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감각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sign and Integration of U Effect System with Multi-sensory Motional Display (다감각의 운동감을 갖는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설계 및 통합)

  • Yoo, Byoung-Hyun;Han, Soon-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93-99
    • /
    • 2005
  •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교육과 지식의 전달을 위한 도구로 발전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및 문화체험을 위한 첨단과학전시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역학적 계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는 컨텐츠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효과적인 지식전달 및 흥미 유발을 위해서는 운동감뿐만 아니라 다감각을 동원한 체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운동감 생성 방법과, 다감각 동원 가상현실효과 시스템을 설계하고 통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시점변화를 기반으로 한 운동감 생성과, 미리 저장된 모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운동감 효과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객의 상호작용에 의한 운동감 효과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관객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가상현실 효과를 위하여 체감형 전시 시스템에 적합한 다양한 다감각 효과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다감각 효과를 선정하여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체감형 전시를 위한 가상현실 효과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정립하였다.

  • PDF

Effect of the Multisensory on the Stress-relieving for Vehicle Driver (운전자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다감각 자극의 효과)

  • Kim, Young-Joo;Kim, Hyejin;Lee, Hyunwoo;Jo, Youngho;Whang, Min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4
    • /
    • pp.107-11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on relieving the stress experienced by drivers. The photoplethysmograms (PPGs) of 30 healthy subjects were measured, and their subjective response to stressful situations and normal driving were evaluated. The subjects underwent nonstimulation and multisensory stimulation in stressful driving situations. Heart rate estimation from the PPG was collected via an ear-type sensor to reduce movement noise. The signals acquired were sampled at 200 Hz using BIOPAC PPG100C.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analyzed to compar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on stress situations. In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blue, green, and yellow were used for the visual sensory system; white, pink, and brown noises were used for the auditory sensory system; and lavender, lemon, and rosemary were used for the olfactory sensory system.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however, the HRV results showed an increased HF (%) and decreased LF (%) and LF/HF (%) in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g., green, pink noise, and rosemary) when compared to the nonstimulation.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of the Community Resident Elderly (다감각 자극훈련이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i, Ji-Hyon;Yoo, Doo-Ha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6 no.2
    • /
    • pp.1-10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of the community resident elderly. Methods : 10 participants who is over aged 65 years carry out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for 12weeks, once a week for 60minutes.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is consisted of total 12 topic based on body schema, gross muscle and tactile stimulation. The result was measured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Berg Balance Scale to evaluate before and after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And after interventi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pre- post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p<.05)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Conclusion :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for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to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So, additional studies is needed for efficient use.

Development of Emotion Evaluation Techniques on Kindergarten Education Contents Using Head Movement Analysis (머리중심점 움직임 분석을 통한 유치원교육콘텐츠의 감성유발 평가기술 개발)

  • Kim, Jonghwa;Kim, Songyi;Cha, Yesool;Kang, Eunhye;Kim, Jinman;Choi, Yujeong;Park, Byoungha;Kim, Yongsung;Kim, Seong-Dong;Park, Youngch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17-318
    • /
    • 2015
  • 다감각 자극을 사용한 유치원 교육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머리중심적 움직임 분석을 사용한 감성인식 기술을 개발하였다. 유치원 교육콘텐츠는 청각/후각/시각 등의 다감각 자극을 통해 교육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감각 자극동안 유치원생들의 감성유발을 측정하여 교육서비스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인식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인식기술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단영상을 측정하고, 머리중심점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유발된 감성을 인식한다. 또한 감성인식 결과는 다감각 자극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전달되어 다감각 자극을 제시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교육콘텐츠의 감성유발 결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도구로써 활용가능하였다. 더욱이, 교육콘텐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 공간에 적용하여 효과 검증 및 서비스 효과 증가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Outcomes of a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치매노인의 다감각(Multisensory)과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을 병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Jung, Hae-I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4 no.1
    • /
    • pp.53-62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in persons with dementia. Methods : Five person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and significant problem behaviors, received 4 weeks of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was employ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includ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 Participants' average problem behavior scores decreased from 70 in the pretest to 38 after program. Mean scores of burden of care decreased from 47 to 29. Conclusion :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decreas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The Effect of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이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변화)

