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후교육시설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도서지역 노후쇠퇴시설의 생태문화적 재생 방안: 인천 옹진군 이작도를 중심으로 (The Eco-Cultural Regeneration Method of Deteriorated facilities in Island regions : Focused on Ongjin-Gun Ijak-do, Incheon Metropolis)

  • 신선미;변병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75-685
    • /
    • 2012
  • 본 연구는 이작도 내 산재해있는 폐교, 노후불량주택, 쇠퇴산업시설, 폐공간인 노후쇠퇴시설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생태문화적 재생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도서지역 생태문화적 재생 요소인 토지이용, 교통체계, 건축물, 자원순환, 보전 및 보존, 관광자원화, 기반시설 부문에서 중요요소를 선정하였고, 이작도의 노후쇠퇴시설에 적용 및 재생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폐교된 계남분교는 숙박과 교육이 가능한 이작 아일랜드 센터로 조성한다. 둘째, 노후불량주택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주택 내 외부 리모델링할 뿐만 아니라 생태교육관과 도서생활전시관으로 정비해야 한다. 셋째, 쇠퇴산업시설은 대합실 내 비지팅센터 설치와 해양체험의 장소로 조성하도록 한다. 넷째, 폐공간은 간이판매대 설치와 녹색교통체계 구축하고 생태문화 탐방로를 조성해야 한다.

교육시설(敎育施設)의 리모델링을 위한 구성재료(構成材料)의 노후화(老朽化) 판정기준(判定基準) 작성(作成)(III) - 주요(主要) 마감재료(材料)의 노후도(老朽度) 종합판정방법(綜合判定方法) 제시(提示) - (Evalu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for Remodeling Old Educational Facilities(III) - Synthetic Judgment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of Finished Materials -)

  • 서치호;최민권;최수경;오세출;권용균
    • 교육시설
    • /
    • 제11권1호
    • /
    • pp.15-23
    • /
    • 2004
  •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built before 1985 is a seriou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icient remodeling method of ol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paper, part III, presents the systemic and synthetic judgment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of finished materials. Evaluation of the deterioration is carried out in every eight classrooms or building elements divided by the use. And classrooms are divided by several parts for example floor, wall and ceiling etc.. The whole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judges the result of every part collectively.

교육시설(敎育施設)의 리모델링을 위한 구성재료(構成材料)의 노후화(老朽化) 판정기준(判定基準) 작성(作成)(II) - 주요(主要) 구성부재(構造部材)의 노후도(老朽度) 종합판정방법(綜合判定方法) 제시(提示) - (Evalu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for Remodeling Old Educational Facilities(II) - Synthetic Judgment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of Structural Components -)

  • 서치호;최민권;최수경;오세출
    • 교육시설
    • /
    • 제10권5호
    • /
    • pp.15-22
    • /
    • 2003
  •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built before 1985 is a seriou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icient remodeling method of ol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paper, part II, presents the systemic and synthetic judgment method of deterioration grade of structural components. Deterioration grade of the whole structural components are judged by synthetic evaluation score which is the total of the score of ten evaluation items. And we added the importance coefficient of the viewpoint of four performance to each evaluation item.

노후학교시설 개축 판별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Determining the Reconstruction of Retired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송병준;김재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는 노후 학교시설에 대한 합리적인 개축 및 리모델링을 위한 판단기준 마련을 위해, 기능적, 성능적, 구조 안전, 경제성 지표를 정량화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개축 및 리모델링으로 사업유형 결정을 위한 객관적 근거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평가지표의 설정을 위한 주요 방법론은 델파이 분석과 AHP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기능 및 성능성 분야는 34점, 구조 안전성 분야는 51점, 경제성 분야는 15점을 기준으로 한 각 평가항목별 배점을 설정하였다. 향후 평가지표 모형을 중심으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개축 여부 판단을 기대할 수 있으며, 대상학교 현황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각 대상학교 교사동에 대한 사업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 이상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초·중등학교시설의 노후도 평가 방법 (An Evaluation Method of Deterioration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김형은;류한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2호
    • /
    • pp.44-53
    • /
    • 2017
  • 시설물의 유지관리란 시설의 구조적, 기능적, 미적성능을 보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편의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준공당시의 시설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고 초기의 기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현재 시 도교육청은 학교시설물의 유지관리를 비롯한 점검 및 관리를 형식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재난발생위험에 적기대응이 곤란하고, 학교 시설에 대한 안전대책의 수립이 지연되는 등 관리가 부실한 실정이다. 또한 교육환경개선비가 배분기준과 달리 산정되는 등 비합리적으로 결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많은 초 중등학교 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는 동일하고 단순한 정량적 지표와 방법을 개발하여 객관적으로 학교 시설물의 노후도를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사례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학교건물(學校建物) 건축설비(建築設備)시스템의 노후도(老朽度) 평가(評價) 기준(基準)마련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Evaluation of Deterioration Grade for Remodeling Architectural Facilities in Old Schools)

