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능동형태모델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에너지 최소화 기반 능동형태 모델을 이용한 입술 윤곽선 추출 (Lip Contour Extraction Using Active Shape Model Based on Energy Minimization)

  • 장경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891-189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능동형태 모델을 개선하여 입술의 형태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입술의 형태변형은 능동형태 모델에 기반을 둔 통계적 형태 변형 모델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능동형태 모델에서 각 점은 지엽적인 정보인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전역적인 정보를 사용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능동윤곽선 모델에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에너지 함수를 정의하고 전체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위치로 점들이 이동하게 하였다. Tulip 1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 입술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실제 형태에 가깝게 입술을 추출하였다.

특징 가중치 벡터를 적용한 능동 형태 모델 기반의 눈동자 움직임 추적 (The Pupil Motion Tracking Based on Active Shape Model Using Feature Weight Vector)

  • 김순백;이수흠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08
    • /
    • 2005
  • 본 논문은 특징 가중치 벡터를 적용하여 능동형태 모델(Active Shape Model)기반에서 눈동자의 움직임 추적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능동형태 모델에서는 객체 추적을 위한 PDM 구성을 위해 각 특징점 구성 벡터의 유클리디안 거리의 최소 값으로 Training Set정렬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적절하지 못한 샘플 영상으로 인해 안정된 PDM을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 서는 형태를 구성하는 특징점마다 가중치를 부여하는 벡터를 작성하고, 최소자승근사법으로 최유사 특징점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선형방정식을 구상하였다. 이로 인해 안정된 PDM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눈동자 추적실험을 통해 형태적 움직임을 보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능동형태 모델에 비해 반복연산의 횟수가 줄어들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눈동자의 움직임 추적에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능동형태모델 기반 다시점 영상 추적 (Multiview Tracking using Active Shape Model)

  • 임재현;김대희;최종호;백준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9-183
    • /
    • 2007
  • 다시점에서의 다중 객체 추적은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다시점 영상 추적은 두 객체가 서로 근접하면 하나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능동형태모델(active shape mode: ASM)을 들 수 있다 ASM은 훈련집합을 이용하여 다른 객체에 가려진 목표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겹쳐진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 ASM 기반의 다시점 추적 알고리듬(Multi-view tracking using ASM: MVTA)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된 추적 방법은 (i) 영상 획득, (ii) 객체 추출, (iii) 객체 추적, 그리고 (iv) 현재 형태의 업데이트, 4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다시점 영상을 획득하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객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며, 겹쳐진 객체로부터 목표 객체를 분리해낸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추적을 위해 ASM을 사용하며, 마지막 단계인 네 번째 단계는 현재 입력 영상의 업데이트이다. 실험결과 제안한 MVTA는 겹쳐진 객체를 추적 시에 생기는 문제에 대해서 향상 된 결과를 보여준다.

  • PDF

뼈대-구조 능동형태모델을 이용한 사람의 자세 정합 (Human Pose Matching Using Skeleton-type Active Shape Models)

  • 장창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2호
    • /
    • pp.996-1008
    • /
    • 2009
  • 본 논문은 뼈대-구조(skeleton) 형태의 Active Shape Models을 이용한 사람의 자세 정합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모델 생성과 정합 과정에서의 빠른 수행 시간을 위해 기존 윤곽 형태(silhouette)의 모델이 아닌 뼈대-구조 형태의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존 Active Shape Models을 뼈대-구조 형태로 사람 자세 정합에 적용했을 경우 자세를 결정짓는 팔과 다리의 부정확한 정합은 사람 몸의 다양한 색상 정보와 전후(fore-rear direction)만을 고려한 특징점(landmark)의 방향정보로 인해 발생되며, 이러한 문제점은 입력 영상의 차영상 정보와 사람의 자세를 결정짓는 팔과 다리의 중요 특징점에 방향정보를 추가하여 해결하였다. 사람의 뼈대-구조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600개의 이미지를 사용 하였으며, 생성된 형태 모델은 사람의 자세에 정합될 수 있는 17개의 특징점을 포함한다. 정합 과정에서 최대 30번 이하의 반복 과정을 수행 하며, 최대 수행 시간은 0.03초로 빠른 수행 시간의 결과를 얻었다.

