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수지점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Fundamental Study on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Supply Valve Using Smart Bolt (상수도 밸브 누수 탐지용 스마트 볼트 적용의 기초 연구)

  • Park, Chul;Kim, Young-seok;Jung, Hae-Wook;Choi, Sang-sik;Lee, Yong-Beo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44-154
    • /
    • 2020
  • Purpose: This paper is a funda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smart bolt developed for monitoring system to detect the leakage of water supply valve. Method: A leak dete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mart bolt having embedded strain sensors and accelerometer. The smart bolt used in study meets the allowable criteria of torque and tensile stress for water supply system, and it can be applied to a joint of the water supply valve by behaving well within the allowable limits. Result: As a result of the simulated leak tests, a leak signal at the valve leak point was detected in a band of 60Hz, and the main pipe leaking point was observed to produce a leak signal having much higher frequency than that of the valve leak point. This seems to result in a total coupled vibration under unconfined conditions of the pipes. Conclusion: The smart bolts appeared applicable to detecting a leaking signal from the water supply valve.

Design Flood Wave for Seepage Analyses through Levees (하천제방의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결정)

  • Yoon, Kwang Seok;Yeo, Kyu 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92-109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대한 부정류 침투해석시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위자료가 양호한 낙동강 수계 수위관측소 지점의 홍수자료를 수집하고 그 지검에 해당하는 계획홍수량 및 계획홍수위를 조사하였다. 설계홍수파형 결정 방법은 일본의 하천제방설계지침(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을 참고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낙동강의 9개 수위관측소 지점의 과거 홍수사상과 계획홍수량 산정시 사용되었던 설계수문곡선을 이용하여 합성홍수파형을 시험적으로 결정했다. 비교분석하여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을 결정 방법에 적용한다. 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은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경사로 결정할 수 있는데, 홍수지속시간은 합성홍수파의 홍수지속시간이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산정되었는데, 이는 설계시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에 어느 정도 안전율을 적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감수부 경사는 분석된 과거 홍수사상중에는 계획홍수파의 감수부 경사보다 급하게 감소하는 것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감수부 경사는 계획홍수량 산정시 사용했던 수문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측 설계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최근 누수에 의한 제방붕괴가 발생한 바 있는 낙동강 유역에 대해서 시험적으로 적용해 보았으며 그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했다.

  • PDF

하나로 일차냉각계통 배관의 피로해석

  • 류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864-869
    • /
    • 1998
  • 파단전 누수균열을 일으키는 가장 주요한 파손 형태는 피로파손으로 사료되어, 하나로 일차냉각계통 배관의 피로파손 가능성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을 수행하였다. 하나로 일차냉각계통 배관은 발전로에 비해 저온, 저압이므로 ASME Class 3 로 분류되어 설계 완료되었지만 Class 3 절차에 의해서는 피로해석을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없어, 본 연구의 피로해석에 서는 Class 1 절차에 따라 피크응력강도의 범위를 보수적으로 계산하여 피로누적계수를 산정하였다. 일차냉각계통 배관 중에서 피로파괴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예상되는 고응력 지점을 배관응력해석 결과로부터 선택하여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선택된 분기관 연결부, 앵커 지점 및 butt 용접부의 피로누적계수들이 모두 1 보다 훨씬 작았으므로 열평창과 OBE 지진하중으로 인한 일차냉각계통 배관의 피로파손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냉각재 상실시 파단전 누수균열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일차냉각계통 배관의 피로파손에 대한 배관의 건전성은 충분히 입증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ifi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Leakage Detection of a Waterside Concrete Barrage (콘크리트 수변구조물의 누수 탐지를 위한 변형된 전기비저항 탐사 연구)

  • Lee, Bomi;Oh, Seokhoon;Im, Eunsa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8 no.3
    • /
    • pp.115-124
    • /
    • 2015
  • A modifi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has been suggested and applied to a leakage detection problem of concrete barrage. We suggest the modified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s using electrodes floating on the water and apply line current sources instead of conventional point current sources in order to facilitate simple analysis. In addition, the study introduced the following three variations of modified electrode array: Direct potential array, Parallel potential array and Cross potential array. These arrays were tested and investigated through numerical experiment, physical model experiment and geophysical field exploration in order to verify their applicability to the water leakage detection of a concrete barrage. When water leakage occurred, all kind of array operations demonstrated distinct changes of aspects of potential difference in graphs obtained by not only the numerical and physical model experiments but also geophysical field exploration. Therefore, this modified electrode arrays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which has been adapted to the concrete barrage, has been found to be a useful method to detect water leakage.

