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일층

Search Result 75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asurements of the Adhesion Energy of CVD-grown Monolayer Graphene on Dielectric Substrates (단일층 CVD 그래핀과 유전체 사이의 접착에너지 측정)

  • Bong Hyun Seo;Yonas Tsegaye Megra;Ji Won Suk
    • Composites Research
    • /
    • v.36 no.5
    • /
    • pp.377-382
    • /
    • 2023
  •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graphene-based device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facial interaction of graphene with its underlying substrates. In this study, the adhesion energy of monolayer graphene placed on dielectric substrates was characterized using mode I fracture tests. Large-area monolayer graphene was synthesized on copper foil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with methane and hydrogen. The synthesized graphene was placed on target dielectric substrates using polymer-assisted wet transfer technique. The monolayer graphene placed on a substrate was mechanically delaminated from the dielectric substrate by mode I fracture tests using double cantilever beam configuration. The obtained force-displacement curves were analyzed to estimate the adhesion energies, showing 1.13 ± 0.12 J/m2 for silicon dioxide and 2.90 ± 0.08 J/m2 for silicon nitride. This work provides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interfacial interactions of CVD-grown graphene with dielectric substrates.

도파로 모드와 결합된 측면연마형 광섬유 SPR 센서

  • An, Jae-Heon;Seong, Tae-Yeon;Kim, Won-Mok;Lee, G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05-305
    • /
    • 2011
  • 표면 플라즈몬 공진(SPR) 현상을 이용한 광섬유 센서는 SPR 센서의 우수한 표면 민감도, 비표지 검출능 등의 특징은 유지하면서 측정시스템이 단순해지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원거리 검출에 유리하다는 장점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스택 제어가 용이하고 민감도 또한 우수하다는 이유로 측면 연마형 센서 구조를 적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Kretchman형태의 SPR 센서의 분해능 향상을 위해 사용된 광도파로 구조를 측면 연마형 광파이버에 적용시켰다. 금속 층 / 유전체 층 / 금속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도파로 구조와 Au 단일 층을 사용한 기존 구조에 대한 이론 전사모사를 진행하고 실물 소자를 제작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WCSPR 센서에서는 두 개의 반사율 dips이 나타난다. 하나는 단파장영역에서 나타나는 폭이 작은 형태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장파장영역에서 나타나는 폭이 넓은 형태이다. 단파장에서의 dip은 입사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Wavelength interrogation mode을 이용하는 광섬유 SPR센서에 적용할 경우 분해능이 향상될 것 이다. WCSPR 센서는 도파로의 유전체층에서 진행되는 모드를 이용하면 Self-referenc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층의 두께를 변화 시켜 중심파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결과적으로 광도파로 구조를 광파이버에 적용시켜 기존 Au 단일 층 구조의 SPR 센서에 비해 좀 더 정확하고 광범위한 감지를 할 수 있다.

  • PDF

Numerical Study on Package Warpage as Structure Modeling Method of Materials for a PCB of Semiconductor Package (반도체 패키지용 PCB의 구조 모델링 방법에 따른 패키지의 warpage 수치적 연구)

  • Cho, Seunghyun;Ceon, Hyunchan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25 no.4
    • /
    • pp.59-66
    • /
    • 2018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usefulness of single-structured printed circuit board (PCB) modeling by using numerical analysis to model the PCB structure applied to a package for semiconductor purposes and applying modeling assuming a single structure. PCBs with circuit layer of 3rd and 4th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measurements were made on actual products to obtai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 single structure PCB.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f the PCB was modeled in a single structure compared to a multi-layered structure, the warpage analysis results resulting from modeling the PCB structure would increase and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as the circuit layer of the PCB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CB, the elastic coefficient and inertia moment of the PCB increased, decreasing the package's warpage.

Preparation of Double Layered Nanosphere Using Dextran and Poly(L-lactide- co-glycolide) (덱스트란과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를 이용한 이중층 나노미립구 제조)

  • Hong Keum Duck;Ahn Yong San;Go Jong Tae;Kim Moon Suk;Yuk Soon Hong;Shin Hyung Sik;Rhee John M;Khang Gilson;Lee Hai Bang
    • Polymer(Korea)
    • /
    • v.29 no.3
    • /
    • pp.260-265
    • /
    • 2005
  • The initial burst of drug release i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led delivery of drug having hish toxicity and narrow therapeutic ranges. Nanosphere composed of monolayer could not achieve precisely controlled drug release because of the initial burst of drug on surface. In this study, double layered nanosphere was prepared for sustained drug delivery without initial burst. Double layered nanosphere composed of dextran and PLGA was fabricated by using conventional W/O/W double emulsion method. To control surface tension on the outer layer of nanospheres, PVA was used as a surfactant. Release behavior of dextran as model drug was observed as the $3{\times}1$mm wafers formed by compression mould in the deionized water for 7 days. Double layered nanosphere has sustained release behavior, in contast to single layered nanospheres. such as mechanical mixture and dextran nanospheres. Especially, nanosphere containing PVA $0.2\%$ has shown nearly the zero-order release profile. As a result of this study, double layered nanospheres has more sustained release profile of drug without the initial burst and the release behavior of dexoan on tile double layered nanospheres was controlled by the contents of PVA as a surfactant.

