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능금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사과, 능금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임금(林檎), 내(柰), 빈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The Bibiographical Inverstigation of the Apple and Neung-keum)

  • 김종덕;고병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9-348
    • /
    • 1998
  • We can have the following summary regarding the apple, what is called, 'the king of fruits' through the study of bibliographic science. 1. Im-keum(林檎) could be translated into 'Neung-keum'(능금)(Malus asiatiaz Nakai), Nea(奈) into 'Meut'(멋), and Bin-gwa into 'apple'(사과)(Malus pumila Mill), and Bin-gwa was reformed from Meut. Thus, Neung-keum is similar to the apple, yet it is' different each other. 2. The imported year of the apple which was reformed from Meut(멋) from China was in 1654 whereas Neung-keum(능금) is a native kind. 3. The apple inscribed by Sa-gwa(沙果) on the present korean language dictionary should be changed into Sa-gwa. The Sa-gwa(沙果) is used as another name of Neug-keum(능금) in China. 4. We can find the bibliographic record that an apple or Neug-keum(능금) had been used as a substitution of San-sa(山사) to be used to Soe-um-in(小陰人). 5. The apple and Neug-keum(능금) are recommended to the Soe-um-in(少陰人) as a food for Yang-ran-ji-gi(陽煖之氣) to be served as Bo-myung-ji-ji(保險之主) to Soe-um-in(少陰人).

  • PDF

담배잎에서 칼륨과 능금산이 질산태질소의 이동 및 환원에 미치는 영향 (ROLE OF POTASSIUM AND MALIC ACID FOR NITRATE TRANSLOCATION AND REDUCTION IN TOBACCO LEAF)

  • 이윤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1-149
    • /
    • 1985
  • 뿌리에서 흡수된 질소는 대부분이 질산태이온으로 잎의 엽맥까지 도달하나 엽육에서 급격히 환원되어 유기태질소로 동화한다. 잎의 주맥을 통과하여 세맥까지 질산태질소로 이동되며 전질소의 1/2이상의 양까지 다다르나 엽육에서는 전질소함량이 엽맥의 5배까지 증가되어도 질산태질소는 $10^{-2}$ 정도로 급격히 환원되었다. 칼륨은 엽맥까지 질소와 동반 이동하나 엽육에서의 질산태질소환원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되는 현상을 보였다. 엽육에 축적된 칼륨은 능금산의 축전을 촉진하였고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하위엽에 높은 농도로 축적되었다.

  • PDF

RAPD를 이용한 능금속 식물종의 계통관계와 유전적 다양성 (The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of genus Malus using RAPD)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56-761
    • /
    • 2007
  • 능금속(Malus) 식물은 다년생 목본으로 국내에는 약 8종이 있다. 이 속에 있는 사과(M. pumila)는 경제적 중요작물로 그 기원은 서중국의 야생종 M. sieversii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Malus내 모든 분류군과 중국의 M. sieversii를 RAPD로 분석하였다. 재배종이 높은 다양성을 나타낸 반면 제주아그배나무가 가장 낮은 다양성을 나타내었다. 재배종이 야생종보다 유전적 다양도가 더 높게 나타나 재배화 과정에서 여러 종과교잡이 일어나 많은 유전자가 침투된 것이라는 보고를 됫받침한다. 이 속은 M. sieversii를 포함한 사과나무, 능금나무가 같은 분자군을 형성하였고, 개아그배나무 또는 제주아그배나무(Malus micromalus),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꽃아그배나무(Malus floribunda)가 같은 분지군, 야광나무(Malus baccata), 개야광나무(Malus baccata for minor), 털야광나무(Malus baccata var. mandshurica)가 같은 분자군을 형성하였다. 한국내 재배종 사과와 능금이 국내 자생종 능금속에서 진화나 분지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고 오히려 중국 야생종이 그 기원의 하나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능금산법으로 제조된 페롭스카이트형 산화물에서 벤젠의 촉매연소반응 (Catalytic Combustion of Benzene over Perovskite-type Oxides Prepared Using Malic Acid Method)

  • 정원영;홍성수
    • 청정기술
    • /
    • 제18권3호
    • /
    • pp.259-264
    • /
    • 2012
  • 페롭스카이트형 산화물을 능금산법으로 합성하여 TG/DTA, XRD, XPS, TEM 및 $H_2$-TPR 등에 의해 특성분석을 하였고, 벤젠의 연소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촉매들은 페롭스카이트 결정구조를 잘 가지고 있었으며 15에서 70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LaMnO_3$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350^{\circ}C$에서 거의 100%의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반응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페롭스카이트 산화물의 A-와 B-위치에 다른 금속이온의 치환을 행하였다. $LaMnO_3$ 촉매의 A-위치에 Sr을 일부분 치환시키면 벤젠의 전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B-위치에 Co 및 Cu 이온의 치환 역시 촉매 활성을 증가시켰고, $LaMn_{1-x}B_xO_3$ (B = Co, Fe, Cu)형 페롭스카이트에서 촉매활성은 Co > Cu > Fe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2마리 정도 보일 때 약제살포 - 사과원의 응애류발생과 관리대책

