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지 재배

Search Result 40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Ligularia stenocephala (곤달비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Song Hee Ahn;Jung Seob Moon;Gue-Saeng Yeom;Jin Ho Yang;Min Sil Ah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Quantific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Internal Lesions of Sweet Potatoes Over Storage Periods (저장 기간에 따른 고구마 내부 병변의 분포 정량화)

  • Ji-Woo Jung;Dong-Il Lee;Seong-Young Choi;Roshanzadeh Amir;Eung-Sam K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66-66
    • /
    • 2020
  • 쌈채소나 산나물로 알려진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의 종자나 종묘는 시장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곤달비의 종자는 대개 농가 자가 채종으로 생산되며, 채종재배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시험은 곤달비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10월에 2년생 곤달비 종묘를 포장에 정식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9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포장에서 곤달비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곤달비 개화 후 50일~100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 채종량,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곤달비의 개화는 하우스재배, 노지재배의 경우 7월 하순, 차광재배는 8월 초순 개화가 시작되었으며, 개화 최성기도 하우스재배와 노지재배가 차광재배와 비교해 15일 정도 일렀다. 하지만 개화 종료 시기는 노지재배가 가장 빨랐으며 하우스재배가 가장 늦었다. 개화율은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높았다. 개화기 생육특성는 차광재배일 때 초장과 화경장이 가장 컸으며, 화서수와 자방수는 하우스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다소 많았다. 곤달비 재배방법에 따른 결실률은 차광재배가 70.1%, 노지재배가 21.9%, 하우스재배가 15.8%이었으며, 채종량은 차광재배의 경우 10a당 39.6kg, 노지재배 4.9kg, 하우스재배 4.6kg이었다. 백립중과 종자길이, 종자너비 또한 차광재배가 타 재배방법에 비해 양호하였다. 채종시기에 따른 결실률은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은 값을 가졌으나, 화경당 채종량은 개화 후 70일에 85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발아율은 노지재배의 경우 개화 후 70일 이후부터 90% 이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고, 차광재배는 개화 후 65일부터 9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나 하우스재배의 경우에는 개화 후 80일 이후부터 85% 이상으로 발아율이 양호하였다. 따라서 곤달비의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5% 차광막을 설치한 노지에서 재배하여 개화 후 65일 이후부터 종자가 비산하기 전까지 채종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깻잎에 함유되어있는 생리기능성 물질의 탐색

  • 현광욱;김재호;송기진;이종복;장정호;김영선;이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97.1-97
    • /
    • 2003
  • 깻잎중의 각종 성인병 관련 생리기능성을 탐색하여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1월, 5월 시설재배 깻잎과 8월 노지재배 깻잎의 extracts 수율을 조사하였다. 8월 노지에서 재배한 깻잎의 알콜 extracts 수율이 29%로 제일 높았고 1월과 5월 시설재배 깻잎보다는 8월 노지재배 깻잎의 extracts수율이 더 높았다. 물과 30% 알콜 깻잎 추출액에 대한 생리기능성으로 혈전용해활성은 5월 시설재배 깻잎의 알콜 추출물이 8.2 U로 제일 높았고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1월 시설재배 깻잎의 물 추출물에서 64.5%의 높은 활성을 보여 고혈압 예방(치료) 제품개발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항산화활성은 물 추출물보다는 대체로 30% 알콜 추출물에서 높았고, 특히 8월 노지재배 깻잎의 알콜 추출물에서 69%을 보였다. 고지혈증 예방(치료)에 관련된 HMG-Co A reduc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의 물 추출물에서 83%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elastase 저해활성은 8월 노지재배 깻잎의 30% 알콜 추출물에서 47.5%의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제거활성과 SOD유사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 PDF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s (홍화 재배유형 및 수확시기가 종실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Jae-Cheol;Kim, Ki-Jae;Choi, Seong-Y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0 no.spc1
    • /
    • pp.187-19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and seed yield between rain-shelter plastic house and out-door cultivation, and analysed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seed quality. In rain-shelter plastic house cultivation, emergence date was 3 days and flowering date was 8 days earlier than out-door cultivation. Seed yield of rain-shelter plastic house cultivation was increased $25\%$ compared to out-door cultivation and it's more beneficial than out door cultivation. The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and seed was whiter and better quality in rain-shelter plastic house cultivation than out-door cultivation. In out-door cultivation, the crude fat content was steadily increased until 40 days after full bloom, but the seed color was getting dark which was harvested at 30 days after full bloom and the color was turn to the dark brown when the seed was harvested at 40 days after full bloom. Harvesting of safflower seed's quality is best between 20 days and 30 days after full bloom.

