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 입자

Search Result 48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reparation of Monosized Titanium Dioxide Powder from TEOT (TEOT로부터 TiO₂단분산 분말 합성에 관한 연구)

  • 안영필;최석홍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25 no.5
    • /
    • pp.50-50
    • /
    • 1988
  • The controlled Ti(CO2H5)4 hydrolysis reactions for the synthesis of Spherical Monodispersed Titania powders are describe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EOT and the molar ratio of water to TEOT in alcohol solution decrease the reaction time and the particle size. The reaction time is delalyed by increasing the chain length and the number of carbon branches of alcohol as a solvent. The prepared powder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8μ and the spherical monodispersed transfer to Rutile phase at 550℃.

Treeing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Epoxy-Nanocomposites according to Silane Treatment (에폭시-나노콤포지트의 실란처리에 따른 트리잉파괴 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61-261
    • /
    • 2009
  •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포함한 에폭시수지인 나노콤포지트를 장시간 트리절연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하였다. 층살실리케이트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월등하게 긴 트리잉파괴 시간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와 에폭시수지 계면의 효과를 연구하기위해 silane coupling agent을 나노입자에 표면처리하여 장시간 트리잉 파괴에 초점을 맞추었다. 에폭시수지와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사이 커플링 의한 계면결합은 단시간 절연파괴강도와 장시간 트리잉파괴 시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그 결과는 침선단에 교류 전계강도가 781.42kV/mm(교류 15kV, 침선단 곡률반경 $5{\mu}m$) 절연파괴시간을 측정한 결과 나노입자가 충진된 경우 트리개시시간이 24,726분이었고, 파괴에 이르는 시간은 29,213분이 걸렸다. 반면에 실란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 파괴시간은 11,591분 이었다. 충진된 층살실리케이트 나노입자의 함량은 3wt%로 하였으며, 이와같은 파괴시간 지연 결과의 향상이 152%향상된 결과는 계면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되어 나타낸 경우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Heterogeneous $CaCO_{3}-CaSO_{4}$ Single Particle using Ultra-thin Window EPMA (Ultra-thin Window EPMA를 이용한 $CaCO_{3}-CaSO_{4}$ 혼성의 단일 입자 분석)

  • ;;R. Van Grieken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87-90
    • /
    • 2000
  • 대기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반응을 연구하는 것은 대기 오염 화합물의 이동이나 소멸, 환경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긴요하다. 특히 입자상 물질과 기체상 화합물과의 반응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대기 오염물질의 거동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 중에 EPMA(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단일 입자 분석법(Single Particle Analysis)은 개개 입자의 형상과 크기 그리고 화학 조성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개개 입자의 생성, 이동, 반응성, 소멸 그리고 환경에의 영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중략)

  • PDF

Ultrathin Window EPMA를 이용한 서울에서의 입자상 물질 분석

  • ;;;R. Van Grieken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5-336
    • /
    • 2000
  • 도시 대기는 복잡한 성분을 가진 입자상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검댕 입자나 비산재(fly ash)등과 같이 일차오염물질과 복잡한 대기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이차오염물질이 혼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은 대부분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입자상 물질과 유기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탄소 입자는 도시의 미세 입자 중 거의 반 정도를 차지한다. (Ro et. el., 2000)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기에서의 입자상 물질에 대한 분석을 EPMA(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단일 입자 분석법(Single Particle Analysis)을 가지고 행하였다. (중략)

  • PDF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Sensitivity of Combustion Instability for Solid Rocket Motors (입자 크기 분포도를 고려한 고체로켓 모터의 연소 불안정 민감도 예측)

  • Joo, Seongmin;Kim, Junseong;Moon, Heejang;Ohm, Wonsuk;Lee, D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9 no.5
    • /
    • pp.37-45
    • /
    • 2015
  • Predic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within a solid-propellant rocket motor has been conducted with the classical acoustic analysis. The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instability has been analyzed by comparing the log-normal distribution to the fixed mono-sized particle followed by a survey of motor length scale effect between the baseline model and small scale model. Particle damping effect was more efficient for the small scale motor which has a relatively high unstable mode frequenci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prediction results by consider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how an overall attenuation of fluctuating pressure amplitude with respect to the mono-sized case.

