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경지 유역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Water yield estimation of the Bagmati basin of Nepal using GIS based InVEST model (GIS기반 InVEST모형을 이용한 네팔 Bagmati유역의 물생산량 산정)

  • Bastola, Shiksha;Seong, Yeon Jeong;Lee, Sang Hyup;Jung, Youngh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9
    • /
    • pp.637-645
    • /
    • 2019
  • Among various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the basin, this study deals with water yield (WY) estimation in the Bagmati basin of Nepal. Maps of where water used for different facilities like water supply, irrigation, hydropower etc. are generated helps planning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These maps also help to avoid unintended impacts on provision and production of services.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ES) on the basin. Most of the studies have are primarily focused on carbon storage and drinking water supply. Meanwhile, none of the studies has specifically highlighted water yield distribution on sub-basin scale and as per land use types in the Bagmati basin of Nepal. Thus, this study was originated with an aim to compute the total WY of the basin along with computation on a sub-basin scale and to study the WY capacity of different landuse types of the basin. For the study, InVEST water yield model, a popular model for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based on Budyko hydrological method is used along with ArcGIS. The result shows water yield per hectare is highest on sub-basin 5 ($15216.32m^3/ha$) and lowest on sub-basin 6 ($10847.15m^3/ha$). Likewise, built-up landuse has highest WY capacity followed by grassland and agricultural area. The sub-basin wise and LULC specific WY estimations are expected to provide scenarios for development of interrelated services on local scales. Also, these estimations are expected to promote sustainable land use policies and interrelated water management services.

A Study on the Soil Erosion by Landuse in the Imjin River Basin, DMZ of Cental Korea (임진강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침식에 관한 연구)

  • Lee, Min-Boo;Kim, Nam-Shin;Jin, Shizhu;Kim, Hang-D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3
    • /
    • pp.263-275
    • /
    • 2008
  •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stimation of surface soil erosion volum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sing RUSLE model in Imjin River basin located on DMZ of Central Korea. Comparatively North Korea areas have been more eroded three times as much as South Korea parts. Because of cropland development such as com Held in the hillslope, in North Korea, more surface soil erosion and transportation to the river bed has given rise to frequent flood hazards. It seems that the study can dedicate to mitig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soil erosion and flooding in unaccessible Imjin River basin located on DMZ.

Analysis of Efficie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using Pollutant Distribution Analysis (오염원 분포를 고려한 효율적 오염저감시설 적지분석)

  • Lee, Ji-Heon;Bae, Myung-Soon;Lee,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65-469
    • /
    • 2008
  • 수도권의 중요한 상수원인 팔당호 수질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경안천 유역의 오염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많은 인공습지조성이 계획되었으나 이들의 위치선정의 적합성에 대한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경안천은 상류에서 중류까지는 주변 농경지의 용수공급을 위해 많은 수중보가 설치되어 물의 흐름이 단절되어있어 수리적 요소에 인공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하류로 갈수록 하천이 곡선형태로 흐르고 하폭 또한 넓어져 자체적으로 유기물이 증가하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고려한 물리적 모델을 구축하고 각 오염원특성별 부하량 분석을 통한 속성정보를 반영하였으며 오염저감시설설치 시나리오의 타당성분석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과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첫째, 비점오염원의 주된 경로중 하나인 축산계부하량 저감을 위하여 지형적 인자를 고려한 인공습지조성 적지분석 결과를 HSPF모델에 반영하였다. 둘째, 기존 오염 총량제에서 수행해오던 오염부하량 산정방식을 통해 산정된 양을 유역단위로 재분배 하여 오염원 분포를 반영하였다. 주요 오염부하량인 축산계와 토지계의 오염부하량만을 적용하였으며 일부 오염원 항목들은 생략하거나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모의하였다. 셋째, 각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경안천 인공습지조성가능성 및 수질개선 효과를 예측하였다. 기존의 점오염원 처리시설만으로는 하천에서의 목표수질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점오염원 저감시설뿐 아니라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인 인공습지를 기존의 처리시설에 연계하여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기존습지시설의 오염저감율은 각 시설들의 평균값을 적용하였으며 처리효율은 BOD, TN, TP 각각 40%, 25%, 12%로 적용하였다. 오염원분포를 고려한 모의결과 현재 인공습지 입지대상지역들 중 좀 더 효율적인 오염저감 효과를 보이는 지역이 분석되었다.

