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출율

검색결과 969건 처리시간 0.03초

일부 초.중학생의 간접흡연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the Smoking in Som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임명실;이무식;나백주;홍지영;유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209-1212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일부 초, 중학생들의 간접흡연 실태와 그로 인한 현재 흡연 여부 관계를 분석하여 초, 중학생들의 흡연 예방 교육 계획 및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9년 6월 29일부터 7월 11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내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64명과 중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간접흡연 노출 관련성은 가정불화, 성적, 친구관계스트레스가 있는 대상자에게서 높게 조사되었고, 가족 및 주변인의 흡연유무에 따른 간접흡연 실태는 부모 및 친구의 흡연으로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접흡연의 주제공자는 아버지며, 주 간접흡연 피해 장소는 집으로 나타났다. 간접흡연 노출 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흡연하는 아버지를 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접흡연 노출이 높았으며, 흡연하는 친구를 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접흡연 노출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흡연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현재흡연율이 높았고, 엄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대상자와 흡연하는 친구를 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현재흡연율이 높았으며, 간접흡연에 노출 되었던 대상자에게서 현재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 중학생의 간접흡연 실태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또한 대상자들의 현재 흡연은 간접흡연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간접흡연의 노출 및 그로 인한 흡연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 및 학교와 공공장소 등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는 제도적 및 환경적인 조치들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간접흡연에 대한 간접흡연 예방 교육 및 대처방안 교육이 조기에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또한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적으로 흡연예방 교육을 수강하게 하고, 교사들을 위한 연수교육 실시, 학교 흡연예방사업에 부모나 가족을 참여, 흡연예방 사업의 정기적인 평가 실시 등 국가적인 정책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상수도(上水道) 페놀오염으로 인한 노출-비노출(露出-比露出) 지역주민(地域住民)의 호소증상(呼訴症狀) 비교(比較) (Illness Associated with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with Phenol)

  • 김두희;이성국;천병렬;이덕희;홍성철;장봉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02-209
    • /
    • 1993
  • 지난 1991년 3월 16일 대구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 페놀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지역의 상수도 공급분포와 초 중 고등학교 지역적 분포를 비교하여 대상학교 10개교를 선정하여 이를 폭로군과 비폭로군으로 나누어 학생들의 가족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자기기입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내용은 노출지역과 비노출지역에서의 증상호소의 차이, 음용수 유형의 변화형태 등이다. 노출지역과 비노출지역에서 수도물만 먹은 사람을 비교하였을 때 페놀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노출지역에서 3배 이상의 호소율을 나타낸 증상은 구역질, 구토, 설사, 복통, 두통, 입 목이 따끔거림, 피부증상으로 나타났다. 유관증상을 한가지 이상 호소한 경우는 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약 3.5배(39 9% 대 9.4%)였으며 의료기관 이용율은 노출군에서 18.5%인 반면 비노출군에서는 4.7%로 약 4배의 차이를 보였다. 유관증상은 노출정도가 심할 수록 호소율이 높아지는 용량-반응 현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번 사건이후 생수. 혹은 약수를 찾거나 정수기를 설치하는 가구가 늘어났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노출지역에서 사건 전에 65.4%를 차지하던 수도물 사용이 페놀확인 후 32.2%로 떨어졌으나 비노출군에서는 57%에서 46.2%로 떨어졌다.

  • PDF

4-Nonylphenol에 노출된 Tigriopus japonicus 암컷의 생존율과 포란율 (The Survival Rate and the Rate of Attached Egg Sac for Female Tigriopus japonicus Exposure to 4-nonylphenol)

  • 곽인실;박명옥;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29-134
    • /
    • 2005
  • 포란한 성충 암컷 Tigriopus japonicus(요각류)를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4-nonylphenol에 노출하여 생존율과 포란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생물은 2004년 4월 제주도 구안연안에서 플랑크톤망으로 쓸어 잡기로 채집한 후 실내순응을 한 달 동안 시켰다 치사율은 노출농도의 높아지면 증가하였으나 그 경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반면, 노출 후 처음으로 치사한 개체가 발생하는 시기는 비처리군과 처리군에 따라 명백한 차이를 보였다. 포란한 암컷을 실험조건에 이동시키면 생리적인 변동으로 인해 알이 떨어졌다가 $4\~5$일 후 비처리군은 $100\%$ 포란을 회복하지만 처리 군에서는 $89\~95\%$가 회복되어 약제노출에 따른 영향을 보였다. 치사가 발생하는 시기는 비처리 시에는 10일 후부터이지만 노출 시에는 4에서 6일 후부터 발생하였다.

