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단고추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과일 괴저 병징의 단 고추에서 분류동정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새로운 계통 CMV-NP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P Strain for Cucumber mosaic virus(CMV-NP) Identified Newly from Sweet Pepper Showing Fruit Necrosis)

  • 조점덕;김정수;이중환;정봉남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4-137
    • /
    • 2008
  • 경북 청도지역의 단 고추 과일에 나타난 큰 괴저 반점 및 과일 괴저와 잎에 엽맥 녹대 및 기형 병징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의 새로운 계통인 CMV-NP로 분류동정되었다. CMV-NP는 직경이 26 nm의 구형이었으며, VC/RT-PCR 유전자 진단결과 CMV로 확인되었다. CMV-NP는 오이(Cucumis sativus) 등 9개 지표식물에 전신감염을 일으켰으며, 명아주(Chenopodim amaranticolor; C. quinoa)에 국부감염을 일으켰다. CMV-NP는 담배(N. rustica)와 번행초(Tetragonia expansa)의 접종잎과 상엽에 특이한 괴저 원형 반점을 일으켰다. 특히 오이에서는 상엽에 큰 퇴록 원형반점과 엽맥퇴록 병징을 일으켰으며 독말풀(Datura stramonium)에서는 병원성이 없었다.

착색단고추의 유통효율성 분석 (Analysis on the Marketing Efficieny of Paprika)

  • 심종섭;김진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69-80
    • /
    • 2010
  • 본 연구는 착색단고추의 유통실태를 분석하고 운영효율성을 측정하여 유통경로별 유통효율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수출시장 (일본)의 경우에는 개별농가가 직접수출대행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수출하는 것 (유형 III)이 영농조합법인 (유형 I:수출농단결성)과 지역농협을 통한 공동출하 (유형 II)의 경우보다 운영효율성이 높은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수시장의 경로에서는 도매시장을 통한 경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물량은 대형유통업체와 계통판매되는 물량보다 비표준화된 물량이 많으므로 품질면에서 차이가 나지만 내수시장균형가격이 비교적 높게 형성됨으로써 품질에 상응하는 가격이 형성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유형IV의 경우는 유형 V, VI유형보다 유통비용 투입에 대한 산출수준이 비교적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시설내 보광이 수경재배 착색단고추(Capsicum annum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ing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in Hydroponic Culture under Low Levels of Natural Light in Winter)

  • 김용범;배종향;박미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317-325
    • /
    • 2011
  • 본 연구는 보광이 착색단고추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생산성과 품질향상을 위한 착색단고추 재배기술 확립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보광시간대별 광합성은 아침 일출 전 보광에서는 1.5-$3.0{\mu}mol{\cdot}CO_2{\cdot}m^{-2}{\cdot}s^{-1}$의 광합성속도를 나타냈으며, 일몰 후 보광은 0.5-$1.5{\mu}mol{\cdot}CO_2{\cdot}m^{-2}{\cdot}s^{-1}$의 광합성속도를 보여 일출 전 보광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광에 따른 증산율과 기공전도도는 일출 직후 보광과 함께 높게 상승한 후 소등 후 다시 감소하였다. 보광에 따른 기공면적은 $32.2{\mu}m^2$로 나타났으며, 자연일장(무처리)은 $7.7{\mu}m^2$로 현미경상에서 거의 닫힘 상태를 보였다. 보광에 따른 생육특성에서 스피리트 품종의 경우 초장은 일출 전 후 3시간 보광에 비하여 일몰 후 3시간 보광이 크게 나타났으며, 보광처리가 자연일장에 비하여 모두 초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착과수는 일출 전 후 3시간 보광이 4.3개였고, 일몰 후 3시간 보광은 3.7개였으며, 자연일장은 2.6개로 보광처리가 자연일장에 비하여 착과수가 많았다. 과실의 당도는 보광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수확시기에 따라서는 약간 차이가 있었다. 10a당 상품수량은 스피리트 품종의 경우 보광 처리시 11,605kg인 반면, 자연일장은 7.578kg이었다. 전력소모와 시설비에도 불구하고, 경제성 분석결과 순소득도 일출 후 3시간 보광이 자연일장보다 51%정도 높게 나타났다.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김치의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부재료의 영향 (Effects of Various Sub-ingredients on Sensory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 장경숙;김미정;오영애;김일두;노홍균;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3-240
    • /
    • 1991
  • 배추김치의 부재료로서 고추, 마늘, 생강, 파, 부추, 멸치젓, 설탕 등이 starter로 숙성시킨 김치의 산맛, 단만, 쓴맛, 매운맛, 감칠맛, 덜 익은 맛, 불쾌한 맛, 사각사각한 맛, 종합적인 맛, 새콤한 내, 풋내, 비린내, 마늘내, 군덕내, 색상 등 관능적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부재료 개별적으로는 균형된 조화미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혼합처리함으로써 맛의 상호보완이 되었다. 파와 부추는 강한 마늘내를 조화시켰으며 멸치젓은 감칠맛을 부여하였고 설탕은 종합적인 맛을 향상시켰다. 또 설탕을 제외한 고추, 생강, 마늘, 파, 멸치젓 등은 다같이 산미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고초균과 효모를 혼용첨가한 고추장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활성도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haromyces rouxii during Fermentation)

