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업형질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48초

내건성 및 BPH 내성 계통의 육성을 위한 농업형질 고정여부 조사 (Investigation into Whether Agronomic Traits Are Fixed for the Breeding of Drought Tolerance and BPH-resistant Crosses)

  • 이소영;김은경;박재령;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9호
    • /
    • pp.798-803
    • /
    • 2020
  • 1960년대 후반 인디카 품종과 자포니카 품종의 교잡에 의하여 새로운 통일형 벼 품종을 육성했고 그 재배기술을 확립했으며, 현재까지 이 재배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게 그리고 극한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품종들이 만들어졌다. 서로 다른 작물끼리 교배하여 얻은 F1을 가지고 반복적인 세대 진전을 통하여 도입을 원하는 우량한 유전자원의 형질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을 때 교배시킨 형질이 고정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비로소 신품종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저항성을 띠는 HV23 계통을 모품종인 Ilmi와 교배한 집단과 벼멸구에 내성을 갖는 Drimi2ho와 교배한 집단의 F4, F5, 그리고 F6의 농업형질을 조사하여 고정 여부를 확인했다. HV23와 Drimi2ho/HV23 계통의 F5, F6를 비교하였을 때 그리고 Ilmi/HV23 계통의 F4, F5를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하지 않은 정도의 형질 변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농업형질이 고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계통 육종법은 품종개량에 10년 이상의 시간이 드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4-5년 만에 형질이 고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모체효과 모형을 이용한 돼지 경제형질의 분산성분 추정 (Estimation of Variance Component on Swine Economic Traits using Multivariate Maternal Animal Model)

  • 박종원;김병우;김시동;장현기;전진태;공일근;이정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9-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출생한 Duroc종, Landrace종 및 Yorkshire종 종돈의 총 31,455두의 농장검정 자료를 이용하여 다형질 동물 모형과 다변량 모체효과 모형에 의한 돼지 경제형질의 유전적 분산성분을 추정하였다. 품종별 조사된 각 형질에 있어서 다변량 모체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상가적 효과에 의한 유전력이 모체효과에 의한 유전력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다형질 동물 모형에서 상가적 효과만 고려했을 때의 유전력이 다변량 모체효과 모형에서 추정된 상가적 효과의 의한 유전력보다 대부분 높게 추정되었다. 다변량 모체효과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모체효과에 의한 육종가와 표현형가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대부분 낮은 정(+)의 상관이거나 강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품종별 각 형질에 있어서 모체효과를 적절히 고려하여 육종가와 표현형의 상관관계를 높인다면 보다 나은 개량을 도모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grobacterium을 이용한 Trichoderma sp. KACC 40541의 형질전환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of Trichoderma sp. KACC 40541)

  • 최장원;박희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119-124
    • /
    • 2011
  • Trichoderma spp.는 white biotechnology에서 이용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이들이 강력하게 분비 생산하는 효소들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mylase, pectinase, cellobiohydrolase 및 xylanase 분비활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진 Trichoderma sp. KACC 40541균주에 대한 Agrobacterium이용 형질전환을 수행하였으며 균주개량을 위한 효율적인 유전자도입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형질전환을 위하여서는 균사체에 대한 적정 농도의 NaOH처리가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물리적 상해를 통한 Agrobacterium 이용 팽이균사체의 형질전환효율 증대 (Physical Wounding for the Enhancement o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Mycelium)

  • 즈엉반탄;신동일;박희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41-1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팽이버섯의 균사체에 대하여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특히 물리적 연마제인 미세 aluminum oxide 입자를 팽이 균사체와 함께 강하게 교반함으로써 물리적 상해를 지니는 균사체를 제조하였으며 감압침윤에 의한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을 시도하였다. Hygromycin 저항성을 이용한 선발 결과, 대조군에서는 균사체 생육이 전혀 관찰되지 않은 반면 물리적 상해군에서는 형질전환균사체 생육이 확인되었다. Genomic DNA PCR에 의한 유전자 도입을 확인함으로써 팽이균사체에 대한 매우 간편한 형질전환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대규모 GM 포장에서 내건성 GM 벼의 농업적 특성 비교 (Compare of Agriculture Character of Drought-Tolerant GM in Large GM Field)

  • 이현숙;김경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124-130
    • /
    • 2013
  • 환경변화 중요성과 유전적 안전성은 최근에 증가추세의 형질전환 작물에 인식되고 있다. 본 실험은 건조저항성 형질전환체 작물의 유전적인 안전성과 환경변이에 따른 농업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내건성 형질전환체인 CaMsrB2-8, 23과 모품종인 '일미' 및 일반품종을 대조구로 GM필드에서 작물학적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농업적인 생육 특성에서 CaMsrB2-8, 23 계통은 모품종인 '일미'와 년차간, 지역별 평균으로 표현형은 유사하였다. 수량에서 년도별, 지역별 차이는 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현미의 미립특성에서 CaMsrB2-8, 23은 모품종인 '일미'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현미의 화학적 성분 분석에서 CaMsrB2-2 계통의 전분과 단백질함량은 모품종인 '일미'보다 일반품종인 '일품' 화학적 성분함량이 유사하였다. 본 실험결과에서 내건성 형질전환체인 CaMsrB2-8, 23는 GM 작물의 후대에서도 유전적인 안전성과 함께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추 GROWTH-REGULATING FACTOR 유전자 발현이 유채 기관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verexpression of Brassica rapa GROWTH-REGULATING FACTOR Genes on B. napus Organ Size)

  • 홍준기;서은정;이승범;윤혜진;이연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8-386
    • /
    • 2018
  • GROWTH-REGULATING FACTOR (GRF) 유전자는 QLQ와 WRC 도메인을 갖고 있는 식물 특이적 전사조절인자로 식물기관들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배추로부터 분리된 BrGRF3-1과 BrGRF9 유전자를 각각 35S 프로모터에 결합시켜 두 종류의 식물 형질전환 벡터를 제작한 후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하여 유채에 형질전환하였다. 선발된 형질전환체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세포 크기 보다는 세포 수 증가에 의해 자엽, 잎, 종자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T-PCR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BrGRF3-1과 BrGRF9 유전자는 기관 생장 발달에 관여하는 지베렐린(GA), 옥신(auxin), 세포분열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유채 기관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BrGRF 유전자는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하여 작물의 농업적 형질을 개선하기 위한 유전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