Effect of Yield and Quality for Cultivation Type and Mulching Materials on Gastrodia elata Blume (재배방식과 피복재료가 천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Chang Su;Yu, In Young;Kim, Dong Won;Kim, Jong Yeob;Kim, Jeong Man;Lee, Wang Hyu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0 no.1
    • /
    • pp.78-87
    • /
    • 2017
  • This study was compared to outdoor field (OF) and rain shelter greenhouse (RSG) according to cultivation type of Gastrodia elata Blume. Also, the effects of yield and quality for mulching materials in RSG were compared. The yield of G. elata was investigated good merchantable quality, and the quality was investigated hardness, chromaticity, weight loss and the contents of the major functional components. The cultivation of RSG was increased the yield, hardness, gastrodin, and vanillyl alcohol compared to OF, and the weight loss, chromaticity, and ergothioneine were almost equal. Rice straw treatment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other treatments on the yield and hardness. As a result, the yield and the quality of RSG, which can control the soil moisture, were better than that of OF. And the lower the soil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mulching material, the harder the surface and the higher the hardness.

Effect of Culture Methods on Growth and Mineral Contents in Chinese Toon (Cedrela sinensis A. Juss) (재배방법이 참죽나무 잎의 생육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 Shin, Yong Seub;Lee, Mun Jung;Lim, Yang Sook;Lee, Eun Sook;Ahn, Joon Hyung;Han, Youn Yol;Lim, Jae Ha;Park, So Deuk;Chai, Jang Hea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1 no.4
    • /
    • pp.392-397
    • /
    • 201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growth characteristics, mineral and chlorophyll content of young leafy vegetable of Chinese toon grown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s. Results showed that growth of young leafy vegetable of Chinese toon was somewhat accelerated in greenhouse compared to the open field. In case of apical bud growth, several parameters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 fresh weight and chlorophyll content showed similar tendency in both greenhouse and open field. In the changes of minerals, N content in apical buds recorded significant increase to 3.1 times compared to that of later buds. Its content was 1.2 times higher in greenhouse than that of open field. Mineral contents including P, Ca, Mg and F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eenhouse. Highest ascorbic acid content was observed in lateral buds grown in greenhouse and then it was followed such as lateral bud in open field, apical bud in open field, and apical bud in greenhouse, in tur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house culture could be applicable to new culture in order to produce young leafy vegetable of Chinese toon with high quality.

Optimum Culture Condition and Seed Harvesting Time For the Superior Seed Production in Wild Vegetable (산채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적정재배 조건 및 채종시기)

  • Ahn, Song Hee;Moon, Jung Seob;Lee, Yong Mun;Yang, Jin Ho;Kim, Dong Won;Ah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4-84
    • /
    • 2019
  • 산채류의 종자 및 종묘는 시중 거래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재배농가의 경영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산채 꾸러미에 분류되는 작물 중 개미취(Aster tataricus), 섬쑥부쟁이(Aster glehnii ), 우산나물(Syneilesis palmata)은 주로 종묘의 형태로 공급되어 수급이 안정치 못하다. 이에 본시험은 개미취, 섬쑥부쟁이, 우산나물의 우량종자 생산을 위한 종자 결실률 향상 재배조건과 채종적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험작목을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6년 4월에 종묘를 노지에 정식하였다. 적정 채종 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18년 노지, 하우스, 55% 차광막을 설치한 처리구별 각 작물의 개화시기, 개화율, 생육특성, 결실률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채종적기를 설정하기 위해서 각 작물별 개화 후 50일, 70일, 90일, 110일, 130일 간격으로 채종하여 결실률과 종자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개화가 시작된 일자는 개미취의 경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빨랐으며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에서 개화시기가 가장 늦었다. 모든 작물의 개화가 종료되는 시점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개화율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노지재배, 하우스재배, 차광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우산나물은 노지재배시 개화율이 9.3%로 매우 낮았다. 개화기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개미취는 초장과 엽폭이 차광재배, 하우스재배, 노지재배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섬쑥부쟁이는 하우스 재배에서 타 재배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차광재배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결실률은 개미취와 섬쑥부쟁이는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결실률이 60%이상이었다. 반면 우산나물은 평균 31%로 타작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실률이 낮았으며 차광 재배일 때 43%로 가장 결실률이 좋았다. 개미취는 개화 50일 이후부터 종자 결실률이 65%이상으로 높았으며, 섬쑥부쟁이의 결실률은 개화 후 50일이 가장 좋았으며, 그 이후로 점차 결실률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우산나물은 개화 후 90~110일경에 가장 결실률이 높은 경향이었다. 개미취는 개화 후 7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낮았으며, 90일일 때 가장 발아율이 좋았다. 섬쑥부쟁이의 발아율은 개화 50일 이후부터 최종 채종시기까지 80%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우산나물은 채종시기에 따라 발아율 정도가 매우 상이하여, 채종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개미취는 하우스 재배를 통해 개화 후 90일 때 채종하는 것이 가장 발아율이 좋았으며, 섬쑥부쟁이는 차광재배일 경우 개화 50일 이후에는 발아율이 90% 이상이므로 이때부터 종자비산 전까지가 채종적기로 판단된다. 우산나물은 타작물에 비해 다소 결실률이 떨어지나 차광재배 시 개화 110일 후 우량종자를 채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시설 및 노지 재배한 오디의 품질 특성)

