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단독가계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주택소유형태와 주거비용을 토대로 한 노인 단독가계의 경제복지 분석 (An Analysis of the Economic Well-being of Elderly Households based on Housing Ownership and Housing Costs)

  • 심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households based on the housing ownership and the housing costs,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coupled elderly and the singl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household type was related to the housing ownership, showing that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owned the housing less than the coupled elderly did. There was a difference in housing costs between the single elderly and the coupled elderly, showing the single elderly households had higher housing costs than the coupled elderly households. The housing ownership was significantly related, but the housing costs negatively related to the economic well-being of the elderly.

  • PDF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 분석 (Poverty Reduction in Elderly Household Types: The Impact of Basic Pension)

  • 김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는 기초연금제도의 도입과 확대가 노인가구의 빈곤감소와 소득분배개선에 얼마나 영향을 주었는가를 노인가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도입 이전인 2013년과 도입 이후인 2016년 및 2019년도의 가계 동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주 가구의 소득은 비교년도 동안 증가세를 보였으며 공적이전소득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가구유형별 빈곤율 비교에서는 노인단독가구의 높은 빈곤율을 볼 수 있다. 정부의 빈곤완화 정책 효과분석은 모든 노인가구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부부가구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소득분배개선은 모든 노인가구유형에서 개선 추이를 보였으며 특히 노인 단독가구의 경우 개선의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넷째, 기초연금도입의 효과를 분석한 이중차이 다중로짓분석은 기초연금의 도입이 중위소득의 40%를 기준으로 하는 빈곤 위험을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계의 보건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 : 노인독신가게와 노인부부가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Households : Focused on the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 오지연;성영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159-1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whose head is more than 60 years old. The data analyzed for the study wer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lS) conducted in 2007 by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lower than that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However, ratio of health care expenditure to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larger than that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Second, the ratio of health care expenditure in consumption expenditure in this study was larger than the ratios in past analyse show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rd, common factor affecting on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was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ember with chronic disease or handicap. The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er households was influenced by income, gender and the ownership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influence of income for elderly singer households seemed to be greater than for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were age and housing tenure status. The amount and ratio health care expenditure were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ealth care expenditures for each groups vari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related behavior variables.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discriminative health care policy for each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In addition, the health care policy for the elderly households of which member has a chronic disease is certainly necessary. Especially a health care plan for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with lower income is in need. For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priority group of health care policy would be the high age group.

Ethnic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to Poverty and Disability among Unmarried Elderly Americans : An Analysis of Multi-State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from 1984-1990

  • 박경숙;프랜시스골드샤이더;로저애버리
    • 한국인구학
    • /
    • 제22권1호
    • /
    • pp.123-151
    • /
    • 1999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

노인단독가구의 가계재정관리와 경제생활만족도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s)

  • 이선형;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권2호
    • /
    • pp.31-4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inancial manag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useholds using System’s Approach. 1)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was influenced by age, present job, husband’s job before retirement, assets, family income, living expenses,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2) Financi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age, present job, husband’s job before retirement, assets, family income, living expenses,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family financial conditions. 3)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input variables on the throughput variable showed that age of respondent and the middle age experiences of financial management emerged as predictors of financial management. There variables accounted for 48% of variance in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4) When financial satisfaction was regressed against input and throughput variables, 55%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financial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financial goal and assessment of family conditions.

  • PDF

한국 노동력의 질적향상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Change in Quality of the Labor Force and Its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 Song, Wi-sup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59-184
    • /
    • 1988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