Technology Trend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ic Particles by SPG Technique (SPG 막유화법을 이용한 고분자 입자 제조기술의 동향)

  • Lee, Sang-Kug;Kim, Sung-Wook;Choi, Kyoung-Ho;Lim, Eun-He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4 no.3
    • /
    • pp.222-231
    • /
    • 2009
  • Shirasu-porous-glass (SPG) membrane emulsification is highly attractive in the field of toner industries, foods and drug delivery systems because of its easy control of particle size in micro-scale, narrow size distribution and multiple emulsion. The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emulsion droplets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type of initiators, additives, monomers, crosslinkers and inhibitors in SPG membrane emulsification. In this paper, principles of SPG membrane emulsification, influence of process parameter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have been addressed.

Electrochemical Study of Electrode Material of Ni-MH Battery for HEV and PEMFC Fuel Cell (HEV 및 PEMFC 연료전지용 니켈수소 전지의 전극재료에 대한 전기화학적 평가)

  • Kim, Ho-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2
    • /
    • pp.24-28
    • /
    • 2006
  • Electrochemical hydrogenation/dehydrogenation properties were studied for a single particle of a Mm-based(Mm : misch metal) hydrogen storage alloy($MmNi_{3.55}Co_{0.75}Mn_{0.4}Al_{0.3}$) for the anode of Ni-MH batteries. A carbon fiber microelectrode was manipulated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an alloy particle, and the cyclic voltammetry and the galvanostatic charge/discharge experiments were performed. A single particle of the alloy showed the discharge capacity of 280[mAh/g], the value being 90[%] of the theoretical capacity. Data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posite film consisting of the alloy particles and a polymer binder, which is more practical form for Ni-MH batteries. Additionally, pulverization of the alloy particles are directly observ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mposite film electrodes, the single particle measurements using the microelectrode gave more detailed, true information about the hydrogen storage alloy.

Single Particle Characterization of Aerosols at Cheju Island, Korea, Using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를 이용한 제주도 고산에서의 입자상물질의 단일 입자 분석)

  • 안용훈;노철언;김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4-355
    • /
    • 2002
  •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 (ACE-Asia) Project의 1차 집중 관측기간 중에 2001년 4월 4일부터 일주일 동안 제주도 고산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low-Z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EPMA)를 이용한 입자상물질의 단일 입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채취 장소인 제주도는 대기 중 입자상물질에 대한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연구하는데 이상적인 장소이다 왜냐하면 제주로는 한반도, 중국대륙, 일본, 그리고 황해로 둘러 쌓여있어서 대륙간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그 자체가 청정지역이라 측정결과의 해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중략)

  • PDF

RF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의 합성 및 태양전지 응용에 관한 연구

  • An, Chi-Seong;Kim, Gwang-Su;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98-198
    • /
    • 2011
  • 단분산 결정질 실리콘 나노입자 (<10 nm)는 양자점 효과로 인한 선택적 파장 흡수가 가능하므로 태양전지 분야에 응용 가능성이 크다. 특히 입경의 크기가 작아지면 부피대비 표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태양빛 흡수 면적이 증가한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는 태양전지에서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plasma arc synthesis, laser ablation, pyrolysis 그리고 PECVD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등이 실리콘 나노입자를 합성하는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PECVD는 입자 생성과 동시에 균일한 증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제작 시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ECVD를 이용한 나노입자 합성에서 입경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전구물질은 Ar과 SiH4가스이다. Ar 가스는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챔버 내부에 가해준 전력을 통해 가속됨으로써 분해되어 Ar plasma가 생성된다. 이는 공급되는 SiH4가스를 분해시켜 핵생성을 유도하고, 그 주위로 성장시킴으로써 실리콘 나노입자가 합성된다. 이때 중요한 변수 중 하나는 핵생성과 입자성장시간의 조절을 통한 입경제어 이다. 또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은 입자가 생성될 때 필요한 화학적 구성비를 결정하므로 입경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지막으로 공정압력은 챔버내부의 plasma 구성 요소들의 평균 자유 행로를 결정하여 SiH4가 분해되어 입자가 생성되는 속도와 양을 제어한다. PECVD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 형성의 주요 변수는 RF pulse, 가스(Ar, SiH4, H2)의 유량, Plasma power, 공정압력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 (Radio Frequency) PECVD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입자를 만드는데 필요한 여러 변수들을 제어함으로써 이에 따른 입경분포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과 SMP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를 이용하여 각 변수에 따라 생성된 나노입자의 입경과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 중 plasma power에 따른 입경분포 측정 결과 600W에서 합성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상당히 단분산 된 형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다른 변수의 제어, 특히 DC bias 전압과 열을 가함으로써 나노입자의 결정성을 확인하는 추가 연구를 통해 태양전지 제작에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