카드뮴과 아연 노출에 따른 야외종 장수깔따구(Chironomus plumosus)의 생태독성학적 반응 (Ecotoxicological Response of Cd and Zn Exposure to a Field Dominant Species, Chironomus plumosus)

  • 김원석;홍철;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66-273
    • /
    • 2019
  • 인간의 인위적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금속 중 카드뮴(Cd)과 아연(Zn)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어 서식생물에게 유해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 하천에서 우점하는 장수깔따구 (Chironomus plumosus)를 이용하여 Cd와 Zn 노출에 따른 생태독성학적 반응을 연구하였다. 생활사를 고려하여, 생존율, 성장율, 우화율, 성비와 하순기절 기형을 관찰하였다. 장수깔따구 생존율은 Cd와 Zn 노출에 따라 시간,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성장율은 Cd 노출 후 Day 4와 Day 7, 농도의존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고농도인 $50mg\;L^{-1}$에서 대조군에 비해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우화율은 10, $50mg\;L^{-1}$ Cd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성비 변화는 $100mg\;L^{-1}$ Zn에서 암컷의 비율이 증가였으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컷의 비율이 높아짐을 보이며 성비불균형이 관찰되었다. 게다가, 장수깔따구의 하순기절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Cd와 Zn 노출된 장수깔따구에서 기형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이 하천의 하상저층에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에게 유해한 영향을 주며, 중금속 노출에 따른 생물학적 분석을 위한 현장 지표종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의 물리 및 표면광택 특성 (Properties of Physical and Surface Glossing of Exposed Concrete with the Contents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 한천구;전충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92-99
    • /
    • 2002
  •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질 및 표면 광택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 치환율 증가에 따른 공기량 및 유동성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단위용적중량은 저하하였다. 후기재령에서의 압축강도는 고로슬래그의 잠재수경성 반응에 기인하여 증가하였다. 건조수축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 콘크리트의 표면 광택도는 W/B가 낮을수록 또한, 표면 도포인 경우 증가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광택도는 고로 슬래그의 공극충전효과 및 백색도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이때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 10% 증가시 약 7% 정도 증가하였다. 거푸집 종류에 따라서는 아크릴, 치장합판, 철판, 일반합판 순으로 광택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 과수원에서 살균제 Difenoconazole의 농작업자 노출량 측정 (Measurement of Operator Exposure During Treatment of Fungicide Difenoconazole on Grape Orchard)

  • 조일규;박준성;박소현;김수진;김백종;나태웅;남효송;박경훈;이지호;김정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6-293
    • /
    • 2016
  • 총 6가지의 노출 시료 즉 내복(살포, 조제 각각), 호흡, 거즈, 손(세척액), 장갑(세척액)에 회수율 시험한 결과, 평균 70.1~119.8%의 회수율을 보었으며, 포도과수원에서 회수율 분석 결과 평균 97.3~119.6%의 포장회수율을 나타냈다. Difenoconazole의 10개 시험 과수원에서 농작업자의 피부노출 총량은 0.1106~1.5360 mg 수준이었으며, 호흡 노출량은 $0.529{\mu}g$ 이었고 피부노출량과 호흡노출량을 합한 총 노출량은 0.1111~1.5365 mg 수준이었다. 살포 할 때 10개 과수원에서 농작업자의 피부 노출 총량은 4.2032~25.0635 mg 수준이었고 호흡 노출량은 $0.529{\sim}116.241{\mu}g$ 수준 이었다. 10개 시험 과수원에서 농작업자의 피부노출량과 호흡노출량을 합한 총 노출량은 2.5961~25.0687 mg 수준이었다. Difenoconazole의 농작업자 노출량를 평가하기 위해 경북영주의 10개 포도 과원에서 difenoconazole 약제의 살포액 조제 및 살포시 농작업자의 피부노출량의 평균을 기본값으로 한 결과 조제할 대는 0.02 mg이 검출되었으며 살포할 때는 2.28 mg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살포시 difenoconazole의 호흡 노출량은 0.02 mg으로 이는 피부 노출량의 0.9% 수준이었다. Difenoconazole의 농작업자의 총 피부 노출량을 피부흡수율로 계한 값인 0.004 mg/kg bw/day(평균 체중 : 60 kg)은 설정된 difenoconazole의 농작업자노출량인 0.16 mg/kg bw/day의 2.5% 수준으로 이였다.

