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논의적 의사소통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Case Study on Scientific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in Earth Science MBL Classes (지구과학 MBL 수업의 과학 탐구와 논의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 연구)

  • Oh, Jin-Ah;Lee, Sun-Kyung;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2
    • /
    • pp.189-203
    • /
    • 2008
  •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MBL), by offering accurate and 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real-time graphs, enables students to reduce experiment time and, thereby, have deeper discussions concerning experimental results. This helps to emphasis the essential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the proc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MBL lessons with regards to the five basic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Asking", "Evidencing", "Expl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t then investigated the level of argumenta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For this study, three classroom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and teaching materials, textbooks and students' notes were collect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inquiry level and argument fra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levels of the three classes were similar, except for the "Communicating" aspect, which appeared in only one episode. "Asking" was carried out by the teacher and then students were directed to collect certain data in the "Evidencing" stage. Furthermore, students were given possible ways to use evidence to formulate explanations and connections through the "Explaining" and "Evaluating" stages. In the argumentation analysis, most argumentative communication was identified as being associated with a given procedure, rather than with any scientific phenomena. In only one episode, did "Communicating" relate directly to any scientific phenomena.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MEL places emphasis on communication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e environment required for such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can not be easily created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order for authentic inquiry to take place in the MBL classroom,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evelop meaningful argumentation and scaffolding abilities.

담화 중심 초등 수학 수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

  • Kim, Sang-Hwa;Bang, Je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3-34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수업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중에서 담화 중심형 의사소통 수업의 성취 요소와 목표를 고려하여 2 4 6학년 수학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중심 수업을 실시한 세 교실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수학수업에서 담화 중심의 수학수업 구현에 관한 시사점과 논의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udience Cognitive Reconstruction of the Extended Meaning of Complex Mechanism Text : For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Story Media Expressions (복합기제 텍스트의 확장 의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적 재구성 : 서사적 미디어 표현을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

  • Lim, Ji-Wo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7
    • /
    • pp.137-143
    • /
    • 2021
  • This discussion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lin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literac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linked educators based o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of cognitive meaning of media text containing complex mechanisms. The implicit meaning of media content expression used as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ategy will be accepted as a multilateral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environment. If so, how is the general media content meaning intended by the content creator being accepted? These doubts are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To solve the problem, I leaned on the experimental pragmatic methodology of cognitive aesthetics and applied a model of relevance of cognitive linguistics to connect learners' creative cognitive environment and present content to find a contrast.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learners to express their subjectivity and creative thinking that could connect the cognitive environment and present content themselves. In particular, active and positive learners also revealed direct descriptive expressions to build a new cognitive environment, such as suggesting a third alternative to argue the ability to question produced media texts and the validity of the meaning implied in the text. In the future, since media text containing complex mechanisms is an indirect and persuasive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easily through various media in modern society, the universal communication principle of reliable conversation between media text creators and audiences should exist.

The behavior patterns of Cyworld's users -Focusing on Communication- (싸이월드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관한 연구 -의사소통 중심으로-)

  • Whang, Leo Sang-Min;Cho, Hee-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744-752
    • /
    • 2006
  • 사이버 공간이 현실 생활의 일부분으로 통합되어가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대인간 의사소통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의사소통과 경험 그리고 그것의 영향력에 대한 논의는 그 동안 많이 있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의 행동 특성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동과 영향력, 그리고 그 의미가 달라진다는 점을 간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인 싸이월드도 그것에 부여하는 가치와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고 따라서 행동도 다를 것이라는 가정하에, 싸이월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용행동과 활동들을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유형에 따라 싸이월드에서의 의사소통 패턴과 경험, 활동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사전 연구로 진행되었던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정리된 행동문항을 전체 설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싸이월드에서 보이는 개인의 행동적 특성을 의미하는 5 개 요인(적극성.몰입, 낯선 사람과의 연결과 정보 추구, 사생활 보호, 단순한 연락 수단, 폐쇄성)이 확인되었고, 이렇게 추출된 행동 요인을 토대로 싸이월드에서 나타나는 3 개의 행동 유형(적극적 활용형, 폐쇄적. 다이어리 추구형, 새로운 관계.정보 추구형)이 구분되었다. 행동 요인의 차이로 표현되는 3 개의 행동 유형에 따른 싸이월드에서의 의사소통 패턴과 싸이월드에서의 활동 그리고 싸이월드 경험에 대한 평가를 분석한 결과 행동 유형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일한 싸이월드라는 공간이 사용자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가치의 차이로 나타나는 행동 유형에 따라 싸이월드에서 소통하는 대상과 방식이 달라지고 경험의 의미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ed on Discourse-Based Communication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 Kim, Sang-Hwa;Pang, Jeong-Su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523-545
    • /
    • 2010
  • Mathematical communication has been emphasized not only as the process of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as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what to consider and how to implement in the actual classroom for promo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Given this background, this paper implemented a mathematics instruction in each of 2nd, 4th, and 6th grade classrooms in which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were considered to promote discourse-bas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It then analyzed the degree by which such learning objectives were achieved and th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in each classroom. This paper finally provided issue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course-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 by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lassrooms.

  • PDF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An Analysis of 5 Practices for Effective Mathematics Communi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초등 교사의 5가지 관행 분석)

  • Pang, JeongSuk;Kim, Jeongw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1
    • /
    • pp.143-164
    • /
    • 2013
  • Despite the recent emphasis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little practical guide has been provided for a teacher with what to do for orchestrating high-quality discussions in a mathematics classroom. This paper analyzed 20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which were recognized as effective instruction in Korea using an analytic framework with regard to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i.e., anticipating, monitoring, selecting, sequencing, & connecting) by Smith and Stein (2011) in terms of performance scales from Level 0 to 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levels were Level 1 including undesirable practices and Level 2 including insufficient practices. There were only one or two lessons per practice which were assessed as Level 3 of good performance. Specifically, Level 2 was the most frequent with regard to monitoring and selecting, whereas Level 1 was the most frequent as for the other practices. This paper provides some implications for co-ordinating productive mathematics discussions.

  • PDF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가치와 의사소통 방식 간의 관계에서 연령과 성별의 조절효과)

  • Eunjung So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9 no.2
    • /
    • pp.199-221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communication styles of Korean adults. Five hundred adult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cultural universal value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servatism, and self-transcendence), cultural-specific values (collectivism,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family recognition through achievement, and humility),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munication style, self-enhancement, emotional self-control, and self-transcend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Whereas openness to change, self-enhancement, conformity to norms, emotional self-control, and gender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Second, 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nhancement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level of self-enhancement was high and the age was younger. Third, age and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norms and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In the case of males with high conformity to norms and younger age, the high-context communication style significantly increased. Four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As collectivism increased, men tended to increase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s, while women tended to decrease it. Fifth,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ility and low-context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omen with high humility, their low-context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ly lower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Effectiveness of Teacher's Intervention in a Web-based Discussion Using Electronic BBS (전자게시판을 활용한 웹기반 토의에서의 교사개입의 효과)

  • Park, Chang-Wuk;Moon, Gyo-S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33-639
    • /
    • 2004
  • 본 연구는 웹의 비동기적 상호작용의 하나인 게시판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데 있다. 전자게시판의 활용은 주로 학생 상호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교사의 개입이 없는 방임형 게시판과 교사가 직접 개입하는 교사 개입형 게시판의 의사소통 능력과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을 학습효과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내용 분석을 위한 적절한 도구를 고안하고 교사 개입의 방법과 수준 등에 대한 논의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