  • 오훈일;손성현;김정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10-416
    • /
    • 2000
  • 고초균과 효모를 혼용 첨가한 고추장을 6개월간 숙성시키면서 pH, 미생물 및 효소활성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pH 변화는 담금 직후에는 $5.29{\sim}5.35$에서 숙성 60일 경에는 $4.71{\sim}4.84$로 낮아졌으며 효모 첨가구에서는 숙성 초기에 pH 강하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호기성 세균 수는 고초균 첨가시 담금 초기에는 $3.9{\sim}4.2{\times}10^6$ 생균 수였던 것이 숙성 30일 경까지 급속히 증가하였고 그후 서서히 감소되어 숙성 90일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곰팡이 수는 숙성 30일까지 현저히 증가한 후 감소되어 숙성 60일 이후에는 완만한 수준을 보였고, 고추장 숙성 기간 중 효모 무첨가구에서는 고추장 숙성 30일경을 전후하여 효모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숙성 60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효모 첨가구에서는 30일 이후부터 효모 수가 증가하였으며 숙성 60일 이후부터는 감소하였다. ${\alpha}-amylase$${\beta}-amylase$ 활성도는 곰팡이와 고초균을 혼합한 시험구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고 효모첨가구에서는 활성이 감소되었다. Acidic protease 활성도는 숙성 30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곰팡이와 고초균 혼용구에서 보다 높은 활성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곰팡이 단용구에 비해 고초균을 혼용 첨가한 고추장이 숙성 중 미생물 수도 많았고 효소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으뜸애꽃노린재 성충에 대한 착색단고추에 등록된 농약의 저독성 및 잔류독성 평가 (Evaluation of Low Toxic and Residual Toxicity of Pesticides Registrated on Sweet Pepper Greenhouse to Orius strigicollis)

  • 최병렬;박형만;김정환;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15-423
    • /
    • 2007
  • 화학적방제와 생물적방제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여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천적에 대한 저독성 약제와 천적의 안전방사시기를 설정하였다. 고추와 착색단고추에 등록되어 있는 52종(살충제 33종, 살균제 19종)의 살충 살균제를 충체침지처리법과 잎침지처리법으로 독성을 평가하였다. 살충제의 충체침지처리 후 애꽃노린재 성충에 대한 저독성약제는 milbemectin유제 등 14종이었으며, 잎침지처리법에 의한 저독성약제는 12종이었다. 처리한 살균제 19종은 모두 천적에 대해 저독성을 보였다. 약제살포 후 1일에 안전방사 가능한 약제는 pyraclofos, methomyl, thiodicarb, esfenvalerate bifenthrin, alpha-cyrermethrin, etofenprox, fenvalerate, imidacloprid, acetamiprid,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spinosad, indoxacarb등 14종이었으며,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은 잔류독성이 길게 나타났다.

