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디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3초

2000년대(年代) 패션에 나타난 누디즘 현상(現狀)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udism Expressed in the 2000's Fashion)

  • 박태용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5호
    • /
    • pp.60-74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ly to considered nudism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secondly to consider the cultural meaning of the nudism fashion expressed in the 2000's and thirdly to clarify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udism fashion style in the 2000's. For these purposes, documentary studies about nudism in social science and psychology were analyzed and then objective studies with fashion magazine after the 2000 and clothes released at various collections were performed for studies about nudism fashion in the 2000'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udism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was divided into Naturalism, Counteracting culture, Eroticism and Narcissism. 2. Fashion, influenced by nudism, tended to express the beauty which emphasizes the functional aspects of nude and includes the decorative characters. 3. Nudism in the 2000’s fashion was summarized as Eroticism nudism fashion, Primitivism nudism fashion and Futurism nudism fashion.

현대패션에 나타난 누디즘 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dism Style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박태용
    • 복식
    • /
    • 제56권9호
    • /
    • pp.157-175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a theoretical concept of nudism from sociocultural context, to examine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cultural meaning of nudism style showing in the 2000's fashion world, and to analyze and examine its aesthetic qualities. The way of a study was based on analysis and review on philosophy, aesthetics, sociology, popular culture and various documents at home and abroad and previous study and research materials about art and clothes for theoretical study. Also, we carried out a case study by analyzing photo data from fashion books, magazines and internet websites, considering the body and dress as visual objects. The summary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udism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was divided into change of understanding of the body and liberation of the body; naturalism; resistant culture; psychoanalysis context. 2.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udism style in fashion are classified in Exposure, Transparency and Body Conscious. 3. The cultural meaning of nudism style expressed in the 2000's fashion are sexual opening, surfeit of mass media, pursuit of naturalism, lookism, and individualism. 4. Nudism style expressed in 2000's fashion is drawn as three aesthetic qualities: Eroticism, Primitivism and Futurism. First, Eroticism of nudism style fashion which seeks for sexual stimulus is classified in Sensualism, Provocation and Innocence. Second, Primitivism of nudism style fashion which tends towards naturalism objecting to mechanic and digital civilization and hoping for return to the origin is classified in Primitivism, Naturalism and Sensualism as per aesthetics qualities. Futurism which is the nudism style presenting futuristic expression through using a new material is analyzed as High Technology, Cyber Sexism and functional Future.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패션 디자인에 나타나는 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 (The Pursuit of Individual Freedom in Rudi Gernreich's Fashion Designs)

  • Lee, So-Young
    • 복식
    • /
    • 제38권
    • /
    • pp.123-142
    • /
    • 1998
  • 본 논문에서 패션 디자인(fashion design)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 방식을 제시해 보려하였다. 즉 패션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대한 철학을 이해함으로서 패션에 대한 근복적인 면에 대해 보다 나은 이해를 갖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은 디자이너 루디 건라이(Rudi Gernreich : 1922-1985)와 그의 작품들인데, 그의 작품들에 나타나는 급진적인 성향 뒤에 숨어 있는 그의 디자인 철학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철학의 상관관계를 조명하려는 것이 그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그에 대한 평가는‘파격적 패션’,‘소설 스테이트먼트(Social Statement)’,또는‘시각적 창출’등의 표현으로 극히 피상적인 것이었다. 반면에 그가 어떠한 경로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상하게 되었는지 또는 그가 현대의상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초점은 건라이의 패션 디자인을 그가 중요한 가치로 믿고 있었던‘개인적 자유에 대한 추구’의 반영으로써 재 평가해 보려는 것이다. 이것의 입증을 위해서 그의 디자인들을 역사적, 사회적 그리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그의 디자인 철학을 도출하기 위해 그의 개인적 배경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하였고, 그의 디자인과 관련된 자료와, 현존하는 작품들과 그에 따른 참고문헌들에 대한 분석 조사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필자는 건라이의 작품들을 세 개의 주된 주제들, 즉,‘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유니섹스 모드(Unisexs Mode)’, 그리고‘옵 아트 패션(Op-art Fashion)’으로 구분하였다.‘부분적 누디즘(Partial Nudism)’과‘유니섹스 모드(Unisex Mode)’는 60년대 중반에서 70ssu대 초반에 출현한 유스 컬츄어(Youth Culture)에 부합하는 그이 디자인의 반영으로써 성의 혁명, 여성 인권운동과 동성애자 인권 운동과 같은 사회이슈들과 그의 디자인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이다.‘옵-아트 패션(Op-art fashion)’은 건라이 디자인의 미학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체와 옵-아트 원리의 관계를 조명해 보고, 건라이가 옵-아트와의 연계하에 그의 디자인을 어느만큼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각 주체들은 건라이 작품들의 개별적인 분석을 통해 논하였다. 본 논문은 보다 넓은 관점에서의 건라이의 디자인에 대한 재 평가로 결론을 지었다. 이러한 재평가 작업을 통해 패션 디자인계에 미친 그의 공헌의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하고 현대 패션에 그의 영향이 계속 미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려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