객체추적을 위한 웨이블릿 기반 계층적 능동형태 모델 (Wavelet transform-based hierarchical active shape model for object tracking)

  • 기현종;신정호;이성원;백준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1C호
    • /
    • pp.1551-1563
    • /
    • 2004
  • 여기는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물체 추적을 위한 윤곽선 및 형태 파라미터 추출을 위해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능동형태모델의 계층적인 접근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능동형태 모델의 여러 단계 중 지역구조 모델링은 비정형 객체의 형태를 추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웨이블릿을 이용하여 계층적인 접근은 물론 지역구조 모델링단계를 웨이블릿 대역 분할을 이용하여 복잡한 환경에서의 객체를 강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정형객체를 실시간 비디오 추적에 이용하기 위해 웨이블릿을 이용한 계층적 움직임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예측, 보정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은 객체 추적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영상을 통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 상의 능동적 시간지원 규칙 모델 (An Active Temporal Rule Model on Temporal Database)

  • 박정석;김현철;류근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5-26
    • /
    • 2000
  • 근래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 분야 중에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에 대한 관리와 다양한 형태의 사건 발생적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는 분야가 적지 않으며 그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시간지원 데이터 모델과 그를 바탕으로 한 능동 처리 기능을 동시에 요구한다. 그 동안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와 능동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개별적으로는 많은 연구가 진전되었지만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시간지원 데이터 모델과 그를 바탕으로 한 능동 처리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 상의 능동적 시간지원 규칙 모델을 제시하고 그를 위한 능동적 시간지원 규칙 표현 언어를 함께 제시하였다. 제시된 능동적 시간지원 규칙 모델은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의 능동 기능 확장, 능동 규칙에서의 시간속성을 갖는 데이터 접근 사건의 개념과 표현 기법의 정립 및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영역 확장 등에 기여하였다.

  • PDF

입술의 형태 모델과 Down Hill 탐색 방법을 이용한 입술 인식 (Lip Recognition using Lip Shape Model and Down Hill Search Method)

  • 이임건;장경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68-976
    • /
    • 2003
  • 본 논문은 입술형태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입술은 GLDM(Gray Level Distribution Model)을 기반으로 표현하였으며 입술인식은 모델에 대한 입력영상의 정확도에 대한 목적함수를 최적화하는 문제로 단순화하였다. 최적화를 위해 다운힐 심플렉스(Down Hill Simplex)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지역 최소점으로 수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으로 기존의 능동적 형태 모델(ASM Active Shape Model)에서 찾지 못하던 입술의 윤곽을 찾아낼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시간 데이터베이스에서 능동 규칙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ctive Rule System on Temporal Databases)

  • 김홍균;남광우;류근호;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85-88
    • /
    • 2001
  • 이 논문은 시간 데이터베이스에 능동 규칙 시스템을 결합한 능동적 시간 데이터베이스의 능동 규칙 및 실행 모델을 제안하며 그 모델을 설계 구현한다. 기존의 시간 데이터베이스 능동 규칙 연구들이 시간 릴레이션에 대한 조건-조치 형태의 규칙 지원에 머물렀던데 비하여 제안하는 능동 규칙 모델은 유효시간 및 트랜잭션 시간을 지원하는 이원 시간 릴레이션에 대해 SQL3 트리거의 기능 모두를 시간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지원한다. 즉, 전이 릴레이션 및 전이 변수, 조건-조치의 류플 및 문 단위 수항을 포함한다. 또한, 능동 규칙의 유효시간 정의 및 유효시간 사건 등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시스템 구조 및 설계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가변적인 폐쇄 점들을 이용한 풍선 형태의 능동 윤곽 모델 (Balloon-like Active Contour Model Using Variable Closet Points)

  • 이주호;정승도;조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654-3659
    • /
    • 2012
  • 능동 윤곽 모델 혹은 스네이크는 영상처리 및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할 방법이다. 능동 윤곽 모델의 가장 큰 문제점은 초기에 설정하는 폐쇄 점들의 개수와 위치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초기 설정에 따라 결과가 극명하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특히 풍선 형태의 능동 윤곽 모델의 경우 작은 크기에서 시작하여 윤곽선을 만날 때까지 발산하여 그 영역을 넓혀 가기 때문에 초기의 폐쇄 점들의 영역보다 훨씬 커질 경우 더욱 큰 문제점을 보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쇄 점들 간의 거리에 따라 폐쇄 점들의 개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능동적 형태 모델과 가중치 벡터를 이용한 입술 인식 (Lip Recognition Using Active Shape Model and Shape-Based Weighted Vector)

  • 장경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8권1호
    • /
    • pp.75-85
    • /
    • 2002
  • 이 논문은 입술의 형태와 입술 외곽선 부근의 화소값을 이용하여 입술을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입술의 형태는 학습 영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능동적 형태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이 방법은 탐색시 초기 위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입술의 형태에 기반한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두 입술 사이의 경계선을 찾고 탐색의 초기 위치로 사용하였다. 다양한 입술 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