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동 절감

Search Result 19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Measurement of Energy Efficiency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온실가스 감축에 대비한 에너지 효율의 계측)

  • Kang, Sang-Mo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1 no.1
    • /
    • pp.75-97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stimate the functions of the energy input efficiency and the energy intensity efficiency, and measure their energy efficiencie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focusing on OECD countries. The efficiency of the traditional energy intensity was rarely connected with the energy efficiencies of the stochastic frontier function. It seems that the energy efficiency by the function of energy input efficiency sensitively responds to the order of GDP, capital stock, labor, and energy input quantity as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future, we need to reduce energy quantities by the optimal mix of inputs, and pursuit low-carbon economic growth through the production of the goods consuming small energ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Rooftop Waterproofing Method (친환경 옥상방수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 Oh, Dong-Sik;Go, S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5
    • /
    • pp.103-111
    • /
    • 2010
  • This research aim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waterproofing technique for rooftop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ly used waterproofing method and their causes. To do this, this research developed an eco-friendly waterproofing method that supplements the weaknesses of the conventionally used method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leakage resulting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work to diminish leakage,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truction work, reducing labor required and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improving environment al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method are comparatively analyzed with the convention alpractices, and are evaluated on the site.

Verification of Suitable Height of Plank Seat for Improving the Health and Safety of Farmers (농작업자의 건강과 안전 향상을 위해 적합한 작업용 좌대 높이의 검증)

  • Jung, In-Ju;Jung, Hwa-Shi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9 no.4
    • /
    • pp.11-16
    • /
    • 2007
  • 최근 들어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농어촌에도 자동화가 가속화되면서 작업자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여전히 농업현장에서 대부분의 작업들이 부적절한 자세로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는 쪼그려 앉는 작업자세가 요구되는 각종 농작업에 있어서 적합한 높이의 작업용 좌대를 제공함으로써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개선하여 노동 강도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작업능률 향상과 요통 등 근골격계질환을 감소시켜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농작업에서 행해지는 쪼그려 앉는 여러 자세에 있어서 재배작물의 높이에 따라 적절한 작업용 좌대의 높이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쪼그려 앉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유사한 작업이라도 작업위치에 따라 쪼그려 앉는 작업용 좌대의 적합한 높이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작업위치가 5cm 이하이면 작업용 좌대 높이는 10cm가 적절하며 작업위치가 20cm이면 15cm, 작업위치가 40cm이면 20cm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농작업에 적용한다면 작업조건이 향상되어 편안하고 안전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어깨, 다리 등의 근골격계 질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력작업에 따른 무리한 힘의 소모를 감소시켜 노동력 절감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된다.

Grazing Management (방목 초지관리)

  • Seo, 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116-121
    • /
    • 1992
  • 지난 20년간 방목 초지관리에 관해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발표된 성적을 간략히 고찰해 보는 것은 지금까지의 시험연구를 종합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나름대로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채초관리에 있어서는 그간 괄목할만한 성과가 거양되었으나 방목관리분야에 관한 시험연구는 전반적인 체계없이 단편적인 결과보고에 치우친 감이 많다. 초지의 방목관리와 관련되어 발표된 주요 연구로는 예취와 방목이용비교, 초기 방목관리, 방목시기, 방목강도, 휴목기간, 시비관리, 임간방목지 관리, 방목체계 확립 이용방법과 가축생산성, 혼파조합과 가축생산성, 초지 형태와 가축생산성 등이 있다. 최근 노동력 부족과 인건비 상승 및 수입개방 등 국내외적인 어려운 여건으로 볼 때 초지관리의 연구목표는 생력관리와 생산비 절감에 두어져야 하며, 특히 앞으로의 초지개발이 산지에서 이루어지고 우리나라 산지의 특수성에 미루어 방목관리 이용에 관해서는 다각적인 연구검토가 요망된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는 가족 노동중심의 방목관리, 농가규모의 적정방목시스템, 방목지에서의 적정 질소시비수준, 경사지 방목시 유지년한 연장과 토양유실 방지, 가축 분뇨의 초지환원과 환경오염 방지, 임간지에서 목초와 토양 및 나무피해와 방목효율증진, 전기목책 등 간이목책시설 및 기타 초지생산과 방목가축 생산 효율 증진방안 등을 들 수 있다.