  • Lee, Ji Young;Hwang, In Guk;Kim, Ha Yun;Yoo, Seon Mi;Park, Jong 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12
    • /
    • pp.1964-196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cultivated under greenhouse and open field condi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pH, acidity, soluble solid content, and contents of free sugar, polyphenol, and anthocyanin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aerobic bacteria in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The average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eenhouse mulberry whereas acidity was higher in mulberry grown in open fields. The average soluble solid content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ructose and glucose were detected in mulberry as free sugar. The free sugar content of mulberry was not affected by cultivation conditions. The average polyphenol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393.36 and 514.47 mg%, respectively. The average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and open fields were 205.00 and 265.56 mg%, respectively. The average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mulberry cultivated in open fiel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ulberry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Effect of Polyvinyl Tunnel after Mulching on the Occurrence of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of Red Pepper (비닐터널 유인재배가 고추 역병과 탄저병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

  • Cheong, Seong-Soo;Kim, Ju-Hee;Choi, Dong-Chil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6 no.1
    • /
    • pp.106-108
    • /
    • 2010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covering with polyvinyl ($120{\times}90cm$) on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and growth. Early growth of pepper plant was superior when was covered with polyvinyl after planting. Incidence of anthracnose and Phytophthora blight was lower 26.9% and 60.3% in covering system than those in conventional culture system, respectively. A yield of dried red pepper was more 48.5% in cultured with covering system than that in conventional culture system.

The Quali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Vegetables according to Cultivation Type and Sowing Time in Autumn (잇꽃 나물의 추파 재배양식 및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품질 특성)

  • Jung-Seob Moon;Gue-Saeng Yeom;Song-Hee Ahn;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1.04a
    • /
    • pp.41-41
    • /
    • 2021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에는 55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주산지는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로 알려져 있다. 잇꽃은 종실을 주로 한약재 원료로 사용해왔으나, 잇꽃의 어린 순을 나물용으로 생산하기 위한 재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준고랭지에서 잇꽃 나물을 생산하기 위한 재배 양식과 파종시기별 수량성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준고랭지에서의 가을 재배에서 파종 후 80%가 출현하기까지의 출현 소요일수는 5~7일로 나타났으며, 재배유형별 수확 도달일수는 시설 재배 9월 29일 파종이 29일로 가장 짧았고 노지 재배에서는 8월 25일 파종이 42일로 가장 길었다. 파종시기별 수확기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시설 하우스에서 9월 29일 파종 후 10월 28일 수확하는 작형에서 634.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재배 유형별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엽수 및 엽면적은 노지 재배 8월 25일 파종 작형에서 높았고 노지 9월 21일 파종 후 10월 8일 터널을 설치하는 작형에서는 경태 및 엽면적이 4.6mm, 26.2mm2로 유의하게 작은 경향을 나타냈다. 재배 유형별 건조수율은 13.8~15.1% 범위로 파종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당도에서는 노지재배 9월 9일 파종과 9월 21일 파종에서 7.1°Bx, 7.0°Bx로 유의하게 높았고 시설 재배 9월 29일 파종에서 3.1°Bx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생체 수량에서는 노지재배 8월 25일 파종에서 2,223.9kg/10a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조수율로 환산한 건물 수량에서도 노지 8월 25일 파종 작형에서 335.8kg/10a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노지 재배의 파종시기별 비타민 A 함량은 9월 21일 파종에서 23.3mg/100g으로 높았으며, 비타민 E 함량 또한 25.1mg/100g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