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후건강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17초

일부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요구와 노후생활에 대한 의식구조조사 (A Survey on Nursing Needs and Opinions about The Aged Life -Emphasizing on Basic Needs of the Aged-)

  • 이인규
    • 대한간호
    • /
    • 제17권1호통권93호
    • /
    • pp.61-71
    • /
    • 1978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basic needs of the aged and differences in the idea of old age between average adults and the aged. Analizing the data collected from 220 aged persons living in a part of Weon Ju City in Gang Weon Province during

  • PDF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 between the Middle Aged's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Preparations for the Old Age)

  • 강성옥;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121-144
    • /
    • 2013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35-65세 미만 중년층 35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년층의 노후준비도는 평균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정서적 준비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준비도가 낮은 변인은 경제적 준비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 인식수준은 상당히 긍정적인 인식수준을 보였으며 일상의 안녕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종교유무, 직업, 월 가구소득, 건강상태, 노후계획정도, 사회활동 정도로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화인식은 노후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공적 노화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성공적인 노후를 위한 준비를 보다 적극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성공적 노화의 하위변인 중 심리사회적 안녕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신체적 준비를 잘 하고 있으며 심리사회적 안녕, 일상의 안녕, 자기효능감의 순으로 정서적 준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규칙적인 체육활동이 노후불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anxiety Level of Older People)

  • 전익기;이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53-968
    • /
    • 2008
  •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후불안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며,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노후불안 수준을 파악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노후불안 수준이 체육활동을 통해 얼마큼 감소되는지 밝혀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L노인대학, S노인대학, J노인대학, Y(a)노인대학, Y(b) 노인대학, D노인대학에 체육활동 강좌(건강체조, 게이트볼, 스포츠댄스) 수강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의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 2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직접 기입방법과 일대일 면접법을 병행하여 총 2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 Version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치의 유의 수준은 .05로 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대응표본 t-test (Paired t-test),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였다. 노인들이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노후불안 인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후불안은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첫째, 체육활동 실시 전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M=3.756), 실시 후에는 (M=1.942)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에 대한 두려움은 체육활동 실시 전 (M=3.443), 실시 후 (M=2.243)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외모에 대한 걱정에서는 체육활동 실시 전 (M=3.253), 실시 후 (M=2.310)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요인인 심리적 불안정 요인에서는 체육활동 실시 전 (M=3.060), 실시 후 (M=1.666)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요인이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요인 모두 사전테스트 전 보다 노후불안점수가 낮게 나타나 체육활동이 노인의 불안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대학 중년기 재학생의 노화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 of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Focused on Middle Aged People of Digital University)

  • 전혜성;이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17-422
    • /
    • 2014
  • 도래하는 고령화사회를 앞두고 현 시대의 중년기 성인들은 불확실한 노후에 대한 노화불안과 우울을 경험한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디지털대학교육은 중년기성인의 제 2의 경력개발과정으로 부상하고 있고, 상당수의 중년기 성인은 디지털교육을 통해 노후를 대비하면서 개인적 차원의 노후불안과 우울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기 성인들의 노화불안 및 우울의 수준을 평가하고 노화불안에 따른 정신건강의 주요지표인 우울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대학에서 진로개발 중인 중년기의 재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노화불안을 독립변인으로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316부의 설문이 수거되었으나 최종적으로 302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디지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기 재학생의 전반적 노화불안 및 우울 수준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 중년기 성인들의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결과인 것이다. 한편, 중년기의 노화불안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중년기 성인들은 노화에 대한 지나친 불안보다는 바람직한 노화관과 적정수준의 현실감을 갖는 것이 우울감을 낮추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고, 더불어 디지털교육을 통한 경력개발이 중년기 성인의 정신건강에 기여함을 조명하였다.