  • PDF

Multivariate Drought Assessment Using Composite Drought Index (CDI(Composite Drought Index)를 이용한 다변수 가뭄 평가)

  • Yu, Ji Soo;Wassem, Muhammad;Kim, Ta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3-603
    • /
    • 2015
  • 모든 외재적 형식의 가뭄을 모니터링하고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뭄지수가 필수적 요소로써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가뭄지수는 단일지수(single index), 다중지수(multiple index), 복합지수(composite index)로 분류되며 대부분 강수량, 유출량, 토양 수분량 등과 같은 하나의 변수만을 사용하는 단일지수이다. 가뭄지수는 가뭄평가에 있어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하나의 변수를 사용하는 가뭄지수는 계산이 간편하지만 가뭄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가뭄평가에 충분하지 않다. CDI(Composite Drought Index)는 PDSI(Palmer Drought Index), ADI(Aggregate Drought Index),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와 같은 다중지수의 개념을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모든 가뭄 형태(농업적 수문학적 기상학적)와 관련된 강우량, 유출량, 정규식생지수(NDVI)를 변수로써 사용하였다. NDVI는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에서 제공하는 16일 간격의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되었고 이와 시간 스케일을 맞추기 위해 나머지 두 변수 또한 16일 시계열을 사용하였다. CDI는 (1)각 변수들의 시계열을 행렬로 나타내고 (2)이것을 정규화하여 무차원 행렬로 변환한 후 (3)연구 지역의 최고습윤상태(most wet condition) 및 최고건조상태(most dry condition)의 차이값을 기반으로 하여 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유역에 비해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으며 농경지와 산림지역 비율이 높은 낙동강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설정하였으며, 2001-2013년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기간 중 실제 발생했던 가뭄을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DI는 다양한 변수의 활용으로 가뭄의 물리적 특성의 반영이 가능하며 연구 지역의 기상 조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결과를 나타낸다. 자료의 가용성에 따라 적용범위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입력값으로 사용된 변수와 시계열을 편의와 효율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CDI는 농업적, 수문학적, 기상학적 가뭄의 모든 관점을 통합하는 실용적 가뭄지수로써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

  • PDF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asin Ecosystem Management Plan for Water Quality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생태계 관리방안)

  • Lee, Soo-Dong;Hong, Suk-Hwn;Kim, Tae-K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2
    • /
    • pp.233-246
    • /
    • 2012
  • We need to analyz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basin of agricultural reservoir that include urbanized area, agricultural area and fringe area,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hat presenting the methods of basin ecosystem management but also suggesting ecosystem management plan proposals for the water quality based on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urbanized area(the ratio of area(ROA): 14.0%) is most likely to possibility of water pollution, then followed by paddy fields(ROA: 65.5%) where a wide spread up-basin(or up-stream), farmlands(ROA: 11.3%), farm buildings(ROA: 5.7%) and orchard(ROA: 3.9%). According to those, we investigated the impact degree of water pollutants. Thus, we were able to classify 5 types through considering the biotope assessment and the hydrosphere basin assessment, i.e. the level of priority control for source pollution. As a result, the source pollution intensive management area(11.3%) where are adjacent waterfront has caused water pollution, however, mos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to control in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ea(0.6%) that are away from waterfront. In conclusion, according to the these results, the plan of basin ecosystem management for the water quality should be included the plan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uch as improving inhabitants function, controling environmentally sound basin management, promoting biodiversity.

