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여성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 지역주민들의 건강 형태에 관한 조사연구 (The health behaviors of the residents in a rural area)

  • 조병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2권2호
    • /
    • pp.183-193
    • /
    • 1997
  • 농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은 목적으로 경상남도 울주군내에 거주하는 농민으로서 연령이 40세 이상인 사람들 824명(남성 318명, 여성 506명)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생활양식의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시간이 하루 7-8시간이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4.4%, 여성에서 45.0%였고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92.7%, 여성에서 89.9%였으며 간식을 거의 하지 않거나 가끔씩하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82.7%, 여성에 83.8%였다. 음주를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0.6%, 여성에서 88.1%였고 흡연을 하지않는 사람의 비율은 남성에서 37.4%, 여성에서 86.6%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4.7%, 여성에서 5.6%였으며 체중이 정상인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89.0%, 여성에서 80.0%였다. 이상과 같은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에서 3.9%, 여성에서 23.2%였다. 도시 주민들과 비교하여 건강 행위를 여섯가지 이상 실천하는 사람의 비율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더 낮았으며 또한 자신의 건강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더 낮았다. 그러므로 농촌 주민들에 있어서 바람직한 건강 행위의 실천을 통한 건강 수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creat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Strength for Elderly Women)

  • 한윤수;최정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41-952
    • /
    • 2008
  • 이 연구는 여성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경기도 지역 Y시에 소재한 경로당 7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은 75세 ~ 88세 범위(M=80.75, SD=3.22)였다.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1회 50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악력,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2.45m 돌아오기, 눈뜨고 한발서기,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4.6m속보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농촌노인의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건강관련 행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alth-related Behaviors in Residents from Rural Areas)

  • 원달호;임현술;방미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31-48
    • /
    • 2003
  • 30세 이상, 80세 미만 농촌지역 주민 1,754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개인의 건강관련 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진이 고안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전산입력 하였고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행태는 연령보정 후 카이 제곱 검정을 시행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연령에 따른 건강관련 행태의 차이는 경향성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령보정 흡연율은 남성에서는 56.1%, 여성에서는 6.8%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음주율은 남성에서는 65.4%, 여성에서는 21.6%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운동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72.6%, 여성에서는 76.6%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비만율은 남성에서는 23.3%, 여성에서는 28.2%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B형 간염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45.1%, 여성에서는 53.4%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육식 선호율은 남성에서는 48.0%, 여성에서는 30.0%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짠 음식 선호율은 남성에서는 40.8%, 여성에서는 28.3%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을 보정한 육체적 휴식이 부족한 비율은 남성에서는 19.2%, 여성에서는 24.1%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정신적 휴식이 부족한 비율은 남성에서는 15.7%, 여성에서는 23.6%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스케일링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61.5%, 여성에서는 71.1%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양치질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3.7%, 여성에서는 1.5%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위암 검사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49.3%, 여성에서는 51.4%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보정 간암 검사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64.0%, 여성에서는 70.7%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연령보정 대장암검사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88.9%, 여성에서는 87.5%로 남성에서 여성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 보정 종합건강진단 미실시율은 남성에서는 58.3%, 여성에서는 59.1%로 여성에서 남성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앞으로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련 행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성별 및 연령의 특징에 맞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농촌사회의 변화와 농촌여성의 적응방안

  • 박옥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99년도 농촌여성의 능력개발과 복지증진 방안 심포지엄(A Symposium on the Development and Welfare for Rural Woman)
    • /
    • pp.17-36
    • /
    • 1999
  • PDF

농촌여성의 농업노동 및 의사결정 참여의 변화 -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Rural Women in Korea -from 1960s to 1990s-)

  • 조희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nge of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rural women in Korea from 1960s to 1990s. For analysis of these changes, I used the data surveyed and collected by different researchers during those times. During last 40 years, rural society and the mode of agricultural production rapid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industry.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increased since the mid 1970s. Their agricultural labor expanded into full ranges of farming. Their decision-making involvement also expanded into all divisions of farming. However, they did not have decision making power as much as they contributed to farm labor The expansion of rural women's labor within the sphere of farm production has not substantially altered the decision-making power structure within the farm household.

여성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농업리더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emale Farmers'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n Regional Agriculture Leader's Capacity-)

  • 최정신;최윤지;정진이;김현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1호
    • /
    • pp.19-31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 capacity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of female farmers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12 female farmers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9, 2020.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resident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dent participation a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was higher, a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 Third, regional agricultural leadership capacit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resident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