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

Search Result 5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No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Errors on Plane Figures (평면도형에 관한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초임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Song, Keun-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3
    • /
    • pp.429-451
    • /
    • 2012
  • This paper examined eight no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erms of the types and sources of students' errors and teaching strategies on plane figure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eachers' discussion. The teachers tended to predict students' diverse error types, but they attributed the sources of such errors mainly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teachers' responses of teaching strategie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clear explanation and students' own problem-solving, while they were somewhat negative in presenting diverse examples and classifying, drawing, or constructing figures. Building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no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PDF

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for Fraction Division (초등학생들의 분수 나눗셈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 분석)

  • Lee, Dae hyu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3 no.2
    • /
    • pp.203-222
    • /
    • 2020
  • Because the role of the teacher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to actualize the goals of the curriculum, the interest about the teacher's knowledges has been addressed a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mong them,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 knowledge that can emphasize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t they imagined the method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think about fraction division.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completed all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cour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four type-problems of fraction divis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in the order of equal sharing problem-measurement division-partitive division-context of determination of a unit rate problem. They presented significant responses not only with typical algorithms but also with pictures or expression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we have to take an interest in the necessity of sharing and recognizing various methods of fraction division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수학교사의 지식에 관한 연구

  • Sin, Hyeon-Yong;Lee, Jon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297-30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으로 교과, 학생,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필요함을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에 관한 세 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수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학생의 학습과 효과적인 교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학에 대한 바른 이해는 학생의 질문에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수업을 계획하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담화를 수학적으로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었다. 따라서 수학을 잘 아는 것이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보장하지는 못하지만, 교사가 잘 알지 못하는 것을 가르칠 수는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 Kang, Hyangim;Choi, Eunah
    • School Mathematics
    • /
    • v.19 no.2
    • /
    • pp.319-343
    • /
    • 2017
  •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and its features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were characterized by the fixation to symbolic representation like roots when they analyzed the concentration and overlooking of the representations of irrational numbers. Secondly, we observed the centralization tendency on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 little attention to other representations as the standard of judgment about irrational numbers. Thirdly, In-service teachers were influenced by content of students' error when they analyzed the error and difficulties of students. Lately, we confirmed that the content knowledge about the viewpoint of procept and actual infinity of irrational numbers are most important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A Review of Informatics Teacher's Expertise (정보 교사 전문성에 대한 고찰)

  • An, Sangjin;Lee, Taewuk;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63-2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보 교사가 가지고 있는 교사 전문성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교사가 가져야 하는 전문성의 여러 종류 중 인지적 영역의 전문성은 학생 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지적 영역의 전문성을 교과에 대한 지식, 일반적 교육학 지식, 교수 내용 지식으로 나누어 생각할 때 정보 교사는 세 가지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먼저 교과의 내용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의 지식의 개정이 빠르고, 교수내용지식의 많은 부분이 컴퓨팅 도구의 활용과 이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보 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또한 꾸준히 변화하게 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Lectures on the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urs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Two University in United States and Korea - Focussed on two professors' cases - (미국과 한국의 초등 교원 양성 과정에서 수학교육의 실제에 대한 수업 비교 연구 - 두 교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

  • Seo, Dong-Yeop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547-565
    • /
    • 2010
  • The study aims to compare between two lectures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United States and Korea based on the Ball et al.'s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e lecturers are a professor of University in United States and me. In both lectures, subjects and contents of lectures are much similar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And the differences are mainly due to the area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especially either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or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 Also the different courses of both universities are one of important causes of the differences. The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our course,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PDF

