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지원사업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Regional Planning for Village Renewal in Korea (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수립 방향에 관한 연구)

  • Im, Sang-B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9 no.3
    • /
    • pp.157-16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의 계획수립 정책과 마을주민의 요구를 분석하여 농촌마을 재개발을 위한 지역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마을재개발 주요 내용으로는 생활편의성 향상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역사문화와 같은 어메니티 자원과 경관자원 등의 보전과 활용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취하였다. 마을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와 마을재개발 계획수립 과정 및 결과에 분석을 토대로, 농촌마을재개발 계획의 특징을 파악한 후,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마을재개발시 국토이용계획과 농촌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토지이용 및 농촌개발 관련법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농촌지역에 주거 및 취락지구를 도입하여 체계적인 마을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계획수립 체계를 토지이용계획과 마을재개발 추진에 적합한 형태로 확립, 운영토록 한다. 넷째, 마을개발 부지 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농지교환분합 제도를 활성화해 나가도록 한다. 다섯째, 지역계획과 마을재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추진될 수 있도록 우선 개발 마을을 선정하고, 마을주민의 요구를 반영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며, 농촌취락지구와 같은 농촌토지 용도지구를 도입,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마을재개발 시범사업의 추진 및 평가를 토대로 체계적인 본 사업을 확대, 시행해 나가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곱째, 농촌지역의 낙후도를 고려한 사업지원 및 추진에 차등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Rural Community Support Project by Particpation of the Residents - Focused on the White Dandelion Eco-village Hoebook Myeon Busu 2Li - (주민이 참여하는 농촌지원사업의 특성 -충북 보은군 회북면 부수2리 하얀민들레마을을 중심으로-)

  • Jeong, Inhun;Jung, Jinju;Choi, Hyos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9 no.3
    • /
    • pp.83-92
    • /
    • 2007
  • The importa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has become more prominent to promote better living condition and quality of life in rural communities due to the skeptical views on the outcomes of the rural community supporting projects led by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analyzes White Dandelion Eco-Village in Hoebuk Myeon, Boeun Kun, Chungbuk where community development is being done by its residents. By examining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the history of the village, and various participation forms and methods of the residents, I am to derive the ideal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led by the villagers themselves. To achieve successful supporting projects for rural communities by many different organizations and methods, it is necessary to have followings; residents' affectionate attentions for the community as well as good ideas and intentions, excellent leaders who gather all the efforts and transform them into good plans, well made strategies and continuous endeavor, and the diversion of thoughts of the supporting project experts and the organizations.

  • PDF

Community Business and Collective Learning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 집단에 대한 성찰-)

  • Kim, Jeong Seop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3
    • /
    • pp.603-642
    • /
    • 2013
  • Community Business is defined as profit-making enterprise for which a community residents can take to solve their own problems. It is comprised of some sequential activities: identifying problems, collective learning, organization. In rural South Korea,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Community Businesses. However, the related policy programs are missing the very important perspective that self-help approach be essential in Community Business. Therefore, the policy programs should be changed so that they could effectively help community's autonomous practice.

농림수산식품부 ODA 국제농업협력사업 - 베트남 원예특용작물생산 시설 및 기술 지원 -

  • Jo, Jun-Hyeong;Kim, Myeong-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21-21
    • /
    • 2010
  • 우리나라는 원조를 받는 수원국에서 원조를 주는 공여국로 성장한 최초의 국가이며, 경제력 신장에 따라 국제사회에서의 국가 위상 역시 크게 높아 졌다.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여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한국의 국제개발원조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범위가 넓어 실질적으로 농업부분의 원조는 2009년의 경우 250억 내외로 전체 지원금의 6.8-8.8%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업부문에 특성화된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첫째, 수혜국의 농업 농촌개발과 농가소득 증대에 따른 빈곤문제 해결은 물론, 둘째, 아국의 해외농업개발 및 해외농업자원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기본방향은 우리정부가 해외농업개발 및 농업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인 민간참여하에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의 컨소심엄 구성에 의한 사업추진을 유도함으로써 지원국과 수혜국 등 양국 모두의 이익을 추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동국대학교 ODA사업은 아시아 중점 협력국인 베트남의 달랏 (Dalat)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시설 및 기술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베트남은 외국과의 경제협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재까지 도 농간 심각한 경제적 불균형과 농촌빈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달랏은 농업 환경여건이 원예 특용작물 생산에 적합한 지역이므로, 고부가가치 농산업의 특성화를 통한 베트남 농업 개선사업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적지이다. 본 사업은 베트남의 특성화된 고부가가치 작물 연구 및 생산지원, 한국 농기업과 연계한 베트남 원예 특용 농업유전자원의 지속적 확보와 이용, 국내 농산업관련기업의 해외시장 개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과 지원으로 베트남의 경제적 기술적 발전과 경제구조의 회복을 유도하고, 도 농간의 균형발전을 통한 저개발국가의 경제발전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의 해외 농업유전자원의 지속적 확보 및 이용, 대외 이미지 제고와 외교력 강화, 경제협력 강화와 국내 농산업 관련기업의 발전 및 해외 진출 확대, 국제회의 및 협상에서의 아국의 입지강화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nd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농촌마을지도자의 리더역량과 주민 간 갈등관리 및 농촌마을 사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 Ahn, Dong-Seop;Lee, Byung-Jun;Jeong, Ahn-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356-369
    • /
    • 2020
  •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may be influenced by village leader's leadership and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nd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for 376 villagers in Jeollabuk-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obel test. The result shows that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such as human-relationship ability, management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industrial knowledge abilit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such as human-relationship ability, sensibility·awareness ability, management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industrial knowledge abilit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But, the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in indirect manner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It is worthwhile tha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illage leader's leadership on the conflict management between villagers and farm village business performance was verified, and the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role and importance of farm village leader's leadership.