  • 이순원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6권6호
    • /
    • pp.63-73
    • /
    • 1985
  • 최근에 과수농가의 농민과 원예 및 능금조합의 지도기사들을 대상으로 과수해충 방제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사과원에서는 응애류가 심식충류나 진딧물보다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필자가 전국 6개 지역의 15개 일반 농가의 사과원을 2년간 년 3회 이상 관찰한 결과에서도 심식충류의 피해를 받고 있는 농가는 거의 없었으며, 응애류는 그 발생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사과원에서 상존하고 있는 현상이었다. 이와 같이 응애류가 사과원에서 주요해충으로 등장하게 된 이유는 첫째, 시비$\cdot$농약살포 등 관리상태의 향상으로 사과나무 잎의 생리적 조건이 변화되어 응애류의 생식력을 자극시켰기 때문이라는 ''생식자극설''(生殖刺戟設)과 둘째, 1940년대 후반 이후 농약 사용의 급증으로 인하여 응애류의 발생을 억제하던 포식성 응애를 비롯한 천적류가 감소 또는 멸종되었기 때문에 응애류가 격발(激發)하게 되었다는 ''포식자억제설''(捕食者抑制設) 등이 있다.

  • PDF

대구시(大邱市) 인근 3지역(地域) 사과 '후지'의 과실품질(果實品質) 비교(比較)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Apple 'Fuji' Produced in Different Three Areas in Taegu)

  • 신영범;차은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33-38
    • /
    • 1997
  • 산지(영천군 청통면 신원리), 평지(영천군 신령면 연정리) 강변지(영천군 금호읍 냉천동)의 과수원에서 각각 '후지'과실을 채취하여 대구시 인근의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지역 공히 품질이 평균적인 과실을 채취하였고 강변지 과실 중량이 40g정도 작았고, 과실종경 최소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작았다. 평지 과실의 횡경은 최대치, 최소치 모두 산간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형지수는 강변지 과실이 다른 지역에 비해 편원형이었다. 이러한 과형의 차이는 온도, 토양수분함량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과실 착즙률은 각 지역간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2.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당의 50%정도가 프락토즈인 것으로 나타났고, 산지의 슈크로즈, 프락토즈, 솔비톨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글루코즈는 다른 지역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당도는 전당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3. 각 지역 공히 후지과실 전산의 98% 정도가 능금산이었고 시트르산이 2%를 차지하였다. 산지과실의 능금산 함량이 다른지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적정산은 전산함량과 거의 같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 - 전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Neunggil Village Forests in Jinan)

  • 박재철;김병섭;윤성호;박선미
    • 농촌계획
    • /
    • 제10권3호
    • /
    • pp.27-3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and villageside forest in case of Neunggil village in Jinan county of Korea. These forests were managed very well before industrialization by village residents in order to obtain fuels and organic fertilizers traditionally. But recently, these forests were abandoned by using natural gas, oil and chemical fertilizer. Therefore, species diversity of these forests was downward and traditional rural landscape was los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restoration guidelines of these forests through rest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For this, vegetation map was made by quadrat method. And management guidelines of these forests were suggested by the analysis of vegetation map. Also, for the restoration of supplementary village grove, Miyawiki professor's method of Yokohama university through introducing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suggested.

능금무리(Apples)의 중국도내(中國渡來)에 관(關)한 고찰(考察) (Investigation to Introduction of Apples on Chinese)

  • 이성우;김광수;이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3-59
    • /
    • 1976
  • Around 2nd century B. C. two varieties of apple, i. e. 'Nay' and 'Imgum' were already grown in China. It can be suspected that 'Nay' came from the West because of its popular word 'Pyn Por' and 'Imgum' was originated from North East Asia because of its word 'Lii Kiem'. After this time 'Imgum' was called as its popular name 'Sha Guoo' in about 15 th century. In 17th century a new variety of 'Nay' was named as 'Pyng Guoo' and this name was replaced with 'Nay' when the variety was widely supplied. In 19th century a better variety of 'Nay' was developed in the West and it was introduced into China in 20th century which was called 'Western Pyng Guoo'. As a result there were two kinds of 'Pyng Guoo', i. e. 'Chinese Pyng Guoo' and 'Western Pyng Guoo'. However, the 'Western Pyng Guoo' was more supplied and it was said 'Pyng Guoo' which was written as 'Pyng Guoo(?果)' or 'Pyng Guoo (平果)'. At present time apples were classified into 'Sha Guoo' and 'Pyng Guoo'. The old 'Nay' is now called 'Bin Tzyy' which is hardly found. From this study it is suspected that the history of Chinese apples were affected much on our introduction history and its naming.

  • PDF

한국내 고추나물의 하이퍼리신 유전자(HyH)의 탐색과 유럽의 서양고추나물과 비교 (Detect of Hypericin (HyH) gene in Hypericum erectum in Korea and Comparison of H. perforatum in Europe)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034-1038
    • /
    • 2007
  • 하이퍼리신(Hypericin, HyH)은 예로부터 성 요한의 풀(St. John's Wort)로 널리 알려져 있는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에서 추출되는 약리성분이다. 서양고추나물은 국내에서는 자생하지 않으나 같은 속의 고추나물(H. erectum) 등이 이속에 속하며 우리나라에 자생한다 . 고추나물을 조직배양으로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후 Hyp 유전자를 추출하여 서열화한 결과, 전체 크기는 732 bp로 나타났으며 서양고추나물의 HyH-1과 거의 99.8% 서열 일치를 나타내었다. 이 서열의 152개 아미노산 역시 서양고추나물의 항산화효소와 98% 일치하였으며 자작나무와 능금속 식물에서 유발되는 알레르기 유발유전자와 약 60% 일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우울증치료제로 사용되는 하이퍼리신 추출에 우리나라 자생종인 고추나물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