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축 적층 시스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다축 적층 시스템과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3차원 PCL/PLGA/ICP 바이오 인 공지지체 제작 (Fabrication of 3D PCL/PLGA/TCP Bio-scaffold using Multi-head Deposition System and Design of Experiment)

  • 김종영;윤준진;박의균;김신윤;조동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6-154
    • /
    • 2009
  • In recent tissue engineering field, it is being reported that the fabrication of 3D scaffolds having high porous and controlled internal/external architectures can give potential contributions in cell adhesi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o fabricate these scaffolds, various solid free-form fabr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he solid free-form fabrication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fabricate solid free-form 3D microstructures in layer-by-layer manner.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multi-head deposition system (MHDS) and used design of experiment (DOE) to fabricate 3D scaffold having an optimized internal/external shape, Through the organization of experimental approach using DOE, the fabrication process of scaffold, which is composed of blended poly-caprolactone (PCL),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and tricalcium phosphate (TCP), is established to get uniform line width, line height and porosity efficiently Moreover, the fea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tissue engineering of MHDS is demonstrated by human bone marrow stromal cells (hBMSCs) proliferation test.

코 성형을 위한 코 보형물 형태의 인공지지체 설계 및 제작과 코 연골조직의 재생 (Design and Fabrication of Nasal-Implant-Shaped Scaffold and Regeneration of Nasal Cartilage Tissue for Rhinoplasty)

  • 정진우;장진아;심진형;김성원;조동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11호
    • /
    • pp.1111-1117
    • /
    • 2012
  • 이상적인 코 보형물은 환자가 원하는 모양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재료적 특성을 지녀야 한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코 보형물은 면역 반응이나 피부를 뚫고 돌출하는 문제점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코 성형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직공학 기반의 코 성형술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코 보형물 형상의 인공지지체를 상용 CAD 소프트웨어와 자유형상제작 기술 중에 하나인 다축 적층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그리고 코 성형술 인공지지체로서의 사용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비중격 유래 연골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증식, 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