탄소나노튜브-그래핀 하이브리드 박막을 이용한 투명전극과 전계효과트랜지스터로의 응용

  • Kim, Seong-Ho;Song, U-Seok;Jeong, Min-Uk;Gang, Min-A;Lee, Seon-Suk;Im, Jong-Seon;Hwang, Jin-Ha;Myeong, Seong;An, G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77.1-177.1
    • /
    • 2014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 carbon nanotube)와 그래핀(graphene)과 같은 저차원 구조의 탄소물질은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열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투명하고 유연한 차세대 전자소자로의 응용(투명전극, 투명트랜지스터, 투명센서 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단일층 그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박막을 제작하여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s)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하이브리드 박막의 제작은 간단한 방법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스핀 코팅된 구리 호일 위에 열 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통해 제작 하였다. 제작 과정 중 탄소나노튜브의 스핀코팅 조건을 최적화하여 하이브리드 박막에서 탄소나노 튜브의 밀도와 정렬을 제어하였으며 하이브리드 박막 제작 후 스핀 코팅 방향에 따른 박막의 저항을 측정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코팅 방향에 따라 박막의 저항이 달라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이브리드 박막의 투명전극 특성을 확인 한 결과 $300{\Omega}/sq$의 면저항에 96.4%의 우수한 투과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하이브리드 박막은 CVD 그래핀과 비교하여 향상된 와 on-state current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우리는 단일벽 탄소나노튜와 단일층 그래핀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박막이 앞으로의 투명하고 유연한 소자제작 연구에 있어 새로운 투명 전극 및, 트랜지스터 제작 방법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ormation of Co-silicides using Co Single Layer and Co/Ti Bilayer (Co 단일막과 Co/Ti 이중막을 이용한 Co-실리사이드의 형성 연구)

  • Jang, Ji-Geun;Eom, U-Yong;Jang, Ho-Jeong;Hong, Seong-Su;Song, Jin-Tae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6 no.7
    • /
    • pp.692-699
    • /
    • 1996
  • nptype Si(100)웨이퍼를 precleaning하고 HF 용액에 dip etching한 후 E-beam dvaporator에 장착하여 Co 단일막($170\AA$, $340\AA$)과 Co/Ti 이중막($200\AA$/ $(50-100)\AA$)을 성장시켰다. 시편의 RTA 과정에서는 N2분위기에서 direct annealing 방식으로 열처리 온도와 시간을 변화시켜가며 Co-silicidation 공정을 수행하였다. Co 단일막으로 형성된 Co-실리사이드의 면저항은 $500^{\circ}C\leq$T$\leq$$850^{\circ}C$범위에서 열처리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Co/Ti 이중막의 경우 Co-실리사이드의 형성온도가 Co 단일막의 경우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낮은 비저항의 CoSi2를 얻기 위해서는 $800^{\circ}C$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XRD 분석결과, Co 단일막으로부터 얻어진 CoSi2는 (111) 및 (220) 결정상을 나타내었으나, Co/Ti 이중막에 의한 CoSi2는 (200)결정상만이 나타나서 Si(100)기판과 에피층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CoSi2의 비저항은 약 $18\mu$$\Omega$.cm로 나타났으며, TEM 및 AES 분석으로부터 Co/Ti bilayer-실리사이드가 다량의 Si과 Ti 외에 소량의 Co가 섞여있는 표면 복합층과, Si과 Co만이 존재하는 내부 에피층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n Permeability, Optimum Yield and Long-term Stability in Alluvial Well with Filter Layer Change (충적우물에서 필터층 변화에 따른 투수특성, 적정양수량 및 장기적 안정성에 대한 연구)

