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다소재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2초

과채류 포장기술의 새로운 경향

  • 홍석인;박종대
    • 식품기술
    • /
    • 제10권3호
    • /
    • pp.87-98
    • /
    • 1997
  • 전체적인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식품의 신선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에서도 각종 선도 유지용 포장재가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식품에의 적용 사례가 불충분하고 그 개념 자체에도 다소 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비교적 사용 기술이 축적되어 있어 선도유지 효과를 상당히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본 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농산물의 신선도 유지용 신기능성 MA 포장기법 개발' 과제와 관련하여 포장 선진국인 일보의 각종 선도 유지용 포장재와 그 응용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와동 이장재의 임상적 응용

  • 권혁춘;손호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0권11호통권162호
    • /
    • pp.917-919
    • /
    • 1982
  • 치과보존학 영역에서 사용되는 각종 충전재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충전후 치질과 완전한 접착을 이루지 못하고, 충전물과 와동벽 사이에 미세공간을 형성하여 변연누출을 야기한다. 즉 타액, 세균, 음식물 분해산물등이 자유로이 이 미세공간을 통해 침투하여 치수와 건강 치질에 이차적인 위해작용을 하기 때문에, 충전의 결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이 미세공간을 폐쇄하여 변연노출을 억제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사용되는 재료가 와동이장재이며, 이의 임상적 응용에 대해 기술하고저 한다.

  • PDF

파렛트 사용 실태 (A Survey on Using of Pallet in Korea)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36호
    • /
    • pp.48-54
    • /
    • 2012
  • 본 조사의 대상은 화물을 일정한 수량 단위로 하역 운송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렛트이다. 조사 대상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서 재사용 파렛트와 일회용 파렛트로 구분하되, 재사용 파렛트는 다시 구매 보유 물량과 임대 사용 물량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재질에 따라서 플라스틱, 목재, 금속으로 구분하하였다. 조사 대상 업체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우리나라 산업 현장에서 파렛트를 사용하고 있는 모든 업체이다. 조사 대상인 업체의 범위를 기본적으로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표준산업분류코드(KSIC)에 근거하여 업종, 규모 및 지역 관점에서 분류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물류 업종에 대한 조사는 다소 미흡한 수준이었다.

  • PDF

소나무속 6수종 묘목의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포지 저항성 비교 (Comparing Field Resistance with Pine Wilt Disease Among Six Pine Species at Seedling Stages)

  • 김양길;이다영;김선정;김수비;최배영;심동환;박연일;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58-266
    • /
    • 2023
  •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1934))에 의해 발생하며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소나무속(Pinus) 수목들을 고사시키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 저항성에 대한 연구는 자연상태 및 온실포트묘에서 주로 이뤄진 반면 포지에서의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6월, 포지에 있는 소나무속 수종인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잣나무(P. koraiensis Siebold & Zucc.), 소나무(P. densiflora Siebold & Zucc.), 섬잣나무(P. parviflora Siebold & Zucc.), 리기테다소나무(P. rigida × P. taeda), 스트로브잣나무(P. strobus L.)의 묘목을 대상으로 소나무재선충을 인공접종하였다. 그리고 인공접종 후 2주 간격으로 위조지수를 측정했고, 인공접종 24주후의 고사율, 소나무재선충 검출률 및 밀도를 측정했다. 소나무재선충병에 의한 고사율은 곰솔(80%), 잣나무(77.8%), 소나무(62.5%), 섬잣나무(22.0%) 순이였으며 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는 고사하지 않았다. 소나무재선충 검출률은 리기테다소나무(22.2%)를 제외하고 모두 고사율과 동일했다. 위조지수의 경우, 소나무재선충병 고사율 순위가 높았던 곰솔, 잣나무, 소나무 3종에서 높은 수치가 나왔으며, 순위가 낮았던 섬잣나무, 리기테다소나무, 스트로브잣나무 3종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통계분석 결과, 곰솔, 잣나무는 소나무재선충병에 높은 감수성을, 소나무, 섬잣나무는 중간 수준의 감수성을, 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는 확실한 저항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 저항성 육종의 기초자료나리기테다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의 조림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간의 수간 내 목재셀룰로오스의 미세구조 변이 (Variation of Fine Structure of Wood Cellulose within Stems of 3 Commercial Softwood Species Grown in Korea)

