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지 계획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5초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 이우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11
    • /
    • 2011
  • 산림녹지의 기능평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도시민의 이용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으며, 자연생태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인 기능을 평가한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녹지에 대한 지속적인 계획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산림녹지의 자연생태적 기능에 대한 평가 지표 선정 및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국 내외 56개 문헌 조사를 통해 최초 35개 지표를 선정되었고, 1차 설문에 의해 12개의 자연생태적 지표가 선택되었으며, 2차 설문에 따른 MCB분석에 의해 녹지면적, 녹지연결성 등 7개 지표가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3차 설문에 따른 AHP분석에 의해 7개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기능 평가를 기초 작업을 완료하였다. AHP분석 결과에서는 자연성 항목이 0.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식생활력도가 0.063으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사례지 적용을 위해 대구광역시를 대상지로 설정하여 산림녹지에 대한 자연생태적 기능을 평가한 결과, 앞산과 청룡산, 비슬산의 정상부를 따라 85점 이상의 높은 점수가 나타나 자연생태적 기능이 우수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와룡산과 마천산의 서쪽지역, 달성군의 대니산 일대지역에서 50점미만의 낮은 점수가 나타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평가 지표 및 결과들은 향후 도시계획, 환경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녹지와 주민의 삶 - 면적에서 공간의 관점으로 - (Planned Green Space in High Density Residential Zone and Quality of Life : Areal to Spatial Context)

  • 황유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66-680
    • /
    • 2016
  • 본 연구는 1980년대에 이후 개발된 고밀도주거지역 주변에 조성된 도시공원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열섬현상은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한다. 도시개발 후 녹지공간을 확대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 계속적으로 인접지역에 시설물, 건물, 도로망이 확충되었다. 신도시 건설계획에 따라 조성된 도시공원들을 비교한 결과, 도시계획단계에서 최소한의 녹지를 확보했으나 개발 후 20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주민에게 적절한 녹지공간이 되지 못하며, 녹색섬으로 남거나 냉섬 효과, 녹지연결성, 바람길 통로로서의 기능은 미흡하다. 일부 지역은 재건축이 완료되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더욱 더 주민에게 삶의 질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 PDF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Modernism in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under the Kim Hyeon-Ok's Mayoralty (1966-1970), Seoul)

  • 오창송;김근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27-45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 근대화의 주역인 김현옥 서울시장이 추진한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를 추적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의 공원녹지 정책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하이 모더니즘의 관점을 투영하였다. 하이 모더니즘은 전후 도시재건사업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국가 엘리트들에 의한 이상적 사회질서와 합리적 계획에 대한 신념의 형태로 출현하였다. 이것의 특징은 가독성 구축, 권력에 의한 신속성과 편의성, 민간 참여와 이익 창출, 그리고 건설되는 도시의 스펙타클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스트로서 김현옥 서울시장의 도시계획은 폭증하는 인구와 서울 영토의 확장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그의 공원녹지 정책은 서울 외곽으로 공원을 확장시켰고, 도심에 위치한 공원을 전용하는 이원적 태도를 보였다. 한편 공원조성을 위해 민간의 참여를 유도하였지만 장소성을 소거하고, 관련 제도를 배제하는 근대화의 이면을 보여 주었다. 김현옥 시장의 공원녹지 정책의 경로는 인구증가에 대응하고 공원의 잠식을 해소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도시계획 현실화를 수용하고 비재정방식 실험하는 것이었다. 하이 모더니즘을 반영한 그의 공원녹지 정책의 특성은 첫째, 국토계획학회, HURPI 그리고 장문기로 대표하는 엘리트들이 참여하였고, 둘째, 사방위의 축, 표고 기준 그리고 인구 예측을 반영한 합리적 계획에 의한 공원녹지의 가독성을 구축하였다. 셋째, 급격한 도시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게 공원을 해제하였고 넷째, 민간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이벤트와 스펙타클을 과시하였다.

