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홈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주택의 홈 네트워크 월패드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ommunal housing home Network Wallpa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김민규;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6
    • /
    • 2018
  • 최근 스마트 홈이 관심받기 시작하면서 월패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반면에 급속한 고령화로 정보통신 기기의 사용성이 취약한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에게 필요한 주거 형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을 위한 공동주택의 사례 중 콜렉티브 하우징 형태를 중심으로 사용성 향상, 소통의 증가, 안전 문제 측면에서 홈 네트워크 월패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노인단독가구 유형별 생활행태 특성 및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소 제안 (Living Behavioral Patterns of Single or Spouse Elderly Households and Ubiquitous Home Services for Each Household Type)

  • 권오정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759-778
    • /
    • 2010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서 IT 기술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인단독가구의 일상생활의 편리성 증진과 안전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지원해줄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위한 전반적인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소를 규명하고 주택 내에서 노인의 일상생활 행태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단독가구의 가구유형, 소득수준,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노인단독가구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생활행태 특성에 맞는 우선적으로 고려할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방문조사와 문헌분석, 노인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인 관찰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조사대상 노인단독가구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생활행태 특성은 건강염려형, 규칙적 일상생활형, 약보관/복용중시형, 습관적TV시청형, 가족애착형, 물품방치형으로 파악되었다. 유형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생활행태가 도출되었고, 최종적으로는 각 유형별로 특징적인 생활행태를 고려하여 우선 적용할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소가 제안되었다.

일본 실버주택의 현주소

  • 이충희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88호
    • /
    • pp.80-83
    • /
    • 2006
  •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77.5세로 지난 20년새 8.4세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고령화 사회의 진입은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우리나라의 산업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노령화에 따른 주거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절대 평균수명(2005~2010년)으로 세계 제일을 자랑하는 일본의 경우 '유료 노인홈'이나 '공동간호형 특별보호 노인홈' 등 다양한 주거시설을 채택, 고령화 인구의 유입을 꾀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日經아키텍쳐에서 "고령자 복지시설의 트렌드가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고 진단하고 '고령자 주거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시한 특집 '고령자 주고'를 통해 일본 실버주택의 현주소를 점검해 본다.

  • PDF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Living Arrangement)

  • 전병주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53-87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공동생활 하는 노인들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들의 공동생활 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남 북, 충남 북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 20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그룹-홈, 공동거주제, 독거노인 등 3개의 거주형태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Time 1과 Time 2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나타나 2차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추가적인 맥락 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우울은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지만,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는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그룹-홈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개인생활에 익숙한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독립적인 공간 부족과 사생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공동생활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실질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제시했으며, 노인들이 공동생활에서의 조기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노인을 위한 지능형 공간환경 연구 - 주거공간의 디지털 시스템화를 위한 노인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lligent Space Design Supporting the Elderly - Focused on the Needs of the Aged on Digital Systems in Residential Space -)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61-71
    • /
    • 2008
  • The study alms to seek a plan of applying the digital technology to housing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the needs of the aged on 30 types of digital systems in housing. The subjects were 120 persons aged of more than 60 years and lived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by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needs of the aged on the digital systems categorized as safe and security, control of indoor environment, and housework support were very high and should be provided at first. Second, the necessary types of digital systems which should be provided to the digital home for the elderly were digital systems for heating control, health checking, sensing of fire and gas leak, and house cleaning. Also, the basic types of digital systems were ones for invasion and burglarproof, emergency, air cleaning, automatic facet, door locking, and waste collecting. Third, the Income and usage level of digital equipment of the aged influenced to the floods of the aged on the digital system.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necessary and basic types of digital systems mentioned above, the income and usage level of digital equipment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the digital home for the elderly.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홈 케어의 CCRC 사례 연구 : 중국 고령자 CCRC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 Home Care of CCRC for the Elderly : Focus on the CCRC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China)

  • 사린;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03-815
    • /
    • 2021
  • 전 세계의 고령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방대한 인구수를 보유한 중국의 고령화 문제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와 중국 스마트 홈 케어의 CCRC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노후 현황과 미래 기술수요에 맞춘 스마트 홈 케어 CCRC의 7가지 적용 요소의 가치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생활환경 분위기를 개선하고 공간 환경의 쾌적함을 높인다. 둘째, 노인의 신체와 환경 안전을 중시한다. 셋째, 온라인 편의서비스를 제공한다. 넷째, 노인들의 신체 건강과 심리 건강을 보장한다. 다섯째,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반응할 수 있는 효율을 높인다. 여섯째, 노인의 몸 상태와 주변 환경을 예측한다. 일곱째, 레저용 놀이기구를 증설한다. 이를 통해 고령자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스마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해본다.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동경 및 근교지역의 특양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Japan)

  • 최영미;양내원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51-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Japan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c data for such facilities in Korea. In conclusion of analysi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gnity of the individual, the privacy, the small group units, the sociopsychological support, the succession of regional and cultural factors, the nature, the safety, the interior materials for the old men, the improvement of staves' environment, the energy reduction and earth environment. The aged welfare equipments in Japan are her products which reflect the society and culture of Japan, therefore our efforts to convert them to equipments which are suitable to our culture and emotion are desired urgently.

  • PDF

노인의 스마트 홈 헬스케어 이용 경험 (Older Adults' Experience of Smart-home Healthcare System)

  • 이영주;이주희;나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14-425
    • /
    • 2015
  • 목적: 최근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로 가정 내 소형 정보통신기기를 비치하고 네크워크로 연결하여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및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에서 시행한 스마트 홈 헬스케어 기술을 제공받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이용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고혈압 또는 당뇨를 가진 총 7명의 노인(평균연령 75세)에게 2013년 7월, 2회에 걸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7개의 의미있는 자료가 추출되어 코드화 한 후 비교, 대조, 분류 과정을 통해 10개의 카테고리로 재구성하였고, 추상화를 거쳐 총 6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언제 어디서나 자가 측정으로 건강상태호전을 경험함', '가정에서 전문가 도움을 받는 흥미로운 체험', '잦은 시스템 및 통신장애로 사용하기에 답답함', '노인사용자에게 측정기기는 낯설고 불편함',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전략보완이 요구됨', '고령 친화적 측정기기 및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필요'이다. 결론: 향후 스마트 홈 헬스케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노인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고령 친화적인 측정기기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최적의 전문인력 배치 및 관련단체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