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약분해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19초

N-methlycarbamate 계(系) 살충제의 토양중(土壤中) 흡착(吸着) (The Adsorption of N-methylcarbamate Insecticides on Soils)

  • 김장억;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24-130
    • /
    • 1985
  • 두가지 성질(性質)이 다른 토양(土壤)과 이들에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를 처리(處理)하여 유기물(有機物)을 분해(分解)시킨 후 N-methylcarbamte 계(系) 농약(農藥)과의 흡착실험(吸着實驗)을 습식진탕법으로 행(行)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N-methylacrbamate계(系) 농약(農藥)은 12시간(時間)의 진탕으로 평충농도(平衝濃度)에 도달(到達)하였다. 또한 토성별(土性別)로는 sandy clay가 sandy loam보다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을 더 많이 흡착(吸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을 달리했을 때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의 흡착(吸着)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에 상당한 영향(影響)이 있음이 나타났다. N-methyl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현상(吸着現象)은 Freundlich 정온흡착방정식(定溫吸着方程式)에 잘 부합(符合)되었다. 토양(土壤) pH를 변화(變化)시켰을 때 N-methly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량(吸着量)에는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이는 토양표면(土壤表面)에 hydrophobic한 부분(部分)에 물리적(物理的)으로 Vander waals 힘에 의(依)해서 흡착(吸着)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들깻잎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및 Bifenthrin의 잔류량변화 (Residual Pattern of Procymidone and Bifenthrin in Perilla Leaf During the Period of Cultivation and Storage)

  • 고광용;이용재;원동준;박혜진;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7-52
    • /
    • 2003
  • 들깻잎에서 pocymidone과 bifenthrin의 경우 안전사용기준인 약제살포 후 5일에 각각의 농도가 38.16, 1.77 mg/kg이지만 이는 살포 조건과 재배환경에 따른 농약의 초기부착농도가 높은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예상되어진다. 앞에서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일반적인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으로 농약을 처리한다면 최초살포 이후 재배기간에서 5일간 50% 이상이 분해되고 10일 후에는 90%이상이 분해된다. 또한 상온저장 중 $20{\sim}40%$가 분해되며 수돗물 세척에 의해서 만으로도 50%이상이 제거되므로 조리과정을 감안하지 않더라도 초기살포량의 약 90%는 분해 또는 제거되어 안전사용기준에 의거하여 사용한다면 두 약제 모두 MRL이하로 잔류하게 되어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하지만 현행법상 수확시점에 그 잔류량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깻잎의 경우 재배가 대부분 하우스에서 이루어짐을 감안한다면 두 약제모두 초기살포시 작물체로의 부착량이 많을 경우에 수확시점에서의 잔류량이 MRL을 상회할 가능성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약제 사용량의 축소나 저농도 약제의 사용, 살포일수의 조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광산화에 의한 chlorothalonil분해에 관한 연구

  • 이태진;최종덕;박진희;김영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3-116
    • /
    • 2002
  • UV/과산화수소법을 적용하여 유기염소계 농약인 chlorothalonil을 분해하는 공정에 있어서 광화학 반응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과산화수소와 옥살산염의 최적 주입농도를 선정하여 그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UV조사시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100ppm일 때 일차반응속도 상수(k)가 0.086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옥살산염에서는 1mM일 때 0.1782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옥살산염의 최적 농도를 산출할 수가 있었다. 최적 과산화수소와 옥살산염을 조합하여 UV조사시 반응속도 상수값(k)이 0.1893으로 UV/옥살산염보다도 분해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 PDF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신속 검출을 위한 역 Y자 스트립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verted Y-Shaped Strip for th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Residual Pesticides)

