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순화, & 김정명.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 교육프로그램의 탐색적 고찰;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보, 26(3), 517-535.
- 구자인, 유정규, 곽동원, & 최태영. (2011). 마을만들기, 진안군 10년의 경험과 시스템: 더디가도 제대로 가는 길. 국토연구원.
- 김선기.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정책 추진실태와 정책방향. KRILA Focus, 제36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선기 등. (2009). 지역공동체 경영사업의 활성화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영민. (1999). 진리.일리.무리: 인식에서 성숙으로. 철학과현실사.
- 김윤호.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사회적기업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지방행정, 708, 30-35.
- 김정섭. (1999). 비판적 성인학습 이론의 비교분석: 프레이리, 메지로우, 웰튼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정섭. (2009). 농촌개발사업 실행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역량강화의 관점에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103-122.
- 김정섭. (2013a). 마을만들기의 풍경: 제도화와 민주적 학습 공동체. 한국자치학회 토요 공부모임 발표문(미간행물).
- 김정섭. (2013b). 중간지원조직, 중간지시/동원 조직이 되지 않아야. KREI 논단 5월 29일자, 한국농촌경제연구원.(www.krei.re.kr)
- 김정섭, 마상진, & 권인혜. (2009).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섭, 박시현, 김영단, & 임지은. (2011). 농촌 지역 활성화 정책의 평가와 발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정섭, 조미형. (2013). 농어촌의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체계와 생활세계를 가로질러. 농어촌 복지와 협동조합: 복지 취약지대, 농어촌이 협동조합에 길을 묻다. 한국농어촌복지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한국농어촌복지연구회.
- 김재현. (2011).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지역자원 활용 현황과 특징. 농정연구, 37, 177-211. 농정연구센터.
- 김태곤, 김정섭, 허주녕, & 김예슬.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 (2/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나주몽. (2012). 한국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 추진 과정과 지역 차원의 문제. 지역개발연구, 44(1), 141-160.
- 네모토 마사쯔구. (2012). 도시 저개발 지역 주민요구에 기초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관련 정책의 적용과 지역적 사회 안전망의 구축 가능성: 충북 청주시 '수암 골'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3(4), 201-224
- 미셀 푸코. (1995).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장은수 옮김. 민음사.
- 송미령, 박주영, 김정섭, 오형은, & 황정임. (2006). 농촌 지역혁신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안혜원, & 이민규. (2010).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 방안. 한국 행정학회 2010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 유정규. (2011). 농촌경제 활성화, 새로운 접근. 한국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대안농정 대토론회 자료집. 국민농업포럼.
- 이상엽, & 정건섭.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5(2), 221-252.
- 이재호, 손찬희, 안성훈, 안경진, & 정광훈. (2013).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수학습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13(5), 506-516.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506
- 이홍택, & 정성훈.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708-720. https://doi.org/10.23841/egsk.2012.15.4.708
- 조규원, 최조순, & 김종수.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정책적 정당성. 도시행정학보, 24(1), 263-281.
- 주상현. (2012). 지방자치단체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사회적기업과 정책연구, 2(1), 1-39.
- 파울로 프레이리. (1995). 페다고지: 억눌린 자를 위한 교육. 성찬성 옮김. 한마당.
- 호소우치 노부타카. (2008). 우리 모두 주인공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정일 옮김, 이매진.
- 행정안전부. (2013). 2013년 <마을기업>육성 시행지침.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
- 홍병선. (1931). 농촌사업과 기독교청년, 농촌문제특집. 동광, 제20호.
- 홍선. (2012). 주민 스스로 세워가는 마을 만들기와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시문제, 47, 54-57.
- Fazzi, L. (2010). Social Co-operatives and Social Farming in Italy. Sociologia Ruralis, 51(2), 119-136.
- Gore, T., Powell, R., & Wells, P. (2006). The contribution of rural community business to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Local services for local people. Cahiers d'economie et sociologie rurales, No. 80, INRA.
- Habermas, W. (1984).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ranslated by Thomas McCarthy, Beacon Press.
- Romano, D. (1996). Endogenous Rural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A European Perspective. Center for International Food and Agricultural Policy.
Cited by
- The Rural Producers’ Organizations Experiences of Farmers vol.16, pp.2, 2015, https://doi.org/10.22284/qr.2015.16.2.135
-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와 과제 vol.23, pp.1,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1.0053
- Analysis of Learning in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Implication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vol.29, pp.2, 2013, https://doi.org/10.17965/kjee.2016.29.2.173
-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강화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