Effect of Pollutants Control Measures in So-oak Watershed on the Control of Algae Growth in Daecheong Reservoir (소옥천 유역의 오염제어 대책에 따른 대청호 조류저감 효과 분석)

  • Park, Hyung Seok;Yoon, Sung Wan;Chung, Se Woong;Hwang, Hyun Si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4
    • /
    • pp.248-260
    • /
    • 2016
  •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diverse pollutants control measures suggested in the Chuso basin and its upstream of So-oak stream watershed where are the most concerned areas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occurring in Daecheong Reservoir. The control measures were classified as watershed measures and in-reservoir measures, and their effects were simulated using a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The watershed measures were made up of 1) point sources control, non-point sources control, and their combinations. The in-reservoir measures were supposed to treat sediment at Chuso basin and to install a phosphorus elimination plant (PEP) at the end of So-oak stre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each measure was influenced by the hydrological condition of the year. In wet year, as the contribution of non-point sources increased, the non-point source control measures (NPS1~NPS4) showed more effective compared to other measures, while, the PEP system to eliminate phosphorus from So-oak stream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dry year. In particular, the scenario of NPS1, in which all livestock manures were collected and treated but only chemical fertilizers (NPS1) were used for agriculture field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 in Chuso basin among the watershed measures.

Effects of Hydrogeomorphology and Watershed Land Cover on Water Quality in Korean Reservoirs (우리나라 저수지 수질에 미치는 수문지형 및 유역 토지피복의 영향)

  • Cho, Hyunsuk;Cho, Hyung-Jin;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2
    • /
    • pp.79-88
    • /
    • 2019
  • In order to study the water quality status and its causal environmental factors, the water quality variable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chlorophyll a (Chl a),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the hydrogeomorphologic variables of water level fluctuation, total water storage, dam elevation, watershed area, and shoreline development index, and the land cover variables of forest, agricultural area, and urbanized area in the watershed were investigated in total 73 reservoirs with various operational purposes, water level fluctuation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South Korea. The water quality was more eutrophic in the reservoirs of the more urbanized and agricultural area in the watershed, the low altitude, the narrow water level fluctuation, the narrowed watershed area, and the more circular shape. In terms of the purposes of reservoir operation, the reservoirs for agricultural irrigation were more eutrophic than the reservoirs for flood control. The results of the variable selection and path analysis showed that COD determined by Chl a and TP was directly affected by water level fluctuation and the shoreline development of the reservoirs. TP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urbanized area of the watershed which was related to the elevation of the reservoir. TP was also influenced by the water level fluctuation and the shoreline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eutrophication of the reservoirs in Korea would be influenced by the land use of the watershed, hydrolog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 water level fluctuation by the anthropogenic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ervoir operation purpose, and the location of the reservoirs.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the Impervious Surface Change in the Farm Region on Watershed Hydrology (농경지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유역 수문 영향 분석)

  • Kim, Hak-Kwan;Lee, Eun-Jeong;Park, Seung-Woo;Kang, Moon-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1 no.6
    • /
    • pp.17-23
    • /
    • 2009
  •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hydrologic impacts by the impervious surface change in the farm region.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y using four years (1999-2002) of measured data for the Gyeongancheon watershed in Korea. The simulation results agreed well with observed values during the calibration and validation periods. Land use scenarios including various changes of the plastic film house area in the farm region were applied to assess their effects on watershed hydrolog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rface direct (5.6%~14.0%) and total runoff (0.8%~1.5%) increased, but the groundwater discharge (10.7%~27.7%) and evapotranspiration (1.5%~3.3%) decreased as the plastic film house area (5.7%~12.4%) increased.

Evaluation for Determination of Optimum Size in Drainage Lock Gate (배수갑문 최적 규모 결정 검토)

  • Oh, Ji-Eun;Lee, Tae-Woo;Jung, Tae-Hwa;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855-859
    • /
    • 2010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이 작고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간척지를 조성해 농경지 및 대규모 공단으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서해안 지역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지만 지형학적으로 간척지 개발의 적지가 많아 현재까지 방조제 설치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방조제 설치 후, 호내 매립은 홍수위 및 홍수유출량의 급변으로 인해 외수위 변화에 따른 유출 배제 가능량을 재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홍수량, 시간별 외조위조건 그리고 유수지용량 등의 분석을 통하여 유역에서 홍수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홍수배제용 배수갑문의 최적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