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수범람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mputation of Underground Storm Water Storage Facilities Volume for Reducing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도시침수저감을 위한 지하저류조 용량 산정)

  • Han, Kun-Yeun;Son, In-Ho;Lee, Sang-Yeob;Im, Jae-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07-1011
    • /
    • 2009
  • 도시지역에 있어서 홍수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외수의 범람에 의한 침수와 내수 배제 불량에 의한 침수피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 도시지역에 발생하는 홍수피해의 대부분은 외수의 직접 범람에 의한 피해보다는 각종 수리구조물의 배제능력 부족이나 방류지점에서의 배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내수의 배제 불량에 기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도시지역에 홍수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강우의 특징은 단시간에 많은 강우가 집중하여 발생하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단시간 내에 수공구조물의 기능을 마비시킴으로써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수시설 설계 시 이러한 강우의 특성과 도시유출 특성에 대한 고려가 요구되며 중요 시설물에 대해서는 설계빈도의 상향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시유역에 적용되고 있는 강우-유출모형의 기본이론의 장 단점을 검토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용도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SWMM 모형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대구 서구 비산 7동 배수구역의 유출모의를 실시한바, 향후 경제적 편익을 고려하고, 정확한 실측 유량자료 값을 산정, 관거 내 유속을 방해하는 토사 등 보다 정확한 관거자료, 모의에 사용하는 각종 매개 변수값의 정확도를 높인다면 인위적인 배수계통을 가지는 도시유역에서의 각종 풍수해에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보다 합리적인 방재대책 수립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Warning and Forecasting System for Storm Surge in Masan Bay (마산만 국지해일 예경보 모의 시스템 구축)

  • Han, Sung-Dae;Lee, Jung-L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5
    • /
    • pp.131-138
    • /
    • 2009
  • In this paper, a dynamic warning system to forecast inland flooding associated with typhoons and storms is described. The system is used operationally during the typhoon season to anticipate the potential impact such as inland flooding on the coastal zone of interest.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use of the public and emergency management officials. Simple typhoon models for quick prediction of wind fields are implemented in a user-friendly way by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MATLAB. The main program for simulating tides, depth-averaged tidal currents, wind-driven surges and currents was also vectorized for the fast performance by MATLAB. By pushing buttons and clicking the typhoon paths, the user is able to obtain real-time water level fluctuation of specific points and the flooding zone. This system would guide local officials to make systematic use of threat information possible. However, the model results are sensitive to typhoon path, and it is yet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local emergency managers.

Urgent Operation of Pump Station for Reducing Urban Inundation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펌프장 긴급운영)

  • Lee, Yong Sik;Lee, Eui Hoon;Joo, Jin Gul;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83-1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구조적인 시설물 중에서 빗물펌프장에서의 운영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재 일반적인 빗물펌프장은 외수범람은 고려하지 않고 내수배제에 우선순위를 두며 운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시침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수범람과 내수배제를 동시에 고려하여 빗물펌프장을 운영함으로써 도시침수를 저감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해당 연구는 2010년 9월 및 2011년 7월 도시홍수가 발생하였던 반포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반포천은 2012년 감사원으로부터 지적이 된 유역으로서 홍수 시 하류부 하천보다 수위가 낮아 자연배제가 어려우며 호우 시 방류수역 확보가 불완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년 5월 반포빗물펌프장의 펌프용량을 약 70% 증설하면서 같은 해 9월과 이듬해 7월 하천에 방류된 빗물이 역류를 발생시키면서 진흥아파트 인근 저지대의 침수피해를 가중시켰으며 이외의 강남지역에 많은 양의 도시홍수를 야기 시켰다. 이는 빗물펌프장의 펌프 증설과 같은 구조적 대책으로 도시홍수 저감을 달성시키기 어려운 것을 나타내며 펌프 운영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이 동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운영방법은 유수지의 여유 저류가능 용량이 확보가 될 때, 하천으로의 우수 펌프 토출량을 낮추는 방법이며 이로 인하여 반포천 외수위 상승을 줄일 수 있다. 외수위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외수범람을 포함한 저지대 도시침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실제 도시침수가 발생한 2010년 9월과 2011년 7월 호우사상에 적용함으로써 최대 20% 이상의 침수 저감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침수저감량을 산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Urban Flood Forecasting System Considering Integrated Inland-River System (내외수 연계 도시홍수 예보시스템 개발)