  • 이정은;김솔아;박현진;문효영;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농약의 음성시료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와 acetylthiocholine을 반응시켜 +전하와 -전하를 가지는 thiocholine으로 분해되어 금 나노입자를 응집시켜 역 Y자 스트립상에서 청자색의 반응선(띠)을 형성하고 양성 시료에서는 생성시키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신속 농약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분석법은 유기인계 농약 말라옥손과 카바메이트계 농약 카보퓨란을 각각 10 ng/mL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종의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EPN, dichlorvos)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출 한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10 ng/mL 수준까지 모두 검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종의 트리아진 계열의 농약과 각 1종의 피레스로이드, 카복사마이드, 페닐아마이드 및 유기염소계열의 농약에 대해서는 반응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 분석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임의로 오염시킨 농산물 시료를 대상으로 분석법의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 말라옥손에 대해서 96.4에서100.7%, 카보퓨란은 81에서112.7%의 회수율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역 Y자 스트립을 농약 검출법으로 이용한다면 농산물과 농업환경 중 존재하는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잔류농약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 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 균주 CA-23과 AA-65균주의 키틴 분해능력과 항균력 검정 (Estimation of the Chitinolytic and Antifungal Activity of Streptomyces sp. CA-23 and AA-65 isolates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Media)

  • 심창기;김민정;김용기;지형진;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2-4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의 키틴 분해 능력과 항균활성능력을 검정하고 선발하기 위함이다. 5종류의 버섯폐배지(팽이버섯, 잎새버섯, 느타리버섯, 신령버섯, 양송이버섯) 중 신령버섯 > 양송이버섯 순으로 방선균이 분리되었다. 버섯 폐배지로부터 전체 91개의 키틴분해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91개의 균주는 키틴분해 능력과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Cladosporium cucumerinum 에 대한 항균력에 따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CA-23균주는 강한 키틴 분해능력과 모든 식물병원균에 대해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고 반면에 AA-65 균주는 키틴 분해능력은 없지만 모든 식물 병원균에 대한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다. 실내시험에서 CA-23 균주와 AA-65 균주는 오이 역병, 흰가루병, 검은별무늬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CA-23 균주는 높은 방제가를 보인 반면 AA-65 균주는 병 방제효과뿐만 아니라 식물생육과 수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비록 두 균주의 식물병 방제효과 유사하지만 두 균주 사이의 작용기작은 서로 다를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작용기작과 적용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에 의한 동력학적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한 광학활성 에폭사이드 생산 (Epoxide Hydrolase-catalyzed Hydrolytic Kinetic Resolution for the Production of Chiral Epoxides)

  • 이은열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21-325
    • /
    • 2002
  • 광학활성 에폭사이드는 다양한 반응성으로 인하여 고부가 가치 광학활성 의약품 및 농약 합성용 중간체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광학활성 에폭사이드는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 (epoxide hydrolase, EH)를 이용하여 저가의 라세믹 기질에 대한 입체선택적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EH는 유도과정 없이 발현되고 보조인자가 필요 없으며 비교적 효소 안정성도 높아 상업적으로 유용한 효소이다 EH에 대한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관련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활성 증대 및 기질 선택성을 변경시킨 tailer-made형 EH 생촉매 개발이 가능할 것이며, 실규모의 비대칭 광학분할 생물공정 시스템 개발을 통해 EH에 의한 동력학적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한 광학활성 에폭사이드 생산기술의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담수토양(湛水土壤)중 BPMC 및 Carbofuran의 분해특성(分解特性) (Degradation Patterns of BPMC and Carbofuran in Flooded Soils)

  • 박창규;제연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5-72
    • /
    • 1983
  •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carbamate 계살충제(系殺蟲劑) BPMC 및 carbofura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몇가지 토양(土壤), 농약(農藥) 및 환경인자(環境因子)들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BPMC와 carbofuran은 담수(湛水) 또는 비담수처리(非湛水處理)로 분해(分解)에 큰 영향(影響)이 없었다. 다만 시험토양(試驗土壤)에서 carbofuran에 비(比)해 BPMC는 현저(顯著)하게 분해(分解)가 빨랐다. 2) 시험토양(試驗土壤)에서 BPMC와 carbofuran의 분해(分解)는 pH에 의존(依存)하며 pH가 클수록 분해(分解)가 촉진(促進)되었으며, pH 효과(效果)는 BPMC보다 carbofuran 에서 명백(明白)히 나타났다. 3) BPMC와 carbofuran은 모두 토양(土壤)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높을수록 분해(分解)가 지연되었다. 4) BPMC와 carbofuran은 고온(高溫), 고처리농도(高處理濃度)에서 분해(分解)가 빨랐다. 5) 토양살균(土壤殺菌)은 양(兩) carbamate 살충제의 분해(分解)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6)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BPMC 및 carbofuran은 화학적분해(化學的分解)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에 의(依)한 생물학적(生物學的) 분해(分解)가 병행(倂行)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Strobilurin계 살균제의 시설재배 참외 중 잔류 양상 (Residual Patterns of Strobilurin Fungicides in Korean Melon under Plastic Film House Condition)