  • 조민관;조창근;박종수
    • 교육시설
    • /
    • 제13권4호
    • /
    • pp.15-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objective deterioration grades and evaluation criteria of building equipment sys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available for reasonable maintenance and remodeling of them. For the purpose of it, the actual conditions of building equipment systems of the 148 buildings of 84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20 years after construction are investigated and survey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And, deterioration grades of them are estimated by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10 deterioration grades and the 4 evaluation criteria of the 6 performances of building equipment system, which are heating and cool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hot water supply and electrical power performance, are suggested. A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showed that 24% of the investigated school buildings were estimated C grade which needs partial remodelling, and 51% of the school buildings were estimated D grade which needs extensive remodelling. And, 25% of the school buildings were estimated E grade which needs overall remodelling or alteration of building equipment system.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시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Baby Boomers on the Intention to Us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유용식;조수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49-55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시설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베이비부머를 위한 복지시설 설립과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3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지시설 입소 의향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도가 노인복지관 이용의향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니어클럽 이용의향에서는 경제적 노후준비도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센터와 베이비부머복지센터 이용의향에서는 정서적 노후준비도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시니어클럽은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취업 및 창업에 대한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들의 기술과 지식을 활용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50+센터와 베이비부머복지센터에서는 정서적·심리적 문제에 대한 예방, 치료를 위한 전문적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정서적 안정과 지지를 위한 대인관계 증진 및 사회활동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 및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국립대학시설의 미래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태조사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University Facilities to Future Higher Education)

  • 신은경;박성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3권3호
    • /
    • pp.27-35
    • /
    • 2024
  • 사회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미래 고등교육의 가치가 구체화되고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법이 강조되며 대규모 대학 시설 노후도 개선을 앞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학 시설의 공간 조성 실태, 공간 구성 등을 교육적 측면과 건축적 측면에서 조사하여 기존 대학 시설에서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명백히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대학 공간 재구조화 및 시설사업의 추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도면 분석을 통하여 공간 연계성과 공간별 면적 비율을 분석하였고,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시설 수준과 공간 특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대학 시설 공간은 강의식 수업을 위한 공간의 비율이 매우 높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위한 공간은 매우 부족했으며, 미래 고등교육을 위한 대학 공간의 교육적 요소와 건축적 요소는 대체로 충족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향후 추진할 대학 시설 개선 사업에서는 미래 고등교육의 가치 실현을 위해 대학 공간의 교육적 요소와 건축적 요소를 반드시 반영한 사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 시설물의 선제적 노후화 관리를 위한 유지관리 서비스 수준의 인지요인 도출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vel of Service for Proactive Maintenance in Educational Facilities)

  • 신승우;이준성;손정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4-35
    • /
    • 2015
  • 향후 교육시설의 노후화 관리는 단편적인 개 수공사가 아닌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물의 기능을 고려한 통합적인 서비스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현행 유지관리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편향된 성능기반 관점의 한계성을 인지하고 시설물이 제공해야 하는 유지관리 서비스의 기능과 속성을 반영한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시설물에서 제공하는 시설물 서비스 기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해 서비스 수준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유지관리 항목들을 도출하고, 이를 적절한 범주로 설정하여 향후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주요 유지관리 범주별 영향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설명변수가 제시되었고, 그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에 대해서 적절한 통계적 검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