The Comparison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농촌 건강증진 시범사업 지역주민과 비 시범사업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생활 행태 비교)

  • Lee, Young-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1
    • /
    • pp.124-134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between demonstrating and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rural community. Methods: Objects of the study were 13,000 people by stratified sampling in rural community of H and J Gu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December to 30th, 2005,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Research tool of this study were modified Korea BRFSS, Park‘s stress questionnaire and Nutritional evaluation tool suggested b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Korea. Results: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ere significantly more good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in related drinking, exercise and stres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of people received demonstra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than that of non-demonstrating. Government support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 finance.

Information Level Analysis of Agricultural Water Smart Information System (지능형 농촌용수 시스템의 정보 수준 분석)

  • Kim, Sun Joo;Bark, Min Woo;Kim, Nam Do;Kang, Seung Mook;Kim, Phil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36-636
    • /
    • 2015
  • 우리나라는 환경용수 수요 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물이 부족해지고 있으며, 농촌용수와 공업, 생활, 환경용수의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격화되고 있다. 생활, 공업, 농업용수로 나누어서물관리를 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통합물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한 분야만 검토해서는 전반적인 물관리 개선방안의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통합적인 지능형 물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농촌용수 지능형 정보화시스템은 직접조작을 위한 원격 제어계측시스템으로 물관리자동화사업 분야와 수리, 수문, 관개배수 프로그램 등의 정보화시스템의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응용프로그램은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을 비롯하여 몇몇 시스템에서 구축하고 있으나 만족도는 높지 않고, 이들의 중요성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용수와 관련된 분야별 목적에 따라 별도로 수집 관리되고 있는 기존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연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전략계획(ISP) 수립이 필요하고, 농촌용수 및 시설물 관련 신규 사업과 공정의 체계적 관리, 기존 시설물들의 통합관리, 농촌용수의 수량 및 수질 계측의 실시간 및 장단기 자료관리와 분석, 가뭄과 홍수대비 물관리의사결정 지원, 농촌용수 관련 대국민 정보서비스 제공, 농촌용수 관련 조직들의 업무적 공유와 통합 등을 실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시스템 정보서비스를 위한 정책지원 등의 정보제공 대상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menity Resources for a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의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 Choi, Yoo Na;Suh, Joo Hwan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 v.8 no.4
    • /
    • pp.43-51
    • /
    • 2014
  • This research is based on a rural village reconstruction business that is a priority under the national support act for rural village vitalization. Allowing for an analysis of the regional and annual classification of business contents as part of the master district implementation plan, this research presents amenity resource ap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business contents and resource status report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in the rural villages' overall development business, a content analysis of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299 districts was conducted for a seven-year period (2005-2011). Information that included district names, enterpris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a particular business, were coded in Excel, through exhaustive research of the 299 districts. Using this process, a more detailed categorization of seven years of business data, periodic, and regional business contents were def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apparent that the overall district's facility resources are optimized for the most, and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resources, including animal and plant resources, as well as water resources, is continuously decreasing, as was shown i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data denotes the highest rates in Jun-Ra-Buk-Do and Kyung-Sang-Buk-Do. In summary, this analysis verified the urgent need for diverse amenity resource utilization, research on practical alternatives, and the resource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areas.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and Sharing Experiences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 경험의 공유)

  • Kim, Sung-Soo;Kwon, Do-Ha;Lee, Chae-Shik;Choe, Yeong-Cha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2 no.2
    • /
    • pp.271-286
    • /
    • 2005
  • 한국은 제1, 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으로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이룩하면서 심각해진 도 ${\cdot}$ 농격차의 해소를 위해 1970년대 초부터 농촌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였다.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한 잘살기 운동으로 1970년 당시 대통령이 농촌개발에 대한 강한 욕구와 집념을 천명하면서 농촌 새마을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자원이 부족하고 농촌의 사정은 더욱 열악하여 국민의 70%를 차지하는 농민의 상당수가 끼니를 걱정해야 했으며, 도 ${\cdot}$ 농간의 격차는 벌어져 도시로 인구가 몰려들고 사회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농촌지역사회의 개발 없이는 나라의 발전도 안정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농촌 개발을 위한 환경개선과 소득증대 사업에 주력했던 새마을 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정부의 관심과 지원도 있었지만, 새마을 교육을 이수한 새마을 지도자들, 그 지도자들과 함께 근면, 자조, 협동을 실천했던 마을 사람들,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 노력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농촌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이 도시의 직장, 공장 새마을운동으로 번져 범국민적 운동으로 나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제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의 농촌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새마을운동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