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인운동

검색결과 871건 처리시간 0.031초

IoT 기반 고령자 행동 인터벤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Behavioral Intervention System for Senior People)

  • 양소현;홍서희;손상준;김준우;김재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686-697
    • /
    • 2017
  • 고령자들의 정신적/육체적 건강 유지를 위해 디지털 메디신 (Digitial Medicine)의 일환으로 일상에서의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웨이러블 기기에 부착된 센서를 활용한 운동 처방과 분석 방법은 IoT 기술을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시키는 대표적인 예로 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원시 노인정신건강센터에서 운영하는 운동 프로그램에서 기존에 수기로 수집되고 작성되는 데이터 분석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노인들의 운동 동기를 촉구하고자 스마트밴드와 BLE 스캐너 장치를 활용하여 IoT(Internet of Thing)기반 행동 인터벤션(intervention) 시스템을 구현한다. 실제 운동 처방과 운동 데이터 분석을 통해 행동 인터벤션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제시한다.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낙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tago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Fall Prevention in Disabled Elderly)

  • 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5-352
    • /
    • 2020
  • 본 논문은 장애 노인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낙상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기능과 자신감 회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30명으로, 두 그룹으로 할당하여, 실험군 17명, 대조군 13명이었다. 오타고 운동군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2회 각 50분씩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근력, 균형, 유연성과 낙상효능감 변수는 오타고 운동 전과 12주간 오타고 운동 중재 후에 낙상효능감, 낙상횟수와 신체적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징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두 그룹간의 분석은 독립 T 검정을 하였고, 두 그룹내 분석은 대응 T 검정를 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기능 변화에서 하지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1), 대조군은 하지근력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정적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유연성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적 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진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의 동적 균형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 실험군은 약간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노인 낙상예방에 대한 신체적기능과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뇌기능과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Brain Function and Sleep Disorder of Sleep Disturbance Rats)

  • 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9-7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수면장애 모델 쥐의 수면장애 개선과 뇌기능 기억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신경생리학적 접근을 통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면장애 모델 쥐 16마리에게 동물실험실에서 제작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4일간 실시하였다. 실시 후 뇌기능은 해마의 BDNF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수면의 변화는 혈액 중의 멜라토닌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첫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뇌기능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수면장애에 대한 영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1) (p<0.05). 결론 : 지역사회의 노인증가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의 수면장애는 이러한 노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수면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기억력 저하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경제적, 공간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는 복합운동만으로도 수면과 기억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실험동물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증명하였다.

ICF 모델에 근거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조 모형 (A Predictive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ICF Model)

  • 박용경;서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3-123
    • /
    • 2018
  • 본 연구는 WHO의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60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 모든 지수 기준을 충족하여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신체 심리적 상태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았다. 직접적인 영향력이 두 번째로 큰 요인은 시각-운동 통합능력으로 확인되었고, 세 번째로 큰 요인은 사회활동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 요인,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순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였다.

제한된 볼츠만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예측모형 (Mild Cognitive Impairment Prediction Model of Elderly in Korea Using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 변해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48-253
    • /
    • 2019
  • 노인성 치매의 전 임상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를 조기 진단하고, 조기 개입한다면, 치매의 발병률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의 MCI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노년기 인지장애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은 2012년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Aging(KLoSA)에 참여한 65세 이상 지역사회 노인 3,240명(남성 1,502명, 여성 1,738명)이다. 결과변수는 MCI유병으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흡연, 음주, 주1회 이상의 정기적인 운동, 월평균 사회활동 참여시간, 주관적 건강, 고혈압, 당뇨병을 포함하였다. 예측모형의 개발은 Restricted Boltzmann Machine(RBM)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다. RMB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의 MCI 예측 모형을 구축한 결과, 유의미한 요인은 연령, 성별, 최종학력, 주관적 건강, 혼인상태, 소득수준, 흡연, 규칙적 운동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MCI 고위험군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매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보건소 중심의 노인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on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 한숙정;이영란;조정민;임미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3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types and effects of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Methods: We established the PICOTS-SD (Participants, Interventions, Comparisons, Outcomes, Timing of outcome measurement, Setting, Study Design), reviewed 583 studies from electronic database of DBpia, KoreaMed, KISS, RISS, NDSL and Pubmed, and finally selected 20 studie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with the Risk-of-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Results: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s, the majority of studies on community health center exercise programs for the elderly were performed after 2010 and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As for the types and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the exercise period ranged from 6 to 28 weeks, and the most common exercise frequency was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In addition, mixed-type and group exercise programs were performed most common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xercise programs to improve elders' health.

