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중점

Search Result 1,86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Tool for Derivation and Management of Multi-Scale Databases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도구)

  • 김정자;강혜경;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60-162
    • /
    • 2003
  • 공간데이터를 변형/왜곡하여 자세한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서 공간데이터를 단순화하는 기법을 일반화라고 하는데,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새로운 축적의 데이터베이스를 유도할 때 이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를 생성/관리하기 위한 일반화 시스템을 소개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 연구들에 의해 제시된 일반화 연산자, 일관성 유지 방법들을 통합/개선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에는 원시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 이것을 유도된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에 파급시킬 수 있는 방법과 사용자를 위한 모델 다이어그램 지원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다중축척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도구는 다중축척 데이터를 유도(생성) 및 관리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Polarization multiplexing of holography memory in photopolymer (포토폴리머에서 편광방식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메모리의 다중화)

  • Jeong, Hyeon-Seop;Kim, Nam;Sin, Chang-Won;Kim, Eun-Gyeong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7.07a
    • /
    • pp.275-276
    • /
    • 2007
  • A multiplex recording and reading technique in photopolymer are presented In order to record the polarization gratings, polarization-sensitive materials, in which linear birefringence is induced by irradiating the polarized light, are necessary. We checked orthogonal and independence of laser. The value of the photoinduced linear polarization had effect on diffraction properties in the holographic gratings. The grating strengths of two polariza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relevant parameters for equal diffraction intensity readout are optimized.

  • PDF

Multi-sensor Image Registration Using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and Gradient Orientation (정규 상호정보와 기울기 방향 정보를 이용한 다중센서 영상 정합 알고리즘)

  • Ju, Jae-Yong;Kim, Min-Jae;Ku, Bon-Hwa;Ko, Han-Se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6
    • /
    • pp.37-48
    • /
    • 2012
  • Image registration is a process to establish the spati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images of same scene, which are acquired at different view points, at different times, or by different sens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registration method for images acquired by multi-sensors, such as EO (electro-optic) and IR (infrared) sensors. Image registration is achieved by extracting features and find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features in each input images. In the recent research, the multi-sensor image registration method that finds corresponding features by exploiting NMI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was proposed. Conventional NMI-based image registration methods assume that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wo images should be global, however images from EO and IR sensors often cannot satisfy this assumption. Therefore the registration performance of conventional method may not be sufficient for some practical applications because of the low accuracy of corresponding feature point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accuracy of corresponding feature points by combining the gradient orientation as spatial information along with NMI attributes and provides more accurate and robust registration performance.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A Study on Geometric Correction Method for RADARSAT-1 SAR Satellite Images Acquired by Same Satellite Orbit (동일궤도 다중 RADARSAT-1 SAR 위성영상의 기하보정방법에 관한 연구)

  • Song, Yeo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6
    • /
    • pp.605-612
    • /
    • 2010
  • Numberous satellites have monitored the Earth in order to detect changes in a large area. These satellites provide orbit information such as ephemeris data, RPC coefficients and etc. besides image data. If we can use such orbit data afforded by satellite, we can reduce the number of control point for geo-referencing. This paper shows the efficient geometric correction method of strip-satellite RADARSAT-l SAR images acquired by same orbit using ephemeris data, single control point and virtual control points. For accuracy analysis of proposed method, this paper compared the image geometrically corrected by the proposed method to the image corrected by ERDAS Imagine.

A performance study on the fairness of a feedback-based rate control scheme applied to a multicast connection (멀티캐스트 연결에 적용하는 피드백에 근거한 율 제어 기법의 공정성에 관한 성능 분석)

  • 이미정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1 no.11
    • /
    • pp.2862-2868
    • /
    • 1996
  • A sueueing model is develop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local and a remote destination of one multicast connection subject to a simple two-level(binary) feedback-based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The reate control scheme is a simple extension of the one for point-to-point case. Individual cell loss probabilities at the local and remote destinations are obtained to study the fairness of the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is simple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which is fair when it is applied to a multicast connection consisting of destinations with equal propagation delays, bears bias against remote destination.

  • PDF

Gaze Detection Using Facial Movement in Multimodal Interface (얼굴의 움직임을 이용한 다중 모드 인터페이스에서의 응시 위치 추출)

  • 박강령;남시욱;한승철;김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68-173
    • /
    • 1997
  • 시선의 추출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 방향을 알고자하는 연구는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장애인의 컴퓨터 이용이나, 다중 윈도우에서 마우스의 기능 대용 및, VR에서의 위치 추적 장비의 대용 그리고 원격 회의 시스템에서의 view controlling등이다. 기존의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얼굴의 입력된 동영상으로부터 얼굴의 3차원 움직임량(rotation, translation)을 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나 [1][2], 모니터, 카메라, 얼굴 좌표계간의 복잡한 변환 과정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응시 위치를 파악하고자하는 연구는 거으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사무실 환경에서 입력된 얼굴 동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 및 얼굴내의 눈, 코, 입 영역 등을 추출함으로써 모니터의 일정 영역을 응시하는 순간 변화된 특징점들의 위치 및 특징점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모양의 변화를 바탕으로 응시 위치를 계산하였다. 이때 앞의 세 좌표계간의 복잡한 변환 관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경망 구조(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하였다. 신경망의 학습 과정을 위해서는 모니터 화면을 15영역(가로 5등분, 세로 3등분)으로 분할하여 각 영역의 중심점을 응시할 때 추출된 특징점들을 사용하였다. 이때 학습된 15개의 응시 위치이외에 또 다른 응시 영역에 대한 출력값을 얻기 위해, 출력 함수로 연속적이고 미분가능한 함수(linear output functio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신경망을 이용한 응시위치 파악 결과가 선형 보간법[3]을 사용한 결과보다 정확한 성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