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인증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9초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 사례를 통한 정성평가 텍스트마이닝 기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xt-Maining Method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Barrier Free Certification in School Facilities)

  • 윤평세;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5
    • /
    • 2020
  • BF인증을 도입하여 운영한 이래 2020년 2월까지 총 6,432건의 인증서 발급이 있었고, 그 중 교육연구시설은 건축물 6,237건 중 1,091건(예비인증 754건, 본인증 337건)으로 약 20%의 BF인증을 취득하였다. BF인증 건축물 평가지표 3개 항목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중점적으로 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도출 결과를 Text Mining 분석 통해 주요 키워드를 도출한다. 도출된 결과 매개시설의 경우 접근로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내부시설의 계단에 대한 평가사항 중 사용자에 대한 평가지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위생시설의 경우 주민 개발시설에 설치되는 화장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시설 BF인증에 필요한 평가지표가 별로도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 자체평가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lf-Assessment Form based on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in School Facilities)

  • 윤평세;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27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제도 시행에 따른 학교시설의 BF인증 적용사항에 대한 기본연구로 건축물 BF인증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BF 예비인증 자체평가서 분석을 통해 학교시설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상권 내 30개교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의 현황과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학교시설에 반영되는 항목은 배점 기준의 변별력이 다소 미흡하여 배점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학교시설을 위해 중 하위 배점을 획득한 항목에 대해 기준 개선 및 배점 조정으로 질적 향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포장과 법률 - 탄소성적표지작성지침

  • 환경부
    • 월간포장계
    • /
    • 통권197호
    • /
    • pp.110-125
    • /
    • 2009
  • 환경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탄소성적표지제도는 일상 생활용품, 가정용 기기기 등 모든 제품의 탄소배출량 정보를 공개하고, 저탄소 상품의 인증을 통하여 지구 온난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 녹색생산과 녹색소비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탄소성적표지는 제품의 생산, 수송, 사용, 폐기 등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 가스 발생량을 CO$_2$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라벨 형태로 제품에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탄소성적표지제도는 기업의 자발적인 신청을 받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CO$_2$배출량을 조사해 인증을 내주는 방식으로 온실가스 라벨을 부착하려면 CO$_2$배출량과 구체적인 감축 계획을 제출하는 등 기후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자세를 보여야 한다. 본 고에서는 탄소성적표지 작성 지침과 제품전과정 온실 가스 계산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소형주택 녹색건축인증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Evaluation Factors Importance Analysi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 Detached Houses)

  • 신성준;윤은란;박승환;양진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02-303
    • /
    • 2014
  •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detached houses in 2012 and it included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ubject. Howeve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result of the detached houses is slight after revising of the system.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were performed the importance analysis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ssessment of the detached ho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ork.

  • PDF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녹색건축 인증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SE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 Based on Apartment Houses)

  • 윤요선;류수훈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31-42
    • /
    • 2013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is evaluates the eco-friendliness of the building as an abjective means. Study in green building is made actively, and is being developed through constant revision. However, study results of green building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vious studies about G-SEED and checks the reflection of requirements.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of future revision of G-SEED. Score of items are divided into low and high score items. These items should be reflected appropriately in the standard through the score adjustment. Some requirement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as reflected, while substantial requirements was not reflected. Proposed improvement requirements are classed as to establish specific standards, strengthen standards, propose a new evaluation method to existing items, and add new items.

미국의 LEED와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비교 연구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통한-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and LEED by School Cases)

  • 이승민;이상민;맹준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0권2호
    • /
    • pp.30-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items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spread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KGBCC) by comparing items and school cases of KGBCC with those of LEED 2.1. LEED 2.1 is concentrating on 'Energy' and 'Indoor Air Quality' and KGBCC is relatively showing even distribution. And LEED 2.1 is not evaluate 'Ecology' that is important to us. And school cases of KGBCC and LEED 2.1 obtained similar scores by field or those of KGBCC obtained more scores. Domestic buildings need to ontain certification by KGBCC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Also we need to lead activating of KGBCC through incentive programs.

녹색도로 인증제도의 환경개선효과 평가항목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s at the Green Roads Rating System)

  • 김현우;이두헌;박재우;구재동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5-1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roduction of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s of Korea green road certification system. Focus of Evaluation Criteria is possibility of quantification on environmental improvements. Proposed evaluation items is noise, air pollution, water quality, ecological and green spaces, waste, and space res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support of Green Roads Rating System in korea.

  • PDF

녹색도로인증제도의 국내 적용성 검토 (Investigation of applicability for introducing green-road certification to domestic road)

  • 이두헌;김현우;박재우;이교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1-183
    • /
    • 2012
  • Recently, as part of an effort to realize the low-carbon green growth, the research to measure the degree of greening about the road facility with United States as its center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Green-road certification is enforc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green-road certification to domestic road to promote the settlement of green-road certification system to contribute the related industry development for the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spread in the roads sector.

  • PDF

학교시설의 녹색건축인증제 개선을 위한 문헌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SE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School Facilities)

  • 윤요선;류수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1-51
    • /
    • 2014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source-saving and eco-friendly buildings from 2002. Studies about the green buildings are made actively and is being developed through constant revision. However, study results of green building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vious studies about G-SEED for school facilities and check the degree of to reflec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of future revision Substantial problems and requirements are not reflected in revision standard. Proposed improvement requirements are classed as to improve the items(establish specific standards, supplementation), strengthen standards(designate the prerequisite items), propose a new evaluation method, add new items. delete exist items and adjust the score. Therefore, future revision of G-SEED for school facilities should reflec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MART Highway환경에서 Counting BloomFilter를 활용한 차량 간 인증 기법 (Authentication between the vehicle scheme using Counting BloomFilter in SMART Highway)

  • 김수현;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72-675
    • /
    • 2012
  • SMART Highway 사업은 첨단 IT통신과 자동차 및 도로 기술이 접목된 세계 최고수준의 빠르고 편안한 지능형 녹색도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SMART Highway의 도로-자동차 기반 교통운영에서 핵심기술인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은 다수의 차량들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간 통신 또는 차량과 RSU(Road Side Unit)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V2V 통신의 경우 차량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차량 간 상호인증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 간 인증이 원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존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인증방식은 그대로 적용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차량 간 통신 시에 보다 효율적인 차량 인증을 위해 카운팅 블룸필터를 이용한 차량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