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Households : Focused on the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노인가계의 보건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 : 노인독신가게와 노인부부가게를 중심으로

  • Oh, Ji-Yeon (Dept. of Home Management, Univ. of Incheon) ;
  • Sung, Young-Ae (Dept. of Consumer & Child Studies, Univ. of Incheon)
  • 오지연 (인천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 성영애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Received : 2009.11.15
  • Accepted : 2010.02.23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whose head is more than 60 years old. The data analyzed for the study wer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lS) conducted in 2007 by National Pension Corporation.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lower than that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However, ratio of health care expenditure to total consumption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larger than that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Second, the ratio of health care expenditure in consumption expenditure in this study was larger than the ratios in past analyse show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rd, common factor affecting on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was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ember with chronic disease or handicap. The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singer households was influenced by income, gender and the ownership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influence of income for elderly singer households seemed to be greater than for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health care expenditure of elderly couple households were age and housing tenure status. The amount and ratio health care expenditure were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ealth care expenditures for each groups vari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health-related behavior variables.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discriminative health care policy for each elderly single and elderly couple households. In addition, the health care policy for the elderly households of which member has a chronic disease is certainly necessary. Especially a health care plan for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with lower income is in need. For the elderly couple households, the priority group of health care policy would be the high age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09). 2008 진료비 통계지표.
  2. 국민연금공단.국민연금연구원(2008). 2차년도 국민노후보장 패널조사.
  3. 김영숙(2002). 도시 빈곤노인가계의 경제적 생활수준에 관한 연구-일반가계․일반노인가계․빈곤노인가계. 소비자학연구, 13(3), 95-119.
  4. 김연정(1998). 은퇴노인가계와 취업노인가계의 소득․지출 및 자산의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6(7), 57-67.
  5. 남시현.박재용(1995). 도시가계의료비 지출의 추이와 예측. 예방의학회지, 28(2), 347-363.
  6. 문숙재.김순미.김연정(1996).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재정상태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223-235.
  7. 방숙.조유향(1993). 노인보건 의료대책의 발전방향. 한국노년학, 13(2), 30-47.
  8. 보건복지가족부(2008). 우리나라 보건의료 실태분석 결과 -OECD Health Data 2008 주요내용-.
  9. 성영애.양세정(1997).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관련요인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5), 103-117.
  10. 손용진(2004). 은퇴 및 비은퇴자들간의 의료사용의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6, 165-189.
  11. 심영(1997). 노인의 의료비 지출 분석-충북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1-13.
  12. 심영(1999). 노인의 건강: 의료비 지출과 식료품비 지출의 영향. 소비문화연구, 2(2), 179-199.
  13. 심영(2000). 단독가계 노인소비자의 소득, 자산, 소비지출분석. 소비문화연구, 3(1), 121-145.
  14. 장인협. 최성재(1992).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정순희.김현정(2001). 노인 가계의 의료비 지출에 관한 연구 -비노인․예비노인․노인가계간 비교분석-. 노인복지연구, 12, 129-151.
  16. 정영숙(2000). 노인가계의 소비패턴과 복지정책적 함의. 소비 자학연구, 11(1), 59-74.
  17. 정형선.송양민.이규식(2007). 인구고령화와 의료비.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3(1), 95-116.
  18. 조동필.양세정(2004). 한국가계의 소비지출패턴 추이분석:1980-2002년.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제17호, 1-20.
  19. 안경숙(2005). 노인부부가구, 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1-19.
  20. 양세정.성영애(2001). 노인가계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19(1), 173-190.
  21. 양정선(2007). 노인가계의 의료비 지출과 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1-13.
  22. 여윤경(2003).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12.
  23. 여정성(1991). 가계생산이론을 이용한 일반건강진단에 대한 의료비 지출분석. 소비자학연구, 2(2), 18-26.
  24. 오영호(2005).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의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5(1), 37-71.
  25. 오영호.신호성(2008). 2008년 의료자원실태조사.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연구결과보고서.
  26. 이선형.김근홍(2003). 노인 가계지출구조 분석을 통한 집단 내 이질성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6, 43-59.
  27. 이윤금(1999). 노인가계의 식료품비 지출규모 및 관련요인 분석-취업노인가계와 비취업노인가계의 비교를 중심으 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4(4), 73-86.
  28. 이호성(2004).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2), 163-179.
  29. 이희숙.신상미(2003). 은퇴노인가계의 경제구조 분석.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1(4), 103-116.
  30. 인구보건복지협회.유엔인구기금(2008). 2008 세계인구현황 보고서 한국어판.
  31. 임정빈.김윤희(2000). 노인가계와 비노인가계의 소득․소비지출비교: 1982-1998 - 도시근로자 가계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48(4), 163-176.
  32. 통계청(2005). 인구총조사.
  33. 통계청(2007). 가계동향조사.
  34. 통계청(2008). 고령자 통계.
  35. 한수진.서지수(2008). 노인가계 유형별 경제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83-101.
  36. DeVaney, S. A.(1995). How well off are older men and women: Evidence from the 1989 Survey of Consumer Finances. Family Economics and Resource Management Biennial, 121-128.
  37. OECD(2002). Health Data-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