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시경소견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3초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동반된 폐쇄성 세기관지염.간질성 폐염 1예 (A Case of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anteceded by Rheumatoid Arthritis)

  • 김신곤;김진용;이영호;조재연;김한겸;송관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630-636
    • /
    • 1996
  • 환자는 20 여년전에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받고 93년 6월부터 본원 외래를 통해 치료 받아오던 중 기침을 호소하고 방사선 검사상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입원하였다. 광범위 항생제 투여를 시작하였으나 호전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중증의 호흡곤란이 동반되었으며 객담 및 혈액배양 검사상 배양된 균주는 없었다. 이에 간질성 폐질환 등을 의심하여 기관지 내시경하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곧바로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하였다. 조직검사 결과 폐쇄성 세기관지염 간질성 폐염으로 진단되었고, 환자는 현저한 임상상의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으며 현재 재발 없이 외래 통해 추적 관찰 중이다. 저자 등은 20여년전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치유 받아오던 중 급성의 호흡곤란이 발생한 환자에서 기환지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폐쇄성 세기관지염 간질정 폐염으로 확진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기관 및 기관지결핵에 의한 반흔성 기도협착에 대한 기관지경적 Nd-YAG 레이저 치료의 효과 (Effects of Bronchoscopic Nd-YAG Laser Therapy in Tuberclous Tracheobronchial Fibrostenosis)

  • 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494-503
    • /
    • 1994
  • 연구배경: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인한 반흔성 기도협착으로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Nd-YAG 레이저치료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기도내경이 1~4mm로 심한 반흔성 기도협착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도협착을 내시경소견에 따라 횡경막형, 허탈형 및 복합형으로 분류하고 허탈형의 기도협착은 치료대상에서 제외하고 횡경막형과 복합형의 기도협착이 있는 1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굴곡성기관지경을 통해 Nd- YAG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효과는 치료 후 1개월에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과 객관적인 검사성적의 호전 유무를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1) 기도협착의 형태는 횡경막형 1예, 복합형이 9예로 대부분 복합형이었다. 2) 기도협착 부위는 기관 2예, 좌주기관지 6예 등이었고 증상발현 기간은 12.7개월이었다. 3) 레이저치료 횟수는 평균 3.3회였고 총조사량은 평균 865 joule이었다. 4) 기도내경은 치료전 평균 1.8mm에서 치료 후 5.5mm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5) 10예 가운데 8예에서 측정한 노력성폐활량(FVC)은 치료 전 평균 2.62L에서 치료 후 3.04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노력성폐활량 1초치도 평균 1.81L에서 치료 후 2.22L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6) 10예 가운데 8예는 치료 후 호전되었으나 성대 직하방에서 용골까지 심한 기도협착이 광범위하게 있었던 1예와 기관지의 굴곡변형이 심했던 1예는 호전이 없었다. 7) 출혈 및 천공과 같은 레이저치료에 따르는 합병증은 없었으며 치료 후 호전되었던 8예는 평균 31.9개월 간의 추적기간 동안 이러한 호전이 지속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기관 및 기관지결핵으로 인한 반흔성 기도협착이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경적적 Nd-YAG 레이저치료는 기도협착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장세포암의 기관지내 전이 - 1예 보고 -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 김시욱;신윤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86-389
    • /
    • 2008
  • 폐장은 신장세포암의 흔한 전이 장기 중 하나이지만 기관지내 전이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신장세포암이 기관지내로 전이한 환자를 수술하였기에 보고한다. 8년전 신장세포암으로 좌측 신장 적출술을 받은 63세 남자가 반복적인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좌하엽 기관지로부터 이차 기관 분기부까지 자라는 폴립모양의 기관지내 종양이 발견되었고 생검 결과는 만성 염증 소견과 함께 괴사성 조직으로 진단되었다. 수술 중 종괴의 냉동 절편 조직검사에서 전이성 신장세포암으로 확인되었고 상부의 좌하엽 기관지의 점막 침윤이 없어서 좌하엽 절제술과 림프절 청소술을 시행하였다. 치종 병리학적 검사에서도 전이성 신장세포암으로 확진되었고 림프절 전이는 없었다. 환자는 수술 후 10일째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퇴원하였다.