Data value extraction through comparison of online big data analysis results and water supply statistics (온라인 빅 데이터 분석 결과와 상수도 통계 비교를 통한 데이터 가치 추출)

  • Hong, Sungjin;Yoo, Do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1-431
    • /
    • 2021
  •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사회기반시설물의 계획 및 운영관리에 있어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가치추출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데이터의 가용성과 접근성, 정부 지원 등을 평가하는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 한국은 1점 만점에 0.93점을 획득하여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1위(2019년 기준)를 할 정도로 매우 높은 수준(평균 0.60점)이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발표 및 배포되는 사회기반시설물 관련 정보와 심도 있는 연구 분석이 필요한 정보는 접근이 여전히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대표적인 사회기반시설물인 상수도시스템은 대부분 국가중요시설로 지정되어 있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는데 제약이 존재하며, 관련 국가통계인 상수도통계에서는 누수사고 등과 같은 비정상적 상황에 대한 사고지점, 원인 등과 같은 세부정보는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웹크롤링 및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활용하여 과거 일정기간 발생한 지자체의 상수도 누수사고 관련 뉴스를 전수조사하고 도출된 사고건수를 국가 공인 정보인 상수도통계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독립적인 누수사고 기사를 추출하기 위해서 중복기사의 제거, 누수 관련 키워드 정립, 상수도분야 이외의 관련기사 제거 등의 절차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기법은 R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되었다. 추가적으로 뉴스기사의 자연어 처리기반 정보추출기법을 통해 누수사고 건수 뿐만 아니라 사고발생일, 위치, 원인, 피해정도, 그리고 대상 관로의 크기 등을 획득하여 상수도 통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보다 많은 가치를 추출하여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국내 A광역시에 적용하여 누수사고 건수를 비교한 결과 상수도통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누수발생건수와 유사한 규모의 사고건수를 뉴스기사분석을 통해 도출할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론은 추가적인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rovement of existing drainage system for leakage treatment in exiting underground structures (운영중인 지하구조물의 누수처리를 위한 유도배수공법의 개선)

  • Kim, Dong-Gyou;Yim, Min-Ji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4
    • /
    • pp.669-683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ification of the previously proposed drainage system for catching the partial leakage of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s. Two techniques were proposed for applying the drainage system only to the leaking parts. One was for conveying leaking groundwater to the collection point in the drainage system and the other was for conveying the collected groundwater to the primary drainage system of the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 Four waterproofing materials for conveying leaking groundwater to the catchment point of the drainage system, Durkflex made of porous rubber material, KE-45 silicone adhesive with super strong adhesion, Hotty-gel made of polymeric materials and general silicone adhesive were evaluated for waterproofing performance. Hotty-gel only showed perfect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other three waterproof materials leaked. The modified drainage system with Hotty-gel and drainage pipe with fixed saddle to convey the leaking groundwater from the catchment point to the primary drainage system were tested on the concrete retaining wall. The waterproof performance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were evaluated by injecting 1,000 ml of water in the back of the modified drainage system at the 7-day, 14-day, 21-day, 28-day, 2-month and 3-month. There was no problem in waterproof performance and drainage performance of the modified drainage system during 3 months. In order to evaluat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of the modified drainage system, i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leaching repair method in surface cleaning stage, leakage treatment stage, and protective barrier stage. Total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were compared in considering the contents of work, repair material, construction equipment, working time, and total number of worker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in each construction stage, it was concluded that the modified drainage system could sav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leaching repair method.

A Study on Previous Plan for Levee Leakage Monitoring Sensors (제방누수감지센서 설치를 위한 사전계획 연구)

  • Park, Kyoung-Won;Jung, Kwan-Su;Lee, Gwang-Man;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9-673
    • /
    • 2012
  • 제방안전성 모니터링은 제방파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근래에 미국은 2005년 허리케인 카타리나에 의해 2,000여명의 인명손실을 경험하였고 2011년 3월 일본은 도후쿠지역의 초강력 지진에 의한 쓰나미로 인해 수만명의 인명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침수로 지금까지 방사능 누출 차단작업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강 복원사업으로 주요 국가 하천 구간에서 홍수 및 체제 불안정에 의한 제방붕괴사고위험이 현격하게 줄어들었으나 제방의 안전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신설된 보 주변, 배수통문 신설구간 그리고 제방누수 예상지점 등에서는 아직 안전한 상태라고 확신할 수 없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개발한 간극수압 및 온도 센서 등을 위험예상지점에 설치하고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 검토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방에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 주요 검토사항에 대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주요 검토사항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의 제방거동 메커니즘 예측, 왜 계측시스템을 설치하는지에 대한 목적에 대한 평가, 설치 지점의 제방의 토질공학적 문제점 파악, 모니터링 대상 매개변수 혹은 항목 선정, 조사대상 항목의 변화정도를 예측하여 거동 범위 확정, 적정 계측기기 설치 지점을 선청, 계측기기 선정, 자동화 혹은 실시간 정보시스템에 필요한 사항 결정,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기록 계획, 정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필요사항 정립, 비용의 결정, 장기 예측 계획, 정기 검 보정 및 관리 계획, 자료수집 및 관리계획, 자원의 공조 및 생애주기 비용 등을 포함하였다.