염분변화에 따른 멍게 Halocynthia roretzi의 생존과 생리적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unicate Halocynthia roretzi to Salinity Changes)

  • 신윤경;최낙중;허영백;한형균;박정흠;김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6-231
    • /
    • 2007
  • 염분변화에 대한 양식 멍게 Halocynthia roretzi의 생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존율과 염분감소에 따른 삼투조절능,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및 여수율 등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염분변화에 따른 삼투질농도의 순치시간은 60% 희석해수에서 $20{\sim}46$시간 소요되었으며, 80% 희석해수에서는 $20{\sim}25$시간, 고염분인 110% 해수에서는 노출된 지 $7{\sim}8$시간 만에 순치하여 저염분에 비해 빠르게 순치하였다. 생존율은 염분26.4 psu 이상에서 생존율 8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6일 동안의 $LS_{50}$은 25.4 psu이었다. 멍게의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및 여수율 등의 대사반응은 노출초기에 비해 노출 4일째 증가 혹은 감소의 뚜렷한 반응을 보였으며, O:N비는 노출기간 동안 염분 $26.4{\sim}6.6\;psu$에서 15 이하의 낮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노출초기부터 염분에 대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UV-A로 유발된 RNase A의 변성에 대한 UV 차단렌즈의 작용 (The effect of UV blocking lens on the denaturation of RNase A induced by UV-A)

  • 박영민;박충서;이흠숙;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5
    • /
    • 2007
  • 본 연구는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안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 중의 하나인 ribonuclease A(RNase A)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적절한 UV-A 차단율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RNase A를 1, 3, 6, 24, 48, 72, 96시간 동안 365 nm의 UV-A에 노출시켜 노출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변성 정도를 아크릴 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20%, 50%, 80%, 99% UV 차단 효과를 가진 안경렌즈로 UV-A를 차단하였을 때 RNase A의 변성이 억제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RNase의 변성은 1시간 동안의 UV 노출에 의해서도 유발되었으며, UV-A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정도는 심해졌다. 1시간의 UV-A 노출에 의해 유발된 미세한 RNase A의 변성은 20% 정도의 UV-A 차단으로 충분히 예방될 수 있었다. UV-A를 3시간 동안 노출하였을 때는 50%이상의 UV-A 차단율을 가진 렌즈가 RNase A의 변성을 막을 수 있었다. 6시간 동안 UV-A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99%의 렌즈로 차단하였을 때조차도 RNase A의 변성이 완벽하게 차단되지 못했다. 그러나 96시간 동안 UV-A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심각한 단백질의 변성이 99%의 UV-A 차단 렌즈를 사용하였을 경우 크게 감소하였다.

  • PDF

각막 내 효소의 변성을 억제하는 안경 렌즈의 UV-B 차단율 (The Inhibitory UV-B Blocking Rate of Eyeglasses Lens on the Enzymes Denaturation in Cornea)

  • 김소라;이지희;최정임;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0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안구 내에 존재하는 효소들의 변성을 차단할 수 있는 안경렌즈의 UV-B 차단율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RNase A와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SOD)를 1, 3, 6, 24, 96시간 동안 312 nm의 UV-B에 노출시킨 후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손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50%, 80%, 95%, 99%의 UV-B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의 효소 손상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RNase A는 1시간 동안 UV-B의 노출에서 손상이 유발되었으며 1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의 노출에 의한 효소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95%, 24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99% UV-B 차단 렌즈가 효소의 손상을 완벽하게 억제하였다. Catalase는 UV-B에 대한 1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영향을 받지 않아 아무런 변성이 발생하지 않았고, 3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의 단시간 노출에서는 50% 이상의 UV-B 차단 렌즈, 24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의 장시간 노출에는 95% 이상 UV-B 차단 렌즈로 효소의 변성을 완벽하게 억제할 수 있었다. SOD는 6시간 이하의 노출에는 손상되지 않았고, 24시간 정도의 노출에서도 50% 차단 렌즈로 효소 손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96시간 UV-B에 노출될 경우는 95% 이상의 차단율을 가진 안경렌즈에 의해 SOD의 손상이 완벽하게 억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UV-B 노출에 의한 효소의 변성을 억제하기에 적절한 안경렌즈 차단율은 각 효소마다 상이하였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UV-B 차단율을 가진 경우에만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범게, Orithyia sinica 유생의 생존과 성장에 미치는 암모니아와 아질산의 영향 (Influence of Ammonia and Nitrite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Tiger Crab, Orithyia sinica (Linnaeus) Larvae)

  • 구자근;김종만;장차환;지정훈;강주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4
    • /
    • 2004
  • 범게, Orithyia sinica 유생을 대상으로 암모니아와 아질산에 대한 생존 및 성장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모니아 노출 실험구에서 zoea기 유생은 노출 20일후, 대조구가 8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지만 10 mg/L 이상의 실험구에서는 37-4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megalopa기 유생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암모니아가 범게 유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zoea기 유생은 20 mg/L 이상의 농도에서 megalopa기 유생은 50 mg/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아질산 노출실험에서는 zoea기 유생과 megalopa기 유생에서 농도와 노출기간에 비례하여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50 mg/L 이상의 아질산 농도에 노출된 zoea기 유생과 megalopa기 유생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한 성장 지연을 나타내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