인후두역류증의 진단에 있어서 후두내시경검사 소견 점수화의 유용성에 대한 재검증 (Revaluation of Reflux Finding Score(RFS) in Laryngopharyngeal Reflux(LPR))

  • 권기환;반재호;이경철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1-8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In general, ambulatory 24-hour pH monitoring is considered the current gold standard for larynogopharyngeal reflux(LPR). There is no validated instrument whose purpose is to document the physical finding and severity of laryngopharyngeal reflux.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flux finding score(RFS) and to quantify laryngoscopic findings using reflux finding score. Material and Methods : Thirty-three LPR patients confirmed by dual-probe pH monitoring and thirty patients of control were selected. The RFS was documented for each patient with telescopic laryngoscopy before treatment. For test-retest intra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a blinded laryngologists determined the RFS on two separate occasions. To evaluate interobserver reliability assessment, the RFS was determined by t재 different blinded laryngologist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cohort with pH-documented LPR was 45.8 years and the mean RFS was 11.4. The mean age of cotrol subjects was 52 years and the mean RFS was 5.4. The mean RFS for laryngologist no. 1 was 10.8 at the initial screening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mean FRS for laryngologist no.2 was 11.1 at the intial test and 10.9 at the repeat evalu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interobserver variability was 0.93 and intraobserver variability was 0.94. Conclusion : The RFS demonstrates excellent inter-and intro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s helpful for quantifying laryngeal finding in LPR. We can be 95% certain that an individual with a RFS greater than 7 has LPR.

  • PDF

식도에 발생한 거대 해면혈관종 수술치험 - 1례 보고 - (Giant Cavernous Hemangioma of the Esophagus -One Case Report-)

  • 이창민;박성달;조성래;허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324-328
    • /
    • 1998
  • 식도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식도에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종양의 2% 내지 3% 정도 차지할 정도로 매우 희귀하여 세계적으로 보고된 증례수가 많지 않다. 저자들은 식도에 발생한 매우 희귀한 해면혈관종 1례를 수술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40세 남 米\ulcorner경미한 연하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식도조영술, 식도 내시경검사, 조영제를 이용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등을 시행하여 하부 식도의 점막하층에서 발생하여 근육층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식도 종양이 추정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 하부 식도 및 식도-위 문합부에 걸쳐 과혈관성의 7x7x3.5cm 크기의 거대한 종괴가 식도점막하층과 식도근육층 그리고 주위조직으로의 침범이 심하게 되어 있어 종양을 포함한 식도절제술 및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하여 병리 조직학적으로 해면 혈관종으로 확진되었으며 환자는 특별한 문제없이 술후 제14일째 건강한 상태로 퇴원하였다.

  • PDF

Gastric Emptying Time을 이용한 기능성 소화기장애환자의 Clebopride Malate에 의한 효능 측정 (The Observation of Clebopride Malate Effect on Funch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 by Use of Gastric Emptying Time)

  • 최수봉;권경순;윤성철;정문관;김종설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1호
    • /
    • pp.59-63
    • /
    • 1987
  • 1. 기능성 소화기 장애증상이 있고 GET의 지연을 보였던 환자들의 GET 평균치는 22.49분으로 정상군 9.6분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를 환자수는 44명으로 88%에 해당하였다. 2. GFT지연군 15명에게 1단간 Cleboril을 투이한 결과 유의한 GET단축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11명(73%)에서는 현저한 단축소견이 있었다. 3. 기능성 소화기 장애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의 GET측정은 건강염려환자를 선별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간기능검사, 상부위상관, X-선촬영, 위내시경검사 및 경구담낭조영술 등에서 정상으로 확인된 환자에서 잠복된 소화기성 질환을 발견하는데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흉복부 절개를 이용한 식도와 위에 발생한 거대 악성 위장관 간질 종양의 절제 (Excision of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of Distal Esophagus and Stomach using Thoracoabdominal Incision)

  • 황진욱;손호성;조종호;박성민;이송암;선경;김광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514-517
    • /
    • 2005
  • 위장관 간질 종양은 위장관 전역에서 발생하며 그 중 위와 소장 등에 많이 생기며 식도에서도 발생한다. 44세 남성이 연하곤란과 체중감소를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및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식도 하부의 완전폐쇄, 위의 전방 편위 소견과 중앙부 괴사를 동반하는 최대 직경 15cm 정도의 저음영의 거대 종괴를 보여 흉복부 절개를 이용하여 하부 식도 및 위전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종양은 CDl17 (c-kit)와 CD34에서 양성을 보여 악성 위장관 간질 종양으로 확진되었으며 현재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소아의 결장에서 발생한 원발성 선암종 1예 (A Case of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Sigmoid Colon in a Child)

  • 정재열;서유경;김애숙;이선주;조성민;이동석;김두권;최성민;김동훈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1호
    • /
    • pp.81-85
    • /
    • 2007
  • 소아와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대장의 악성 종양은 매우 드물고 예후가 불량하다. 저자들은 내원 3개월 전부터의 식욕 부진, 체중 증가 지연과 내원 6일 전부터의 설사, 복통, 복부 종괴 촉지를 주소로 내원한 12세 남아에서 복부 초음파 촬영,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바륨대장 조영술, 대장 내시경 검사 및 조직 검사 소견으로 진단된 S상 결장에 발생한 점액 선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공동형성 원발성 폐암의 다발성 공동형성 폐전이 1예 (A Case of Cavitary Pulmonary Metastases of Primary Cavitary Lung Cancer)