  • PDF

Water distribution system contamination source estimation based on trace analysis (Trace Analysis 기능을 활용한 상수도 관망 내 오염물 유입 지점 추정)

  • Shin, Geumchae;Lee, Seungy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4-184
    • /
    • 2022
  • 지난 2019년 인천시, 서울시 문래동, 포항시 등에서 발생한 수질사고로 인해 국민의 상수도에 대한 신뢰도가 최악의 상황에 있으며, 이후로도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는 등 상수도 관망 내 체계적인 수질 관리 및 빠르고 정확한 수질 사고 발생 지점의 추정이 중요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오염물 유입 추정은 수리학적 사고로 고려되는 누수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그 지점 추정이 어렵다. 대게의 경우 수리해석을 진행하여 유량과 유향을 파악한 뒤 계측 지점에서부터 동일 시간대로 역으로 흐름을 거슬러 올라가며 확률상 높은 지점을 추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 수리해석 프로그램인 EPANET2.2에 내장된 Trace Analysis (이후 trace 분석) 옵션을 사용한 오염물 유입 지점 추정 방법론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오염물 유입지점은 한 곳으로 가정하였다. 해당 방법론은 먼저 절점별 trace 분석을 실시하여 모든 지점에서 수질 관측 지점까지 물이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정한다. 해당 시간과 오염물 관측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유입 확률이 높은 지점을 추출한다. 이를 위해 실측 데이터가 필요하며, 결과는 지점별 확률로 나타난다. 모의 결과 1개의 수질 관측 지점으로도 개략적인 지점을 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질 관측 지점의 수에 따라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향상한다. 마지막으로 유입 지점 추정 확률이 낮은 경우, 유입 지점 추정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수질 분석 지점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론은 향후 수질 사고 발생 시 최초 확산 방지를 위한 격리 지점 선정에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 수질 관측 지점을 결정 및 대응 방안 수립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Wireless Water Leak Detection System Using Sensor Networks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선 누수 탐지 시스템)

  • Choi, Soo-Hwan;Eom, Doo-Seop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3
    • /
    • pp.125-131
    • /
    • 2011
  • Water leak detection system is a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which detect a leak on water supply, localize the leak position and finally inform a water management center. A traditional leak detection method is to use experienced personnel who walk along a pipeline listening to the sound that is generated by the leaks and their effectiveness depend on the experience of the user. Also making more successful detection, it should be processed at middle of the night when people do not use water, as the result users have to operate the leak detection system at midnigh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water leak detection system based on the WSNs and describe it in detail. Leak detection devices which detect a leakage of water transmit and receive the result of water leak detection with each other by configuring WSNs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detection result. Also, we analyzed the sound from water flowed in pipeline, proposed the pre-signal processing to separate a leakage sound from noisy sound. And lastly,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make a time synchronization with water leak detection devices that are installed on the pipeline, we used 1PPS(1 Pulse Per Second) signal generated by GPS, therefore we could get a precise time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system set up in Namyangju and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nalyzing Infiltration / Inflow On Seung Gi Basin (승기천 유역에 대한 I/I 분석)

  • Choi Gye Woon;Lee Byung Joo;Chung Yun Jung;Lee Ho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23-1327
    • /
    • 2005
  • 도시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모아서 하수처리장 또는 방류수역까지 유하시키는 역할을 하는 관거시설은 하수도 시설의 근간으로서 일반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시설의 실태를 충분히 파악하여 적절한 유지관리를 시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하수관거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유지관리는 물론 현 실태 또한 제대로 인식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의 승기천 유역을 대상으로 I/I분석 및 예측, 이에 따른 오염 저감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승기천 유역 내 주요지점에 대한 관거 I/I 및 하수의 누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식 4개 지점(풍림지점, 우성지점, 동막지점, 성주지점)에 대해 하수처리장의 유입수량 및 수질의 영향을 파악하고 해당지역의 관거 문제점을 도출하여 정비방향을 모색하고, 사업시행에 따른 효과분석에 활용하며 성과분석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