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놀이 교수 효능감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ensitivity on Young Children's Play Flow)

  • 최인숙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9-5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J도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교수 효능감' 및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놀입몰입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간의 상관 관계는 교사의 놀이민감성 하위요인 중 놀이 관찰과 유아놀이몰입 하위 요인 중 시간감각의 변형 외 모든 변인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Teachers'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ing Efficacy on Play on Teachers' Strategies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 권혜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5-200
    • /
    • 2013
  • 이 연구는 놀이가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교사의 문제행동지도를 놀이지도와의 관련성속에서 탐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사의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과 문제행동지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충청남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15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놀이성과 문제행동지도전략, 놀이신념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놀이교수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놀이성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놀이신념은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문제행동지도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매개변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은 놀이성과 예방적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 놀이성과 긍정적 반응 문제행동지도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ensitivity on Play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

  • 안연경;최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0-5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성,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18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놀이성 척도, 민감성 척도, 놀이 교수 효능감 척도이며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 효능감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두 변인 모두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이는 영유아교사가 민감하고 놀이성이 높으면 놀이교수 효능감도 높다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과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 박은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지역 K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145명이다. 연구를 위해서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검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 모두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성은 유의미하게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주로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과 즉흥성이 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경력 및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urnout, and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 김송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81-499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경력, 소진, 놀이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1년차 보육교사들이 5~7년차와 8년차 이상의 보육교사들보다 놀이교수효능감은 유의하게 더 낮고 5~7년차 교사들에 비해 직무만족도는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경력과 놀이교수효능감, 놀이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사 경력과 성취감 상실로 인한 소진, 소진과 놀이교수효능감, 소진과 직무만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의 하위영역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로 소진, 놀이교수효능감, 교사 경력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예측하여, 소진 경험이 적고 교사 경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놀이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사 경력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과, 교사의 소진 경험을 줄여주는 것 외에도 보육일과의 특성상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과 놀이교수 효능감이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Children-Teacher Interaction)

  • 최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77-5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서표현성,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13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구도구는 정서표현성 척도, 놀이교수 효능감 척도, 유아-교사 상호작용 척도이며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성, 놀이교수효능감, 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표현성 중 부정적 정서표현성은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 놀이교수 효능감, 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두 변인 모두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보육 교사의 놀이 교수 효능감과 장애 유아의 사회성 기술 증진을 위한 교수 전략 수용도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Teachers' Efficacy Belief on Play and Acceptability of Improving Social Skills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안효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77-787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y care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and acceptability of social skills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74 day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two instruments were used. One was the social interaction program features questionnaire (Odom et al., 1993),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types of teachers' social interaction, which was modified. The other was the teachers' efficacy beliefs on play by Cho (1999) which was revised.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SPSS 12.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daycare teachers' acceptability of social skill strategies for disabilities children by factors. Secondly,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ir acceptability and their efficacy beliefs on play. Thirdl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higher group and lower group of scores of teachers' efficacy belief on play in daycare teachers' acceptability of social skill strategies for disabilities children.

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과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구성놀이 질의 차이 (Differences i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Quality by Teacher's Play Teacing Efficacy)

  • 유영의;신은수
    • 아동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1-126
    • /
    • 2005
  • Subjects were two teachers each with higher or with lower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111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they taught. Using naturalistic observatio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was videotaped and transcribed for 60 minutes on ten consecutive days in each classroom. Play was analyzed by level of constructive play, continuous length of play, variety of materials, enrichment of activities, and coherence of content. Constructive play of children whose teachers had higher efficacy in teaching play showed longer continuous play, used a higher variety of materials, and their play had more creative integrity. Five-year-olds exhibited longer continuous play, used a larger variety of play materials, more enrichment of play activity, and more coherence in play contents than four-year-olds.

  • PDF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 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Positive Beliefs about Children's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in Teachers and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 권혜진
    • 아동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33-147
    • /
    • 2012
  •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playfulnes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lay and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in a sample of 151 teachers working childcare center in Seoul and Chungcheu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y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ositive play beliefs. Second, teachers' playful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play. Finally, effect of teachers' playfulness on their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play was totally mediated by their positive play beliefs.

보육교사의 놀이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layfulness on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 김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27-433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놀이성, 교사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교사의 놀이성과 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변인 간의 구조 및 경로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영향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보육교사의 놀이성은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성격 특성인 놀이성과 내적신념인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시켜 준다. 또한 보육기관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교사의 놀이성와 교사효능감을 함양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이나 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