야생조류 이동통로 예측을 통한 도시녹지네트워크 설정연구 (Establishing Urban Green Network by Estimating Birds Moving Pattern)

  • 홍석환;최송현;이수동;배정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1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녹지네트워크를 구현함에 있어 시가화 지역을 대상으로 산재해 있는 녹지분포 특성을 조사한 후, 이를 기반으로 야생조류의 이동경로를 예측하여 녹지네트워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시가화 지역에 대해 녹지분포를 조사하고, 여기에 야생조류 이동가능 루트의 예측을 위해 30m간격으로 가상의 격자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경로탐색을 실시하였는데, 이 때 도심내 파편화된 도시녹지와 도시 외곽의 연결이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일어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8지점 및 16지점으로 구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 분석 모두 가상의 이동경로가 대체로 동일한 지역을 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었다. 이에 야생조류의 이동횟수가 집중된 지역을 중심으로 녹지네트워크를 설정하는 것이 도심 내 야생조류 유입을 위한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녹지네트워크 계획 결과는 도시외곽의 양호한 자연지역에 서식하는 야생조류의 원활한 도심 내 유입을 위한 시가화지역의 생태적 연결성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탄소배출 저감형 도시 그린필드의 조성 및 관리방안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Green Field based on Carbon Emission Reduction)

  • 박천보;최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37-844
    • /
    • 2015
  • 본 연구는 대도시의 공원 및 녹지를 탄소배출 저감형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도시 그린필드의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저탄소 사회실현 및 녹색성장을 위해 국내 도시가 나아가야 할 공원녹지의 계획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순서로는 먼저 이론고찰을 통해 탄소저감형 도시계획 및 도시 그린필드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탄소저감과 도시 내 그린필드의 관련성을 고찰한다. 이어서 국내 도시 그린필드의 문제와 과제에 대하여 파악하고, 탄소저감형 그린시티계획을 수립한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공원녹지 상황을 도시계획을 통해 파악함으로서 도시 그린필드의 여건을 분석한다. 끝으로 대전광역시 그린필드의 조성 및 관리방안을 광역 그린네트워크, 그린필드 보존 및 확충 그리고 법 및 제도적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서 그린필드의 확보에 중점을 두고 공원 및 녹지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국내 대도시의 미래 탄소저감형 그린필드의 계획방향을 제시한다.

GIS를 이용한 미시설공원의 개발 우선순위 설정 연구 (Establishing the Development Priority of Undeveloped Urban Parks Using GIS)

  • 김윤종;이인성;이석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35-4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녹지계획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지원할 수 있요록 GIS(지리정보시스템)와 RS(원격탐사)를 이용하여 서울시 녹지관련 정보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 후 녹지 평가지표를 생태 및 환경가치, 이용가치, 사회적여건 가치로 구분 설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미시설공원에서의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녹지 평가지표들을 서울시 녹지보존 등급부분을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1997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ㅇ네서 수행한 녹지총량 관리방안 연구의 일부이다.

  • PDF

녹지기반성 분석에 의한 보전녹지와 중점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Establishment of Preservative Green Spaces and Potential Focus Areas by the Green Infrastructure Assessment of the City of Daejeon)

  • 이시영;심준영;장민;허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5-73
    • /
    • 2008
  • 도시공원법이 개정됨에 따라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과 연계하여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공원녹지 확보 및 관리를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GIA 개념도입을 통해 생태적으로 중요한 동시에 훼손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GIA의 개념 및 분석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대전광역시에 적용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면서 동시에 개발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규명하고 이를 중점관리지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GIA 개념의 도입을 통해 도시계획과정과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고, 또한 공원녹지 보전의 우선순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지역이 한정되어 있고, 국외에서 구축된 자료와 국내 자료와의 상충문제, 스케일 상의 문제 등에 있어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향후의 연구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여 보다 더 일반적인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계획프로세스 및 지표 선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Analysis on Urban Heat Island Effects for the Metropolitan Green Space Planning)

  • 박경훈;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5-45
    • /
    • 1999
  • 본 연구는 Landsat TM 영상자료를 이용한 표면온도와 NDVI의 추출을 통해서 대구광역시의 열섬분포패턴과 녹지활력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아울러 녹지의 열섬완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토지피복분류를 기준으로 한 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연식생으로 피복된 산림의 경우는 NDVI가 높고, 표면온도가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는 반면에, 피복상태가 불투수층의 인공포장재료로 구성된 도시역은 NDVI가 낮고, 표면온도가 높은 곳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토지피복상태에 따른 표면온도의 차이가 인공 포장면의 증가에 따른 도시열섬효과의 간접적인 발생 원인임을 증명하는 것으로서, 향후 도시계획을 위한 녹지계획 수립시에는 열섬분포 패턴에 관한 인자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