A Study on the Requirements for Health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일부지역 중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 Kim, Young-Bok;Wie, Cha-Hyung;Kwak, Jung-Ok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2 no.1
    • /
    • pp.128-150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피기 위해 먼저 현재 자신이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가 보건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M, S 중학교의 1,2학년 전체 학생 688명을 선정하였고, 1994년 12월 1일부터 1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남학생이 59.3%, 여학생이 40.7%였고,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8.9%,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이 21.1%였다. 또한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68.2%였고, 31.8%의 학생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대해서는 92.7%의 학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첫째, 보건교과설정에 대해 45.6%가 찬성하였고, 둘째, 보건교육 실시시기에 대해서는 82.8%가 유치원 및 국민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보건교육의 적정시간에 대해 82.4%가 1주일 또는 1달에 1-2시간이라고 하였으며, 넷째, 보건교육 담당교사에 대해서는 63.2%가 보건교육 전문가가 담당하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보건교육 내용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구급처치, 안전교육, 영양, 환경,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구강보건, 개인위생, 식품위생, 전염병관리, 성교육, 건강과 운동, 정신건강, 비전염성질환 관리, 공중보건, 의료기관의 기능 순이었다. 3.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p<0.01). 형제순위(p<0.05), 아버지의 학력(p<0.01), 어머니의 학력(p<0.01), 학업성적(p<0.05)이었으며, 보건교육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p<0.05), 어머니의 학력(p<0.05), 학업성적(p<0.01)이었다. 4. 현재 알고 있는 보건지식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지식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 못한 비만족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만족군보다 더 적극적으로 찬성하였고(p<0.05),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서는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만족군과 비만족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만족군의 경우는 안전교육, 건강과 운동, 공중보건, 비만족군의 경우는 성교육을 요구하였다(p<0.05). 5. 보건교육에 대한 필요도에 따라 보건교육에 대한 요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필요군의 경우 보건교과의 설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p<0.01). 또한 필요군은 보건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해 유치원 시기부터가 적정하다고 응답한 반면, 보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 비필요군의 경우는 중학교 이후부터 적정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보건교육의 내용선정에 있어서도 음주와 흡연 및 약물남용, 식품위생, 건강과 운동, 비전염성질환 예방을 제외한 내용에서 필요군과 비필요군간의 차이가 나타났다(p<0.05).

  • PDF

A Stud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 Kim, Eun Jeung;Lee, Yoon-J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9 no.1
    • /
    • pp.57-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and teaching efficacy levels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Also of interest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PCK and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he personal factors that influence PCK and teaching efficacy.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majoring in Home Economics in colleges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a total of 202 complet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showed moderately low levels of PCK and teaching efficacy. Among the PCK subcategories, the mean score for content knowledge was the highest, those for expression knowledge and environmental situation knowledge were the lowest. Expression knowledge and content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ing self-efficacy, and expression knowledge and environmental situation knowledge on teaching result expectation. As for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years in college showed significant effect: Sophomores were the highest in PCK and teaching efficacy levels. Also, those who plan to become Home Economics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CK and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than those who do not. Besides, the more basic required courses they took, the lower their perception of PCK or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develop a program that can enhance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efficacy by providing advice and assistance to those students who plan to become teachers, and more hands-on opportunities to practice teaching.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ecimal Calculation (소수연산에 관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 Song, Keun-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2 no.1
    • /
    • pp.1-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bout decimal calculation. A writte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dealing with decimal calculation. A total of 152 pre-service teachers from 3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had taken a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ourse and had no teaching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decimal calculation, most pre-service teachers were familiar with algorithms introduced in the textbook. But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decimal calculations,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decimal multiplication or decimal division with decimal number. Seco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reasons of errors as well as errors patterns that student might make. But this recognition was limited mainly to errors related to natural number calculation. Third, pre-service teachers frequently commented about decimals algorithms, picture models, the meanings of decimal calculations, and connections to natural number calculations. Many of them represented the meanings of decimal calculations through picture models as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while they just mentioned algorithms or treated decimal calculation as natural number calculations with decimal point.

  • PDF

학습 구조차트 구성을 통한 수학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 Baek, Eun-J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61-166
    • /
    • 2003
  • 본 연구는 학습 구조차트 구성을 통하여 고등학교 수학의 학습내용을 구조적 ${\cdot}$ 체계적으로 조직화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 내용의 효과적인 이해와 상호 관련성을 촉진시키고 학습 내용의 조직화 및 구조화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수학 학업성취도가 상인 학생은 문제풀이시 머릿속에서 차트를 그리게 되고 여러 가지 개념을 나열하여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으며 문제 유형에 맞춘 학습 보다는 어떤 개념들이 문제풀이에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나열되는지에 대한 학습으로 관심이 전환되었다. 수학학업 성취도가 하인 학생들은 학습 구조차트의 구성에만 만족하는 편이며 선행지식의 부족으로 복합적인 개념의 문제풀이에 있어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개념에 대한 구조화와 조직화에 대한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보여 이들 학생들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