  • PDF

Research and Automatic Sacking Device for Combine Harvester (콤바인 곡물 포대 자동화에 관한 연구)

  • 김진현;김기동;조기현;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29-538
    • /
    • 2002
  • 콤바인 곡물 포대 자동화장치개발은 콤바인 운전자 및 작업자의 피로경감과 안전보호 및 작업성능의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행하여 졌으며, 본 연구의 개발은 기존의 콤바인 작업이 2명이 소요되는 것을 운전자 1명이 수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노동력의 절감과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물 포대의 정 위치화를 위해서 용량형 근접위치센서를 설치하였으며, 포대의 과다이송에 따른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하기위해 선단부와 슈트부에 각각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포대의 위치를 제어하였다. 2) 곡물 투입장치부의 작동은 공기압축기와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공압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곡물의 투입량제어는 슈트부 게이트의 열림시간을 제어하여, 곡물의 투입량을 제어하였다. 3) 포대 배출장치는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어진 충진된 포대를 제 2의 포대가 충진하는 영역 밖으로 밸트 컨베이어를 이용 이송하도록 하였다. 4) 포대는 B3 포대의 경우가 가장 투입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진을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보다 비교적 투입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대 자동화장치에서는 포대의 가진 장치를 장착하지 않았으며, 실험은 인위적으로 가진을 하여 실행하였으며, 향후 전체적인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포대의 가진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elmet and BLE Beacons (스마트 안전모와 비콘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eo, Kwi-Bin;Min, Se Dong;Lee, Seung-Hyun;Hong, Mi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0 no.3
    • /
    • pp.61-68
    • /
    • 2019
  • The goal of the construction work in the past was to improve the efficiency through cost reduction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However,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set a goal of reducing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by half. As a result, institutional and legal improvements are pursued and the need for safety is emphasized. However, most construction companies, except for some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are lacking in safety management. So,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smart helmets and beacons.

A Study on the Control System of Plant Growth Using IT Convergence Technology (IT 융합기술을 이용한 식물생장 제어시스템 연구)

  • Kim, Min-Soo;Jee, Seung-Wook;Kim, Min-Kyu;Cho, Young-Chang
    • Journal of IKEEE
    • /
    • v.22 no.4
    • /
    • pp.959-964
    • /
    • 2018
  • In this study, a study is conducted on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control the environment of plants using sensors in conjunction with the LED light system and the plant growth control syste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plant growth syste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efficiency, data transmission rate, and light volume control. The experiment resulted in a satisfactory result by controlling more than 80% energy efficiency, 1Mb/sec wireless communication speed, and 5 levels of optical control.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ed to LED plant facilities and will contribute to the automation of agriculture by organizing an automated system for production efficiency and labor cost reduction for future commercialization.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LiDAR Sensor for Obstacle Detection of Agricultural Autonomous Robot (LiDAR 센서 활용 객체 인식기술이 적용된 농업용 자율주행 이송 로봇 개발)

  • Kim, Jong-Sil;Ju, Yeong-Tae;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3
    • /
    • pp.565-570
    • /
    • 2021
  • Agriculture in South Korea is losing productivity due to the lack of manpower as aging population increases. To overcome this, the agricultural robot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remote control and autonomous driving of agricultural robots. This work designs the appearance and structure of agricultural robots and implements the devices and control systems for driving. By utilizing and optimizing LiDAR sensors, we applied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which is an essential function for autonomous driving. This can reduce labor costs and improve productivity of transportation tasks that require the most labor in agriculture.

Design of Smart Service Trolley for Supporting Aircraft Cabin Service (항공기 캐빈 서비스 지원을 위한 스마트 서비스 카트 설계)

  • Bang, SangHyun;Song, JaeHyun;Lee, SeungJun;Kim, JungMu;Baek, YoonJi;Yun, NaRi;Ha, Ok-K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5-6
    • /
    • 2021
  • 교통수단으로서의 항공기 이용 고객의 증가로 인해 객실 내에서 제공되는 기내 서비스는 항공사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승무원이 비행 중 기내식 등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카트를 직접적으로 이동시키며 제공하는 서비스는 여러 불편한 요소로 인해 서비스의 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센서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활용 가능한 서비스용 스마트 카트를 설계한다. 설계하는 스마트 카트는 승무원의 이동에 따라 대체 거리를 측정해 사용자와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동시에 승객의 호출 신호에 따라 승객의 자리로 자동 이동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내 서비스용 스마트 카트는 승무원의 노동 강도 감소와 더불어 항공기 객실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저가 항공사의 경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 PDF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 Deok-Jin Kim;Min-Ji Seo;Kwang-You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