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여성 노인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 여성노인들의 화병 유병율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Hwabyung for the Aged Woman in Rural Community)

  • 김혜경;박재용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4-24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tudy to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Hwabyung for the aged woman in rural communit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616 Aged Woman Living in Uiseong County from March 1 to April 20, 2004.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x^2-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Prevalence rate of Hwabyung was $13.3\%$ in Aged Woman Living in Rural Community. The factors of agricultural village feminine Hwabyung were personality, husbands. Prevalence rate this Hwabyung was high if a husband had angry work wife's personality was blunt and a wife had angry her husband. The reason to have got angry at a husband was liquor, a whoring. personality problem. It is necessary that community supports the aged woman and she develops own personality for development of own personality and solution of husband's problem in oder to low prevalence rate of Hwabyung for the aged woman in rural community.

  • PDF

농촌여성노인의 건강 및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 경기도 노인시범마을을 중심으로 - (Rural Elderly Women′s Health and Health Care Practices)

  • 노자경;한경혜;최은숙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84
    • /
    • 1994
  •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on the rural elderly women'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practices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welfare polici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33 elderly women over 60 who are lived in rural area.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Correlation, Crosstabs, Oneway-Anova and LSD test are used. Physical health status is slightly lower than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nd they are related to respondent's age, coresidence type, subjective economic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participation in farming and health care type. Eighty-two percent of (he respondents perceived their health condition as poor and Neuralgia is the most frequent health problem. Women's health care practices are passive and somewhat restricted by age, educational status, coresidence type, necessary time to medical institution, and health status.

  • PDF

경로당 이용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Senior Citizen Centers Utilization: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Condition in Korea)

  • 송그룸;;남은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3호
    • /
    • pp.141-153
    • /
    • 2020
  • 목적: 한국은 지역사회 기반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을 통해 노인들을 위한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경로당 이용에 대한 인구사회인적 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 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 분석 연구가 실시하였다. 이용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하였고, 경로당 이용과 관련된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12개월간 노인 1만299명 중 22.7%가 경로당을 이용하였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경로당 동료들과 여가를 보내기 위함이었으며, 대상자의 95% 이상이 제공되는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여성(AOR=1.20; 95% 신뢰 구간(CI), 1.05-1.38), 80세 이상 노인(AOR= 3.94, 95% CI, 3.30-4.71), 문맹자(AOR=5.27; 95% CI 3.80-7.30), 교육 수준이 낮거나 읍면 지역 출신(AOR=6.42; 95 % CI, 5.72-7.20)이 경로당을 이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생활 만족도 부분에서는 재정적 만족도(AOR=1.21; 95% CI, 1.06-1.37), 문화에 대한 만족도(AOR=1.49; 95% CI, 1.24-1.79) 및 친구들과 사회에 대한 만족도(AOR=4.24; 95% CI, 3.17-5.66)가 높은 사람이 경로당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이 없다는 응답자에 비해 만성 질환을 2개 이상 보유한자(AOR= 2.01; 95 % CI, 1.60-2.53)의 경로당 이용률이 2 배 더 높았다. 결론: 정부의 지역사회 기반 통합돌봄 정책 수립을 위하여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 돌봄 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은퇴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적 연구: 노인의 성과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Gender, Residential Areas, Retirement Transi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윤현숙;이미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197-217
    • /
    • 2006
  • 본 논문은 서울과 춘천지역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령화와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조사"의 1차년도와 3차년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전체 표본(n=1,124)을 도시 남성노인, 농촌 남성노인, 도시 여성노인, 농촌 여성노인으로 구분하여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도시 남성노인에게서만 은퇴로의 진입이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은퇴로의 진입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가 노인의 성, 거주 지역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며, 이러한 차이는 성과 거주 지역에 따라 생애주기 동안 경험한 경제활동, 가정내 역할, 은퇴 이후 역할 등의 차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 PDF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연구 (An Study of Psychological Autopsy of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

  • 최명민;김도윤;김가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55-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망자가 많은 한국사회 중에서도 자살률이 높은 농촌지역 자살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자살예방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자살원인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심리부검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두며 유가족 지원사업을 병행하도록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심리부검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가족이 동의한 25사례를 조사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자살위기자의 전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남성노인, 여성노인, 청장년층 귀향자 유형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원인과 경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농촌지역 자살의 심리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단기별 농촌지역 자살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장기간의 아쿠아 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운동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Aqua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Exercis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Old Women)