근관세척제로써 서양산 고추냉이(Horseradish, Armoracia rusticana) 뿌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ORSERADISH (ARMORACIA RUSTICANA) ROOT EXTRACTS AS AN ENDODONTIC IRRIGANT)

  • 윤효진;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9-136
    • /
    • 2011
  • 치수 및 치근단의 감염은 미생물에 의해 야기되며, 성공적인 근관치료는 근관 내의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좌우된다. 서양산 고추냉이(Horseradish, Armoracia ruticana)의 주성분인 Allyl isothiocyanate (AIT)는 여러 연구에서 항균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관세척제로써 서양산 고추냉이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고자 발거된 사람의 치아에 Enterococcus faecalis를 접종하여, 대표적인 근관세척제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과 항균력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얻었다. 1. 치큰관 내를 21일간 E. faecalis에 감염시키고, 근관세척제로써 각 실험군을 1분간 적용한 후 1차 표본(S1)을 채취하여 배양한 결과,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은 $5.815{\times}10^3$ CFU/ml, NaOCl은 $3.465{\times}10^3$ CFU/ml이었다(p=0.086). 2. 1차 표본을 채취한 후 실험 치아를 7일 동안 더 배양하여 2차 표본(S2)을 채취한 결과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은 $3.100{\times}10^3$ CFU/ml, NaOCl은 $5.252{\times}10^5$ CFU/ml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을 적용한 실험 치아에서 더 적은 수의 세균수가 측정되었다(p<.05). 3. NaOCl로 근관세척을 시행한 치아의 1차 표본(S1)과 2차 표본(S2)을 채취하여 배양한 결과 2차 표본에서 CFU 값이 더 증가하였다(p<.05). 반면에 고추냉이 추출물로 근관세척을 시행한 치아의 1차 표본(S1)과 2차 표본(S2)을 채취하여 배양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p=0.076)으로 보아 근관세척후 7일 후에도 향균효과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교배형 분포 및 변화 (Distribution and Alteration of Mating Type of Phytophthora capsici Population from Red Pepper in Korea)

  • 송정영;유성준;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2-156
    • /
    • 2002
  • 1995년부터 1998년 사이 국내에 분포하는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에 대해 A1과 A2 교배형의 발생분포 및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국의 75개 고추포장들로부터 분리된 973개 P. capsici 균주들의 A1 : A2 교배형 발생비는 573 : 400으로 나타났다. A1과 A2 교배형의 P. capsici 균주들은 조사를 실시한 모든 지방에서 발견되었다. 조사포장별로는 A1 또는 A2 교배형의 병원균들만이 분리된 포장들과 A1과 A2 교배형의 병원균들이 동시에 발생하는 포장들이 관찰되었으며, 각 단일 포장내 P. capsici 균주들의 A1 : A2 교배형 발생비율은 해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편, 동일 포장에서의 연차적인 교배형 발생비 추이를 조사한 결과 1995년과 1997년에 A2 교배형의 P. capsici만이 발생했던 공주포장에서는 1998년에 A1 교배형의 균주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따라서 국내 고추 역병균 P. capsici 집단은 병발생 포장단위별로 다양한 A1 : A2 교배형 균주들의 발생비가 나타나고 있어 단일포장 내에서 유성생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포장단위별 균주들 간에는 유전적인 차이가 다양하게 존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교배형 분포 특성에 따른 Metalaxyl 감수성 (Metalaxyl Sensitivity Related with Distribution Feature of Mating Type of Phytophthora capsici Population from Red Pepper in Korea)

  • 송정영;유성준;이윤수;김병섭;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8-102
    • /
    • 2003
  • 1995년부터 1998년까지 75곳의 국내 고추포장들로부터 수집된 433개의 고추역병균 Phytophthora capsici 집단의 교배형 분포 특성에 따른 metalaxyl 감수성을 분석하였다. Metalaxyl $2{\mu}g/ml$ 농도에서 P. capsici 집단의 평균 균사생장 저해율은 68.2%였으며, 저항성균의 발생율은 평균 28.6%였다. 포장단위별로 metalaxyl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결과 A1형 또는 A2형 단일 교배형만 출현한 포장들의 균주들은 서로 비슷한 수준의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대부분 포장단위별로 약제 감수성이나 저항성 중의 하나로 구분됐다. 그러나 교배형이 혼재하여 분포하는 각 포장단위별 균주들간의 약제에 대한 반응은 단일교배형 포장균주들에 비해 매우 다양했으며, 포장별로 저항성균의 발생비율도 다양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에 분포하는 고추역병균 P. capsici 집단의 metalaxyl 약제에 대한 다양한 감수성이 각 포장단위별 A1 : A2교배형 발생비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