  • Song, Jae-Yong;Lee, Sang-Moo;Choi, Yong-Soo;Kim, Ki-Joon;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1
    • /
    • pp.101-115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filter conditions on unconfined aquifer (alluvial aquifer). We made model test device which has filter layer, pumping well and observation well which consist of sand layer and gravel layer to test. Step drawdown test and long term pumping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device.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each test group were confirmed and the optimal yield was calculat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optimal yield of double filter and single filter in sand, dual-filter SD-300 was valued at 216.8 % higher final optimal yield than single-filter SS-300. Comparing the dual filter SD-300 and the single filter SS-100 with a thin filter layer, dual-filter SD-300 was valued at 709.2% higher final optimal yield than single-filter SS-300. As a result of analysis of optimal yield change over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optimal yield of single filter and dual filter increase over time. In order to evaluate the long-term change in water intake efficiency, we considered the point at which the initial optimal yield was reduced by 50%. The dual filter SD-300 is about 351.1% higher than SS-300, which is the same thickness filter, and about 579.0% higher than SS-100. From these results, Assuming that the point at which the initial quantity of water intake is reduced to 50% is the well life, double filter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lifespan by about 3.5 times over single filters of the same thickness and by about 5.8 times over typical single filte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sign wells to river bank filtration or filtered seawa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double filter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future field test results.

Recognition of Emotion Based on Simple Color Using Phrsiological Fuzzy Neural Networks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을 이용한 단일 색상 기반 감성 인식)

  • 주이환;김배성;강동훈;성창민;김광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536-540
    • /
    • 2003
  • 최근에 개인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한 복합적인 감성을 측성 및 분석하여 공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인간이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색채 심리를 바탕으로 한 감성을 인식할 수 있는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은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생리학적 퍼지 뉴런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층, 퍼지 귀속 시넵스(Fuzzy Membership Synapse) 및 출력층으로 구성되며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으로 동작된다. 제안된 생리학적 퍼지 신경망을 단일 색상 정보에 따른 감성 인식에 적용한 결과, 단일 색상 정보에 따른 감성 인식에 있어서 효율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reentrant wave propagation in three-dimensional cardiac tissue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회귀성 파동에 대한 수치적 해석)

  • Kim, Hun-Young;Leem, Chae-Hun;Shim, Eun-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4.11a
    • /
    • pp.57-6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회귀성파동에 대한 수치적 해석결과를 제시한다. 심근 조직에서의 회귀성파동은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심근세포 이온채널 또는 전기전도시스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관련된 복합적 현상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전기생리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바 있으며, 주로 동물 심근세포모델에 기반으로 균일한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에서의 전기전도 현상 해석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심장조직의 경우, 두께를 가진 3차원적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층을 따라서 전기생리학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 세포들로 구성된다. 즉 심근은 층을 가로질러 Epi-cardiac, mid-cardiac, endo-cardiac cell들로 구성되며 각기 다른 APD(action potential duration)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가지 종류의 인체 심근세포모델을 사용한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활동전위 전도현상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인체 3가지 종류의 심근세포 모델을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3차원 조직모델을 구현하는데, simplified bidomain방법을 사용하였다. 3차원 공간상에서 심근세포에 의한 활동전위 전달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도입한다. 최종적으로는 3가지의 심근세포층을 가진 3차원 심근조직을 구성하고, 여기에 회귀성 파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3차원조직에서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다세포층에 의한 불균일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Poly Si Buffer-layer 도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층 두께 증가에 따른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향상

  • Baek, Hyeon-Jeong;Park, Jae-Hui;Kim, Tae-Un;Kim, Gyeong-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354-354
    • /
    • 2012
  •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는 실리콘이 nm 크기의 양자점으로 될 경우 밴드갭이 증가하여 태양광 중의 가시광선을 광전변환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키는 차세대 태양전지이다. 그러나 실리콘 양자점이 SiO2 매질 내에 분포하므로 양자점층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박막의 직렬저항이 증가하여 일정 두께 이상이 되면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두께증가에 따른 효율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완충층을 도입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광전변환 특성을 비교하였다. 첫 번재 구조는 B이 도핑된 단일 실리콘 양자점층 태양전지이다. 양자점층은 2 nm SiOx 층과 2 nm SiO2 층을 적층한 후 $1,100^{\circ}C$에서 20분간 질소 분위기에서 급속 열처리하여 제작하였다. 실리콘 양자점 층의 두께를 40 nm에서 200 nm까지 변화시키면서 효율을 측정한 결과 100 nm 정도에서 효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효율감소는 양자점층의 저항 증가에 따른 전류감소에 의함이 확인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실리콘 양자점 층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실리콘 양자점층 내에 50 nm 간격으로 10 nm 두께의 B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을 배치하는 실리콘 양자점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실리콘 양자점 층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효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형태의 양자점층을 이차이온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단일 실리콘 양자점층의 경우 두께가 약 70 nm 정도부터 이온빔 스퍼터링에 의한 저항증가에 따른 대전현상 (charging)이 관찰되었으나 다결정 실리콘 층이 배치된 실리콘 양자점층에서는 전혀 대전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다결정 실리콘 층이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