  • 이진종;황태연;이병훈;유재영;전경희;정진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99-1405
    • /
    • 2013
  • 본 연구는 아쿠아 운동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신체 조성과 운동기능, 삶의 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1년 2월 1일부터 2012년 1월 31일까지 전라남도 G 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 31명을 대상으로 주 1회, 회당 1시간으로 1년간 적용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에 건강관련 요소를 측정한 결과 장기간의 아쿠아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운동기능(유연성, 균형, TUG, 배근력) 및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 및 증가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농촌지역 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운동기능, 삶의 질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아쿠아 운동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 농촌 여성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양생연구 (A Study on Yangsaeng for Health Promotion of Aged Women in Rural Area)

  • 정희영;박형숙;박수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58
    • /
    • 2009
  • Purpos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yangsaeng level in a health management way of an aged women in rural area, and to offer basic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s public health service. Methods: The subjects were 144 aged women who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8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3.0 win program for fin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Tukey. Results: The average age of workers was 72. Total yangsaeng level was $3.08{\pm}.33$, highest yangsaeng factor was Activity & Rest Yangsaeng of $3.55{\pm}.46$ and lowest yangsaeng factor was Season Yangsaeng of $2.43{\pm}.75$. The total Yangsaeng level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incomes(F=4.046, p=.047).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the yangsaeng level of aged women is affected by the age, education level, a monthly income etc. Therefore, for health promotion plan of aged women, consider that their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ect,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promotion of health is necessary.

  • PDF

일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Self-R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 장인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ated health and to find various factors affecting it for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to provide data necessary to establish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elderly.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45 women with above 70 years of age reside in one rural community. VAS (Visual Analogue Scale) for self-rated health, Lawton's physical &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s, social network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women were measured on a 100 point(VAS) scale and the score was 53.6, indicating that women rated their health as moderate. 2. Factors such as income(p=0.008), family size(p=0.031), the level of ADL(p=0.039), urinary symptom(p=0.039), nocturia(p=0.001), visual difficulty(p=0.023),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p=0.015), presence of arthritis or neuralgia(p=0.015), social network(p=0.002), housework assistant(p=0.008), emotional support(p=0.03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ated health. 3. Through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ocial network, family size, visual difficulty, and housework assistan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p<0.05), explaining $21.0\%$ of the variance of the dependent variabl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y aging hopefully will lead to effective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PDF

도시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Affecting Factors of Aged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

  • 윤순녕;이지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2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aged women of rural areas and urban are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ir behavior, and to provide the primary data for developing heath enhancing progra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opul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21 aged women 100 from urban areas and 121 from rural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ere found by using SPSS PC Win. Package.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factors rela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Pender model between the aged women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urban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factors such as previous heath relating behavior, perceived confidenc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atisfaction with marriage, situational influence, and behavioral plan involvement, while rural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factors of fixed idea regarding gender role, perceived disabled feeling, and activity related emotions. At the subscale of HPLP, interpersonal relation, nutrition, health responsibility, stress management, spiritual growth of rural group was lower than urban group. With the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social support, activity related affect, self efficacy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o urban group, while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ctivity related affect, social support, sex-role stereotype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o rural group statistically.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aged women i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and women in rural areas were found to have more weakness than women in urban areas. With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aged woman should be designed different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regarding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 PDF

밸런스 테이핑요법이 농촌 여성노인의 무릎통증과 일상활동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alance Taping Therapy on Improving Knee Pain and the Obstacle in Daily Activity in Rural Elderly Women)

  • 김애정;박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18-2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밸런스 테이핑요법이 농촌 여성노인의 무릎통증과 일상활동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월 19일부터 4월 14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은 농촌지역인 Y시에 소재한 경로당을 방문한 65세 이상 여성노인 54명으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8명이다. 자료는 밸런스 테이핑 적용 전과 24시간 후에 무릎통증과 일상활동장애 정도를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test$, Shapiro-Wilk test,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24시간 동안 밸런스 테이핑요법을 적용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무릎통증(Z=-6.658, p<.001)과 일상활동장애(Z=-3.466, p=.001)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일상활동장애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일어서기(Z=-2.860, p=.004), 일상적 활동하기(Z=-2.629, p=.009), 걷기(Z=-3.868, p<.001)와 몸단장하기(Z=-2.049, p=.040)의 장애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물건 쥐기(Z=-.542, p=.588)와 팔 뻗치기(Z=-.416, p=.678)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밸런스 테이핑요법은 농촌 여성노인의 무릎통증 감소와 일어서기, 일상적 활동하기, 걷기, 몸단장하기와 같은 일상활동장애 개선에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확인되었다. 추후 대상자의 사전 통증정도, 밸런스 테이핑 적용횟수, 24시간이상 적용에 따른 장기효과, 다른 신체 부위 적용에 따른 효과 확인과 밸런스 테이핑 적용이 통증의 감소로 우울감 등 심리 건강에도 효과적인지 파악하는 후속연구, 그리고 밸런스 테이핑 적용이 통증감소와 일상활동장애를 개선시키는 생리학적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