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용지식

검색결과 2,386건 처리시간 0.032초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변화에 관한 연구: 테크놀로지 활용 교과목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Technology Integration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 신원석;한인숙;엄미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1-80
    • /
    • 2012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모형을 예비교사 교육에 적용시켜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테크놀로지를 활용 교과목을 수강하는 중등예비교사 142명을 대상으로 학기초와 학기말에 걸쳐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TPACK의 주요 구성요소인 테크놀로지 지식, 내용지식, 교수지식 중 테크놀로지 지식과 내용지식의 영역이 신장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하위요인별로는 TPACK의 7개 하위영역 중 교수지식과 내용교수지식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지식과 내용지식의 향상 및 교수지식에 관해 논의하고, 우리나라에서도 테크놀로지 지식과 교수지식 및 내용지식이 통합된 형태의 (예비)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내용 지식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45-36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에 관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를 근거로 현직 수학교사의 수학내용 지식을 부분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을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학교수학의 과정 지식 중 수학외적 문제해결, 추론과 증명 영역을 중심으로 현직 수학교사들의 수학내용 지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학외적 문제해결력, 추론과 정당화 관련 문제는 물론 학교수학과 학문적 수학 사이의 연결 관련 문제 모두 타당한 설명을 포함한 정답률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교사의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Natural number Concept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명희;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693-734
    • /
    • 2011
  • 연구의 목적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Shulman(1986b)은 교사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면서, 가르치는데 필요한 내용지식을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지식,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방정숙(2002)은 교사의 교수 방법에 포함되는 요소를 개인 요소와 사회 문화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문제는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하여 어떤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가,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가의 두 가지이다. 연구 결과 (1) 초등 교사들은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의 세 가지 유형을 적절히 갖추고 있고, (2) 초등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적 내용지식에는 사회문화적 요소 보다는 개인 요소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의 제안점으로는 (1) 보통의 현장 교사와 수학교육을 전공한 교사간의 비교 연구와 (2)자연수 개념에 대한 교실 활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글쓰기 내용지식 구성의 세분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글쓰기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Specification of Content Knowledge Formation - Based on Analysis of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86-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내용지식으로부터 학생의 통합지식을 구성함에 있어 지식통합의 단위와 기준을 세분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형성 있는 대학 글쓰기 교재 세 권을 분석하고 내용지식의 구성에 대한 제시방법을 텍스트 질적 분석방법을 통해 살폈다. 분석 절차와 제시방법은 Creswell의 질적 연구에서의 나선형 분석 모델을 따랐다. 이는 자료 수집부터 분석, 제시까지 순환적으로 반복되는 자료 분석 방법이다. 이를 통해 내용지식 구성단위에는 글 전체 단위, 단락 단위, 문장 단위의 세 가지 차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내용지식 구성의 체계화된 교육을 위해서 이 세 가지 단위 차원을 모두 다루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식통합의 과정별 기준과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지식의 선별 과정에서는 논지와의 적합성과 보충성의 기준을, 지식의 조직과 통합과정에서는 통일적 통합, 모순적 통합, 배경적 통합, 종합적 통합 등의 기준과 내용을, 지식의 표현과 인용 과정에서는 정확한 표현과 표기법, 출처표시 등의 절차 지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표현의 차원에서 일반 글쓰기 교재에서 빈번하게 연습되는 '바꿔 말하기' 과정도 '요약, 연계, 해석과 변용'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연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몇 차례 더 세분화의 과정을 거쳐야 대학 수준의 글쓰기 교재에 활용하기 적합하고 체계화된 지식통합의 요목들을 정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추후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TPACK) 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39-345
    • /
    • 2020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TPACK) 구성 틀을 기반으로 교사 지식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부지역에 위치한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인 예비초등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중요도-실행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PACK을 구성하는 7개 영역 지식 모두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실행도 인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를 분석한 결과 예비초등교사가 특별히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영역 지식으로 테크놀로지와 연계된 지식 영역인 테크놀로지 내용지식 (TCK) 과 테크놀로지 교수지식 (TPK), 그리고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TPACK) 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에서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과 관련된 활동이 보다 많이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특히 교육과정과 교육 프로그램에서 테크놀로지 지식은 단절적으로 운영되기 보다는 교과내용 및 교수방법적 지식과 통합적, 융합적으로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예비교사의 미분영역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33-25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미분영역 수학내용 지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을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교육과정과 연결하여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 70명이었으며 연구결과 어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지에 따라 예비교사의 수학내용 지식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값 정리의 활용에 관한 문제나 미분의 활용 문제에서 해석학적 수준으로 볼 때 어려운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답률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중학교 수학수업에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교사지식 분석 및 고찰 (Knowledge Variation of Teachers in Middle-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57-37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수내용지식이 수업을 통하여 어떻게 나타나는지 다양한 형태의 교사 지식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수학 교사의 지식은 유사하면서도 다른 구조의 형태를 띠고 있었다. 한 교사는 수학 내용 지식과 학생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교사는 교수적인 전략과 수학내용 지식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확률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Probability)

  • 신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463-487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확률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다양한 측면 중 특히 '확률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과 '확률과 관련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분석하였다. 확률에 대한 교과 내용 지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확률과 관련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사들 간의 모둠 토론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 결과에 대한 이유를 추측해 보도록 하였다. 지필 검사와 모둠 토론 결과를 선행 연구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지닌 확률 내용 지식의 특징과, 학생들이 확률을 이해하는 정도에 대해 교사가 지닌 지식의 특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 PDF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SMK)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1-62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드러난 초임교사의 과학내용지식 측면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교사들이 지닌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과학내용 지식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과학교사들은 실증주의적 인식론을 지니고 있으며, 교사의 권위는 내용지식을 많이 아는 데서 나온다고 생각하며, 과학 엘리트 의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과내용지식 측면에서 초임교사의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면, 때로는 교사 자신의 오개념으로 인해 수업 중에 표현 오류가 발견되고, 교사가 내용을 많이 아는 것이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가 발견되고, 생각나는 것을 모두 언급하는 산발적 내용 전개가 발견되며, 초임이나 비전공자가 진행할 경우 수업시간이 남아도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초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경력교사들이 제안하는 대안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는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SMK)은 과학 교수활동에 영향을 주지만, 다른 교사지식에 의해 매개되므로, 초임 과학교사들의 과학내용지식(SMK)을 과학 내용교수지식(PCK)으로 전환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개발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express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134
    • /
    • 2018
  • 저장 및 관리하는 지식의 분류체계로서의 의미를 갖는 지식지도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지식을 조회 및 선택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계층형 구조를 갖는 기존의 지식지도는, 관리하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는 이점이 있으나, 지식 사용자가 갖는 인지 및 활용의 논리를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식을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내용적 관련성을 갖는 연관지식을 연쇄적으로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지식활용 패턴을 반영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즉,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공통된 키워드를 갖는 지식 간 링크를 해당 키워드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키워드는 해당 지식의 내용을 대변하므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정의된 링크는 내용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지식 간에 형성되며, 이를 종합하면 내용적 연관성을 지식 간의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형 지식지도가 완성된다. 제시된 방법론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50개의 연구논문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현하였으며, 검토 결과 만족할만한 수준의 정밀도와 재현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