에도 담도 회충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결국 우리 나라의 회충 관리사업은 회충 감염률 및 감염량의 감소 뿐만 아니라 회충 감염시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인 담도 회충증 또는 기타 외과적 회충증의 빈도를 격감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담도 폐쇄증 환아에서 우연히 발견된 간엽 과오종 1례 (A Case of Mesenchymal Hamartoma Associated with Biliary Atresia)

  • 최경단;서정기;신언우;고재성;김우선;박영수;강경훈;지제근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113-119
    • /
    • 2001
  • 소아에서 간의 간엽 과오종은 주로 복부팽만을 주소로 내원하여 대부분 2세 이내에 발견되며, 비교적 크기가 큰 낭종의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담도 폐쇄증으로 Kasai 수술받은 8개월 여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상 작은 기질성 종괴를 우연히 발견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간엽과오종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99m}Tc-DISIDA$ 간담도 스캔상 담도폐쇄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적 특성 -초음파 검사상 정상 소견을 보인 9예를 중심으로-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Biliary Obstruction Diagnosed by $^{99m}Tc-DISIDA$ Scan -In 9 Cases with Normal Ultrasonographic Findings-)

  • 박봉철;양수현;채동호;박성기;변종훈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2-85
    • /
    • 1992
  • To evaluate the role of hepatobiliary (DISIDA) scan in the diagnosis of biliary obstruction, we studi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9 cases with biliary obstructuon, whose hepatobiliary scans and ultrasonography were not concordant (normal ultrasonography and abnormal hepatobiliary sc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chief complaints (89%) were abdominal pain, especially in RUQ area. The levels of serum bilirubin were elevated in 67% of patients $(normal\sim5.9mg/dl)$ and those of alkaline phosphatase were elevated in 78% of patients $(normal\sim724U/L)$. 2) The final diagnoses were CBD stones (67%), tumor (22%) and 3 cases were associated with C. sinensis. 3) The major obstruction sites were in distal CBD (89%).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hepatobiliary scan is a useful diagnostic method of biliary obstruction, especially in distal CBD lesion and early stage, in spite of normal ultrasonograph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