  • 정지헌;강홍모;김장하;이병호;소정은;이승준;최천웅;유지홍;성동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319-324
    • /
    • 2002
  • 저자들은 장기간의 흡연력이 있는 60세 남성흡연자에서, 방사선소견상 다발성의 공동을 지니는 병변을 보여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과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큰 공동을 형성한 원발성 폐암의 다발성 공동 형성 전이로 확진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임상 양상에 대한고찰 (Chest CT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in Mediastinal Tuberculous Lymphadenitis)

  • 이영실;김경호;김참선;조동일;유남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81-491
    • /
    • 1995
  • 연구배경: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은 최근 성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기관지 결핵을 일으켜 기관지 협착등의 심한 합병증을 동반할 뿐만아니라, 항결핵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어렵고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어 단순 폐결핵과는 달리 그 치료 및 경과 관찰에 좀더 많은 주의를 요한다. 이에 저자들은 이 질환에 대한 방사선학적 보고는 있으나, 임상적 양상 및 치료성적에 대한 국내 보고가 없었기에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과 함께 국립의료원 흉부내과에서 종격동결핵성 임파선염으로 진단된 29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1990년 4월부터 1995년 3월까지 국립의료원 흉부내과에 내원하여 단순 흉부 X-선 사진, 객담내 항산성 결핵균 도말검사와 결핵균 배양검사, 경부 임파절 흡입세포검사, 늑막 생검, 기관지 내시경 검사시 시행한 기관지 세척액 항산성 결핵균 도말검사와 배양검사 및 조직검사,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결핵으로 진단된 2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입원당시 임상증상 및 증후, 동반된 다른 결핵성 질환, 단순 흉부 X-선 사진 소견상 임파절 종대 유무,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임파절의 모양과 크기 및 위치별 분포, 항결핵제에 투여에 따른 치료성적과 치료에 소요된 기간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는 모두 29예 이었고 성별 빈도는 남자가 12예(41%), 여자가 17예(59%)로서, 남녀의 비가 1:1.4이었으며, 평균연령은 29세(17~67세)이고, 20대가 45%로 가장 많았다. 2) 임상 증상 및 증후는 두경부에 촉지되는 종괴를 호소한 예가 18예(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침, 객담, 호흡곤란, 체중감소 순이었다. 3) 순수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만 있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97%)에서 폐결핵,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 기관지 결핵, 결핵성 늑막염이 동반되었다. 그중 폐결핵과 기관지 결핵이 같이 동반된 경우가 7예(24%)로 가장 많았고, 폐결핵과 정부 결핵성 임파선염과 기관지 결핵과 결핵성 늑막염이 모두 동반된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한편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과 동반된 각각의 결핵성 질환은 폐결핵이 22예(76%)로 가장 많았고,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과 기관지 결핵은 각각 15예(52%)이었다. 4) 단순흉부 X-선상 8예(28%)에서는 임파선의 종대를 볼수 없었으나, 21예(72%)에서 임파선 종대 소견올 보여주었고, 종괴 음영은 부기관부(paratrachea)에 16예(62%)로 가장 많았다. 좌우별 분포를 보면 우측 19예(73%), 좌측 7예(27%)로 우측이 훨씬 높았다. 5)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은 대상 환자 29명 중 각 임파절 개개의 구별이 가능한 23명에서, 총 64개의 임파절을 조영증강 되는 모양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균등조영증강형(Homogenous type)은 64개중 197n(30%), 말초조영증강형(Central low density type)은 64개중 30개(47%)로 가장 많았고, 변연지방유착형(Peripheral fat obliteration type)은 15개(23%)였다. 각 임파절 구별이 되지 않고 상호유착 소견을 보인 다발성유착형(Coalescent type)은 29명중 6명이었다. 임파절의 크기는 1~2cm이 64개중 56개(88%)로 가장 많았고, 크기가 증가할수록 말초조영증강형과 변연지방유착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6)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종대된 임파절은 부기관 임파절(paratrachea LN)에서 29명중 22명(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대된 임파절 좌우측 분포를 보면 우측 26예(63%), 좌측 15예(37%)로 우측이 많았다. 7)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치료성적은 도중탈락된 6명과 진단 및 치료기간이 6개월 미만인 2명을 제외한 21명을 대상으로 했을때, 치료가 끝난 예는 9명(43%)으로 그 치료기간은 13~18개월이 가장 많았고, 현재까지 항결핵제를 투여하고 있는 예는 21명중 12명(57%)으로 이중 19개월 이상의 장기간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는 반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은 조영 증강후 임파절 내에 중심부 저음영과 함께 주변부 조영 증강되는 특징적인 흉부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가지고 있어 다른 종격동 질환과의 감별 및 그 진단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효과적인 항결핵제의 투여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어렵고 재발을 잘하는 경향이 있어 종격동 결핵성 임파선염의 임상양상 및 치료에 대한 좀더 많은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