  • 박은정;이주희;김태화;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1-288
    • /
    • 2009
  • Azoxystrobin과 kresoxim-methyl의 참외 중 반감기와 잔류양상을 조사하였다. Azoxystrobin의 참외 중 0일차 잔류량은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각각 0.09 및 0.14 mg/kg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의 반감기 소실곡선식은 y=0.0766e$^{-0.138x}$ ($r^2$=0.9424) 및 y=0.1143e$^{-0.0890x}$ ($r^2$=0.9310) 이었으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5.0일 및 7.8일 이었다. Kresoxim-methyl의 참외 중 0일차 잔류량은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각각 0.10 및 0.23 mg/kg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의 소실곡선식은 y=0.0896e$^{-0.1672x}$ ($r^2$=0.9428) 및 y=0.1504e$^{-0.1446x}$ ($r^2$=0.9040) 이었고 생물학적인 반감기는 각각 4.1일 및 4.8일 이었다. 재배기간 중 참외의 무게증가에 농약희석효과를 배제한 절대잔류농도는 약제 살포 후 14일 경과시 azoxystrobin은 기준량 및 배량에서 0.01 및 0.05 mg/kg으로서 각각 83.6 및 67%의 농약이 분해되었다. Kresoxim-methyl은 각각 0.01 및 0.03 mg/kg 으로서 86.2 및 87.8% 정도의 농약 분해율을 보였다.

인삼 가공 중 잔류농약의 감소계수연구 ( I ) (Study on Reduction Factors of Residual Pesticides in Processing of Ginseng(I))

  • 임무혁;권광일;박건상;최동미;장문익;정지윤;이경진;윤원갑;홍무기;우건조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2006
  • 인삼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개정을 위한 과학적 자료인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 감소계수 산출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인삼 재배 시에 사용 등록된 농약 3종(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을 인삼포에 직접 살포하여 수확한 수삼을 건삼과 인삼농축액으로 직접 제조하고 각 제품 중 농약 잔류량과 수분을 보정한 농약절대량으로 감소계수(dry basis)를 산출하였다. Azoxystrobin, fenhexamid, cyprodinil의 감소계수(dry basis)는 건삼에서 0.73, 0.96, 0.24 인삼농축액에서 3.23, 5.74, 1.20이였다. Fenhexamid를 제외한 나머지 농약들은 가공과정 중 분해되어 잔류량이 감소하였다.

살충제 O,O-diethyl-O-(1-phenyl-3-trifluoromethylpyrazol-5-yl)-phosphorothioate(Flupyrazofos)의 가수분해 반응 메커니즘 (Kinetics and hydrolysis mechanism of insecticide O,O-diethyl-O-(1-phenyl-3-trifluoromethylpyrazol-5-yl)phosphorothioate (Flupyrazofos))

  • 성낙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8-223
    • /
    • 2002
  • [ $45^{\circ}C$ ]의 25%(v/v) dioxane-수용액(${\mu}=0.1M$) 중에서 살충제, flupyrazofos의 가수분해 반응속도상수를 자외선 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용매효과($|m|{\ll}|{\ell}|$) 및 반응 속도식($k_{obs.}=k_O+k_{H3O}+[H_3O^+]+k_{OH}-Kw/[H_3O^+]$) 그리고 생성물 분석 결과로부터 flupyrazofos는 trigonal-bipyramidal형($d^2sp^3$) 중간체를 경유하여 pH 4.0 이하의 산성 용액에서는 $A_{AC}2$형의 특정 산-촉매 반응, pH 11.0 이상의 알카리성 용액에서는 $B_{AC}2$ 형의 특정 염기-촉매 반응 그리고 PH $5.0{\sim}10.0$ 사이에서는 $B_{AC}2$형의 일반 산 및 염기-촉매반응에 따른 일련의 가수분해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중성 용액 중에서 flupyrazofos는 매우 안정한 ($8.0{\times}10^{-8}sec^{-1}$) 화합물로 반감기는 약 3개월($45^{\circ}C$) 이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