  • Roh, Heo-Lyun;Kwag, S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8 no.2
    • /
    • pp.1-14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after applying a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to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Methods : A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to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order of a pre-test,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intervention, and a post-test. The first session involved a pre-test, in which the children's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were examined using self-efficacy test and type 'A' KNISE-BAAT writing test. The multisensory group activity program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In the last session, a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self-efficacy test and type 'B' KNISE-BAAT writing test. Data collected from the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8. Results : According to the tests taken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school, society), writing ability(command of vocabulary and sentence). Conclusion :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may be used as a beneficial measur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It is necessary to design various intervention models by combining educational media based on a multisensory approach.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Multiple Sensory Modalities in Virtual Environments (가상 환경 하에서 다감각 변수들의 영향도 평가)

  • Hong, Jeong-Hun;Jeong, Dong-Hyeon;Sim, Song-Yong;Song, Chang-Ge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9
    • /
    • pp.931-941
    • /
    • 2000
  • 본 논문은 가상환경 속에서 사용되는 다감각(시각, 청각, 후각, 촉각)요소가 현실감에 끼치는 영향력을 평가한다. 이번 실험에 80명의 피실험자가 참여하였으며, 여러 감각 요소들을 조합한 가상환경을 경험하게 하여 얻은 실험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요소들의 영향도를 평가한다. 주된 평가 요소는 가상 현실 환경 속에서 피실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현심감과, 감각 요소들이 피실험자들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가지고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여 본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우리는 이러한 다중 감감 요소들이 단일한 감각요소가 있을 때에 비하여 가상 환경 속에서의 사물에 대한 기억력과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는다. 또한 피실험자가 느꼈던 가상환경 속의 현실감과 사물에 대한 기억력에 대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증가시키는 것보다 그 외의 다른 요소(청각, 후각, 촉각)들을 첨가시키는 것이 현실감과 기억력을 배가시키는 요소로써 더 효과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 PDF

A Multi-Sensory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the Comfort of the Child Care Environment of Infant (유아보육환경 내 편안함 및 집중도 향상을 위한 다감각 시스템)

  • Moon, Seung-Mi;Kwon, Sook-Youn;L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35-537
    • /
    • 2013
  • 최근 현대사회의 가족체제 변화로 인해 유아 보육의 수요와 보육 시설이 급증함으로써 양질의 보육 환경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아기는 성인과 비교할 때 정서가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시기이며 특히 시각 및 청각을 통한 자극에 더욱 민감하므로 유아 시기의 보육 환경은 성장 이후 지적 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유아의 보육 활동 유형에 따라 이러한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동시에 자극하게 되면 감각의 통합과 상호작용으로 편안함과 집중력을 향상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만 3~5 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양질의 보육 환경 제공을 위해 '수면', '학습', '놀이', '식사 및 휴식'을 포함한 네 가지 보육 활동 유형을 상황 정보로 정의하고 각 상황에 적합한 시각 및 청각 환경을 복합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다감각 시스템을 제안한다.

Effects of Sounds on Human Sensibility (제품의 음향적용에 따른 인간감성의 변화)

  • 김병주;이구형;정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92-96
    • /
    • 2001
  •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는 제품이 나타내는 전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인간의 오감이 모두 작용한다. 최근 대두되기 시작하고 있는 다감각 디자인은 형태와 색상을 중심으로 한 시각 중심의 디자인에 시각분만 아니라 청각과 후각 등의 감각요소를 추가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제품 디자인에 다감각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감각자극과 인간의 감성 사이의 관계가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하며, 복합자극 이전에 시각 이외의 단순 감각자극에 의한 감성 변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음향자극에 대한 감성변화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선별된 30개 음향을 대상으로 6쌍의 감성어휘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음향이 피실험자의 감성에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성의 변화는 음향의 물리적 속성 분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에 의해 차이를 보였으며, 이 결과는 감성의 개인적 속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 PDF

Layout Based Multimodal Contents Aughoring Tool for Digilog Book (디지로그 북을 위한 레이아웃 기반 다감각 콘텐츠 저작 도구)

  • Park, Jong-He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12-51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layout based multimodal contents authoring tool for Digilog Book. In authoring step, users create a virtual area using mouse or pen-type device and select property of the area repetitively. After finishing authoring step, system recognizes printed page number and generate page layout including areas and property information. Page layout is represented as a scene graph and stored as XML format. Digilog Book viewer loads stored page layout and analyze properties then augment virtual contents or execute functions based on area. Users can author visual and auditory contents easily by using hybrid interface. In AR environment, system provides area templates in order to help creating area. In addition, proposed authoring tool separates page recognition module from page tracking module. So, it is possible to author many pages using only single marker. As a result of experiment, we showed proposed authoring tool has reasonable performance time in AR environment. We expect that proposed authoring tool would be applicable to many fields such as education and pub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