노인들의 치매 실태와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습관적 특성- 경상북도 경산지역을 중심으로 (Demographic, Living, and Behavior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Dementia in Gyeongsan Area in Northern Gyeongsang Province)

  • 김한곤
    • 한국인구학
    • /
    • 제27권2호
    • /
    • pp.231-25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경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실태를 알아보고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약 6%에 해당하는 1,120 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를 포함한 면담표를 이용하여 2003년 8월 1일부터 2003년 9월 2l일까지 수행되었다. 면담에 응하지 않거나 분석 자료로 활용할 수 없는 160 사례를 제외한 960 사례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10.6%가 치매에 이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 가운데 54.9%는 경증, 31.4%는 중등증, 13.7%는 중증이었다. 치매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도입하였으며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및 생활 습관적 특성들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정신노동에 관련된 직업에 종사했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응답자, 규칙적 식사를 하는 사람과 적당량의 음식을 섭취하는 응답자들이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이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치매이환의 대수승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노인들의 치매이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적 대안들을 논의하였다.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AMPK in the Elderly Women)

  • 최미리나;하수민;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95-1007
    • /
    • 2019
  • 본 연구는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75세 이하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방법은 주 3회, 60분으로 1-4주는 OMNI-RES 3-4의 저강도, 5-8주는 OMNI-RES 5-6의 중강도, 9-12주는 OMNI-RES 7-8의 고강도로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전 후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로 처리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차이는 paired t-test,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집단 간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체지방률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골격근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혈중지질 중 TC, TG, LDL-C는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HDL-C는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AMPK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운동 후 그룹 간 AMPK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MNI 저항운동 척도를 이용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및 AMP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for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 원경아;신윤찬;박상미;한아름;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7-30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며, PRISMA 가이드라인를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 내외 학술지에 개제된 논문을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RISS, PubMed, CINAHL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0편의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하였다.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참가자들의 질환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주요 구성요소는 중등도 이상의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증진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분석된 20편 중 17편의 연구에서는 운동프로그램과 교육 또는 식단관리와 운동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형태로 중재가 적용되었다.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다면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며 그 중 생화학적 요인(biochemical factor)과 건강 및 웰빙(Health and well-being)을 평가하는 도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분석 결과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는 연구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14편의 연구에서 중재 직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건강 및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의 질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중재기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지역사회 상황에 부합되는 중재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적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실행가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ENS 적용과 균형운동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Balance Abilities in the Women Elderly with Application TENS versus Balance Training)

  • 이승원;이완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3호
    • /
    • pp.993-1003
    • /
    • 2010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의 경피신경자극(TENS)과 균형운동을 적용하여 균형 능력의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대학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4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TENS군(21명, 84.53세)과 균형운동군(21명, 79.93세)으로 진행하였다. TENS의 적용과 균형운동은 8주 동안 주 3회에 걸쳐 연구자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는 동적균형검사로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TUG)와 정적균형검사로 힘판을 이용하여 맨 바닥과 foam 위에서의 자세 동요 속도와 기능적 팔 뻗기 검사 (FRT)와 측방 기능적 팔 뻗기 검사 (LFR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UG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5), 힘판을 이용한 자세동요 속도에서도 두 군 모두 모든 조건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FRT와 LFRT는 두 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TUG와 눈 감은 상태의 자세동요 속도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체성감각이 떨어져 있는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TENS는 균형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