  • 은동진;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2-20
    • /
    • 2008
  • 국내에서 성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셀룰로오스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에 대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이를 X선 회절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상대결정화도 평균값은 소나무 60.6%, 잣나무 61.7%, 리기다소나무 49.4%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상대결정화도는 약 10~15연륜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상대결정화도가 조재부의 상대결정화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소나무 상대결정화도는 수관부보다 기부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는 수고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각 수종의 셀룰로오스 결정폭은 3수종 모두 2.8~3 nm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조만재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상대결정화도와 결정폭 중 상대결정화도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광주지방(光州地方)의 리기다소나무 및 리기테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한 연구(研究)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taeda Plantation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김갑덕;김재생;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28-35
    • /
    • 1985
  • 전남(全南) 광주(光州)에 소재(所在)하는 22년생(年生)의 리기다 및 리기테다소나무임분(林分)에 $200m^2$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및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을 분석(分析) 추정(推定)하였다. 각(各) 표준지(標準地)에 직경급별(直徑級別)로 안배한 9 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벌채(伐採)하여 1m의 계층(階層)으로 절단(切斷)하고 간(幹)(Ws), 지(枝)(Wb), 엽(葉)(Wl) 부위(部位)로 나누어 건중량(乾重量)을 계산(計算),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이용(利用)하여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光合成部)가 리기다소나무는 지상(地上) 6.2m, 리기테다소나무는 지상(地上) 9.2m 높이에서 시작되었고, 수관(樹冠)의 최대광합성층(最太光合成層)은 각각(各各) 11.2m, 12.2m 높이에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은 리기다소나무가 71.61 t/ha, 리기테다소나무가 142.32 t/ha이었고,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각각(各各) 10.81 t/ha/yr, 10.46 t/ha/yr이었다. 현존량밀도(現存量密度)는 리기다소나무가 $0.56kg/m^3$, 리기테다소나무가 $0.96kg/m^3$ 이었다.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을 추정(推定)한 바 NAR은 리기다소나무가 1.32 kg/kg/yr, 리기테다소나무가 1.00 kg/kg/yr이었고, 잎의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각각(各各) 0.97 kg/kg/yr, 0.81 kg/kg/yr 이었다.

  • PDF

폐로프 재활용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탄산화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cycled Waste Rope Fibers on the Strength and Carbonation Resistance of Cementitious Composites)

  • 조상환;한택희;김민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07-41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폐로프 재활용 섬유를 사용하여 보강된 시멘트 복합체(이하, W 시리즈)의 탄산화 시험을 EN 12390 규정에 따라 수행하고, 폴리프로필렌 기반 상용 보강재 (이하, P 시리즈)를 함유한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탄산화 시험 결과, 탄산화 깊이는 물시멘트비에 특히 큰 영향을 받았으며, 동일 조건에서 폐로프 보강재 함유 시멘트 복합체의 탄산화 저항성능이 상용 PP 계열 보강재를 혼입한 경우보다 다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총 250일의 탄산화 시험 기간 동안, P시리즈와 W 시리즈 모두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W 시리즈의 평균 압축강도가 P 시리즈보다 다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 초기 단계에는 W 시리즈가 P 시리즈와 동일 수준의 휨강도를 얻었으나, 후반에는 P 시리즈가 평균 1.0 MPa 더 높은 휨강도를 보였다.

構造材料의 破壞 및 械能과 設計

  • 송삼홍
    • 기계저널
    • /
    • 제19권1호
    • /
    • pp.324-330
    • /
    • 1979
  • 본 강좌에서는 설계를 하는 데 특히 고려해야 할 부분의 하나인 재료의 선택과 관련시켜 고분재 료의 기계적인 거동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개념을 소개하고 물건의 파괴기능과 설계 등의 관계를 구조재료의 관점에서 기술하여 보고자 한다. 앞으로 본 강좌에 기술되는 내용은, 금번 가 능하면 쉽게 학회지 내용을 소개하고 널리 보급하자는 새로운 편집방법에 따라 다소나마 독자 여러분께 참고가 될까하여 이미 발간되어 있는 책자 등에서 간추려 보았다. 앞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기술하여 보고자 한다.

  • PDF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를 이용한 전치의 심미적 수복

  • 김현경;조영곤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8-319
    • /
    • 2002
  • 심미적으로 고안된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 수복의 병행은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한 심미적인 불편감과 기능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증례에서 적절히 사용된다면,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다소 해결재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강체흡음재의 수직입사 흡음특성 (Normal Incidence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teel Absorber)

  • 정정호;전병기;김정욱;정재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48-851
    • /
    • 2008
  • 유리섬유 및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질 흡음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공성 알루미늄과 같은 강체 흡음재가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한 다공성 강체에 대하여 수직입사 흡음성능을 조사하였다. 밀도, 두께, 세부 프로파일 등에 따른 성능비교를 위하여 서로 다른 9개의 시험편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밀도가 낮고 두께가 두꺼운 다공성 강체의 흡음성능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께의 증가에 따라 중저주파수 대역의 흡음특성이 증가되었다. 배후 공기층이 형성되는 경우 중 저주파수 대역의 흡음성능이 매우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착제가 사용된 실험편에 배후공기층이 형성되는 경우 전주파수 대역에서 매우 평탄한 수직입사 흡음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스테인리스 스틸 다공성 강체가 방음시설물, 흡음.확산용 내장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