남녀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Single and the Married Couples Elderly)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19-1135
    • /
    • 2012
  • 본 연구는 남녀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이들의 생활수준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복지서비스 이용을 파악하여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노력들이 연구대상들에게 어떠한 상태로 개입되고 있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716가구 노인들의 응답내용으로 기초통계, T검증, 카이스퀘어 검증, 분산분석,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 독거노인의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이 가장 낮았고 노령연금수급과 식생활이나 간병, 일상생활지원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도가 높았으며, 남성 독거노인은 노후보장수준이 미약하며 가족과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의료비와 물품지원서비스 이용도가 높았다. 상대적으로 부부노인은 연령대가 낮고 복지서비스 이용 수가 적으며 일자리사업 참여율은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복지서비스 이용도에는 세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노후보장 수준과 가족관계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결과를 통해 복지서비스 개입 시 우선대상 선별기준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경제 및 건강관련 복지서비스 영역 외에도 심리정서적 지원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지역사회 노인의 생활만족도, 건강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 이선혜;문명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21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59 elders living in one city. Data on life satisfaction (Choi's Life Satisfaction Scale for Korean elderly, 1984), health behaviors (Choi & Kim's Health Behaviors Scale for Korean elderly, 1997), and successful aging (Kim & Shin's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2005) were collected by trained interviewers.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PASW 18.0 program was used, which include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health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explained 60.8%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help improve health behavior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f elders. We should also understand life satisfaction over their life span and establish a program that encourages healthy behavio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these efforts will allow for achievement of a more successful aging process for the elderly.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ccording to Age in Production Workers)

  • 김현미;최연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127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age group of 30s, 40s, and 50s in production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20 men working in 2 workspaces of Ulsa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0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Chi-square, One way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7.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0s, 40s, and 50s worker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knowledge and attitude of cerebrocardiovascular (CVD) diseases. 50s workers were significantly more higher than 30s and 40s regard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health promoting behavior, cognition and attitude of CVD diseases. The model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explained variance of 42.3% of 30s, 36.0% of 40s, and 28.5% of 50s workers. Finally, cognition of CVD diseases and social support were predictors in explaining the level of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mong production worke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production workers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Middle Aged Women)

  • 최영미;최성희;안옥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5-183
    • /
    • 2019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xiety, perceived level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 for aging as well as factors influencing preparation for aging. Method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years residing in area J.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7, 2017 to November 9, 2017,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WIN 24.0. Results: Regression analysis revaled that factor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subjects were age, perceived health status, exercise, leisure activity, aging anxiety,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42.3%.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influenced the preparation for aging of middle-ag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that properly manage aging anxiety and improves successful aging, in order to encourage middle-aged women to actively prepare for their later lives.

중고령자의 정서적 행복감과 영적요구가 건강한 노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motional Happiness and Spiritual Needs on Healthy Ag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 양남영;이은주;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9-18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happiness, spiritual need, and healthy aging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y aging in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0 middle-aged and elderly individu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March 9 to May 27, 2020.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y aging and emotional happiness (r=.70, p<.001) and spiritual need (r=.52,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y aging were gender (β=.13, p=.026), subjective health status (β=.19, p=.002), emotional happiness (β=.60, p<.001), and spiritual need (β=.34, p<.001). These variables explained 67% of healthy aging. Conclusion: Healthy ag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women than on men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good and when emotional happiness and spiritual need were high. Healthy aging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h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health. Therefor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rograms that include various aspects of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for healthy aging should be considered to confirm their effectiveness.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 노화인식, 노화불안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ging Anxiety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 강수진;염혜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75-18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are stress for older patients,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nxiety about aging on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 which participants were 222 nurses who had at least six months of work experience and were involved in caring for older patients in the last six months at the work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0 using an online survey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participants was moderate (3.21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domains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preparation had the lowest scor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aging anxie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nurses, accounting for 16% of the variable's total variance. Conclusion: A greater level of preparation for retirement was associated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aging and a decreased level of aging anxiety in the clinical nurse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exploration of specific determinants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he nursing work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