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시마 양식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hemical Proper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Cultured in the Different Depths of Seawater (양식 다시마의 수심과 부위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 Shin, Tai-Sun;Xue, Zheng;Do, Ye-Won;Jeong, Sang-Il;Woo, Hee-Chul;Kim, Nam-Gil
    • Clean Technology
    • /
    • v.17 no.4
    • /
    • pp.395-405
    • /
    • 2011
  •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cultivation of high-density seaweed, sea tangle was cultured from varying depths(0.5 m, 3 m) of seawater at Gijang and Wando area. Proximate composition, component sugar, total amino acid, fatty acid composition, and element composition of different part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have been examin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mount of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 in lower, middle, and upper parts of algal blades. The upper parts of the sea tangle was rich in crude protein, while lower parts was rich in crude ash. Crude lipid content was higher in the middle parts than those of the other parts. The component sug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ll parts of algal blades. The highest content of most of the amino acids were found in the upper parts of the blades. The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s concentrated mostly in lower parts of blades, while the content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ncentrated in the upper parts. The highest N element contents were found in upper part of algal blades. However, the contents of those chemical component were not affected by the depths of seawater.

참전복 배합사료 첨가제로서 모자반 이용성

  • 이상민;허용주;임태준;김경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53-254
    • /
    • 2000
  • 전복은 부착기 유생을 부착 규조파판에 채묘하여 규조류를 주 먹이로 사육하여 각장 1cm 정도의 것을 바다에 방류하여 상품크기의 것을 다시 수확하는 방식으로 양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복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복을 육상수조에서 양성하는 곳이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전복을 양성하는 양어가들은 육성용 먹이로 미역, 파래, 다시마와 같은 천연 먹이를 주로 사용하다가 여름에는 건조미역이나 건조다시마를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체계적인 양식 발전에 제한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중략)

  • PDF

다시마추출액을 이용한 과실잼의 제조

  • 김영명;조진호;정혜정;신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38-139
    • /
    • 2000
  • 다시마는 국내연안에서 생산되는 주요 해조류로 1996년에는 전체 해조류 생산량의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량의 95%이상을 양식산업에 의존하므로 어민소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품목이다. 과거에는 대부분이 건조 다시마로 가공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다시마의 건강기능성이 알려지면서 가공품목 또한 다양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현재까지 특별한 이용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중략)

  • PDF

강릉연안 토종 다시마의 양식 연구

  • 김형근;박중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7-148
    • /
    • 2003
  • 동해안의 강릉 연안에 자생하는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는 산업적으로 개발의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러나 천연 자원량에 의존하고 있는 가공산업은 해황에 따라 원료 공급이 좌우되는 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 식물의 산업적 생산량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량양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해안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의 종묘생산기술 개발을 위해서 항온배양기와 실내수조배양을 실시하고 바다 가이식 양성에 의한 환경적응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2001년 10월에 강릉연안 수심 20m에서 분포하는 개다시마 군락의 모조로부터 유주자액을 받아 온도 5, 10, 15, 20, $25^{\circ}C$, 조도 40, 80, 120 $\mu$mol m$^{-2}$ s$^{-1}$의 조건에서 6주간 정치배양하였다. 유주자의 발아 및 아포체 생장 실험 이후 바다 가이식 및 양성실험은 2002년 1~2월까지 1개월간 실시하였다. 유주자의 발아 및 아포체 형성은 1$0^{\circ}C$, 120$\mu$mo1 m$^{-2}$ s$^{-1}$에서 배양 2주만에 가장 먼저 아포체의 발아가 관찰되었으며, 이후 15$^{\circ}C$와 5$^{\circ}C$에서 순차적으로 아포체의 발아가 이루어졌다. 2$0^{\circ}C$는 80, 120$\mu$mol m$^{-2}$ s$^{-1}$에서 소수의 아포체만이 관찰되었으며, $25^{\circ}C$에서는 아포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아포체는 1$0^{\circ}C$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고, 15$^{\circ}C$와 1$0^{\circ}C$에서는 비슷한 생장을 나타냈으며, 2$0^{\circ}C$에서는 80$\mu$mol m$^{-2}$ s$^{-1}$에서만 아포체의 형성이 관찰되어 가장 낮은 생장을 보였다. 동일 온도에서는 조도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많이 났는데, 40$\mu$mol m$^{-2}$ s$^{-1}$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냈다. 80과 120$\mu$mol m$^{-2}$ s$^{-1}$에서는 120$\mu$mol m$^{-2}$ s$^{-1}$이 약간 좋은 생장을 보였지만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생장이 가장 좋은 조건은 1$0^{\circ}C$, 40$\mu$mol m$^{-2}$ s$^{-1}$으로 엽장 1.28mm까지 생장했다. 전체적으로 수심이 깊은 곳에 서식하는 특성상 저수온과 저조도에서 좋은 생장 경향을 보였다. 실내배양을 통해 얻은 엽장 약 1~2mm의 종묘를 2002년 1월말에 삼척 호산에 위치한 바다 양성장에서 종묘들과 함께 2주간 수심별로 가이식(수온 12$^{\circ}C$)을 실시한 결과, 수심 1m에서 좋게 나타나 엽장이 약 5mm정도 생장하였다. 수심 0m에서는 강한 조도에 의해 엽상체가 사그라드는 기형이 나타났으며, 수심 5m에서는 엽상체의 기형이나 생장의 차이는 없었지만, 색택이 약간 바랜 것을 볼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종묘의 관리나 생장에는 수심 1~2m가 양호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다 가이식을 통해 엽장 5mm의 종묘로 생장시킨 후 바로 본양성장에 씨줄감기를 하여 양성을 실시하였다 양성 1개월 후 엽상체는 약 2~3cm, 최대 4~5cm까지 생장하였다. 이를 통해 강릉연안 토종 다시마인 개다시마에 대한 종묘 생산과 대량 양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