  • Kim, Jong-Suk;Kwon, Hyun-Han;Yoon, Sun Kwon;Jun, Kyung Soo;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
    • /
    • 2016
  • 기후변화로 태풍, 집중호우 등의 발생빈도가 높아져 도시지역에서 홍수범람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이 반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구조적, 비구조적 내배수 홍수방어 대책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도시유역에서의 침수피해는 내부배제 불량에 따른 내수침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내수침수예측 및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방재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내외수를 연계한 침수 예측 선진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섹션에서는 레이더 및 위성 정보를 활용한 초단기 또는 단기 강우예측 기술개발, 하수관망 단순화 자동화 기술 개발, 베이지안 모형과 연계한 SWMM모형의 매개변수최적화, 내수침수 대응을 위한 동적의사결정 모형 등의 핵심기술을 통합한 내외수를 연계한 도시홍수예보시스템 개발내용과 실강우사상에 대한 적용성 검토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성과는 실시간 또는 예측강우분석을 통하여 돌발홍수로 인한 내수침수피해에 대한 골들타임을 확보하고 대피지구 선정 및 주민의 대피이동 정보제공 등 도시홍수로부터 발생하는 피해에 대한 최적화된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Inland and River Flood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 Cho, Wan-Hee;Han, Kun-Yeun;Kim, Hyeon-Sik;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74-89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untermeasures for mitigation of flood damage with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 of inland and river flood and predic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depth and time against emergencies caused by abnormal flood and local torrential rainfall. In this study, 2-D inundation analysis was fulfilled on the basis of river flood analysis applying to HEC-HMS and FLDWAV model and inundation analysis applying to SWMM model for the area of Shineum-dong, Gimcheon-si. Also expected inundation depth and area about probable rainfall of 100 and 200 years frequency were suggested. If expected inundation depth and flooding area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is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 of inland and river flood, it would be an important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for flood prevention. Also if flood risk map i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 of inundation analysis, it would be useful to evacuate residents in high-risk area and regulate road and vehicle.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of Natural Hazard Area (재해위험지구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 Jun, Kye Won;Yeon, Gyu Bang;Jang, Chang De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2-202
    • /
    • 2011
  •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해 지정되는 지구를 자연재해위험지구라 하며 특히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 주변 상습침수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해석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의 상습침수지역인 오십천 주변 자원동일대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인자인 강우자료와 지형자료를 조사하고 도시유역 유출해석모형인 XP-SWMM을 적용하여 유출부에서의 본류수심을 고려한 재해위험지역의 하천범람과 내수침수 범위를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GIS 프로그램인 ArcView를 이용하여 총 16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총 노드 75개 총 링크 74개를 생성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2년, 2003년의 태풍발생에 의해 침수된 지역의 특성을 하류지역의 경우 잘 반영하였으며 상류지역의 경우는 얕은 침수심을 갖으며 좀 더 넓게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Development of 2D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Sub-Grid Scale Treatment (Sub-Grid를 2차원 해석기법의 개발)

  • Han, Kun-Yeun;Ahn, Ki-Hong;Cho, Wan-Hee;Lee,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17-1721
    • /
    • 2008
  •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 내수배제 능력의 부족으로 월류가 발생하거나 하천의 제방붕괴, 통수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범람이 발생하는 경우, 재해 예방차원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침수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어느 지역까지 침수지역이 확장될 것인가, 얼마나 빠르게 범람된 흐름이 흘러갈 것인가, 그리고 언제 홍수위가 감소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국내 도시지역 지형특성에 적합한 침수예측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범람 조건을 좀 더 합리적으로 모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적인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매우 복잡한 지형을 가진 도시침수계산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침수구역에 대한 적절한 예 경보 및 피난대책의 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DEM 기반 침수해석 모형에서 계산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ub-Grid를 적용한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하나의 격자는 $e_1$, $e_2$, $e_3$, $e_4$의 표고를 가지는 4개의 보조격자로 구성하였다. $25m{\times}25m$의 Sub-Grid를 갖는 $50m{\times}50m$의 격자에 대한 침수해석 결과와 Sub-Grid가 없이 $25m{\times}25m$$50m{\times}50m$ 격자로 구성된 대상유역에 대한 침수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lood Damage (기후변화가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 평가)

  • Kang, Dong Ho;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35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태풍에 따른 제방 붕괴로 인한 하천 범람 등 많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내수침수, 도시하천의 범람은 피해 지역의 사회 경제적인 피해액을 동반한다. 이에 도심지에서 발생되는 홍수피해액을 산정하기 위하여 다차원법을 이용한 피해액 추정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피해에 관련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다차원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침수편입률 산정에 있어 건물군 인벤토리를 고려하지 않고 토지이용에 따른 면적비율만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건물군 인벤토리를 이용하여 미래 잠재홍수피해에 따른 홍수피해액을 산정하여 기후변화가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으로 2020년부터 국가하천으로 승격되며 하천의 좌안과 우안에 도심지가 형성되어있는 원주천 유역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13종 국가표준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SDQDM 기법을 적용하여 상세화 자료를 생산하였다. 생산된 자료를 이용하여 원주천 하천정비계획(80년 빈도) 보다 높은 80년, 100년, 200년 빈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확률강우에 따른 유출량을 산정하여 홍수범람모형에 적용하였다. 산정된 홍수피해면적과 원주시 건물군 인벤토리를 활용하여 침수편입률을 산정하였으며 미래 잠재홍수피해에 따른 빈도별 홍수피해액 산정을 통해 원주천 유역의 기후변화가 따른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Simulation of compound flooding using TUFLOW's 1D-2D coupling features (TUFLOW의 1-2차원 연계 기능을 활용한 복합 침수 모의)

  • Hwang, Donggyu;Kang, Teauk;Jin, Yongkyu;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7
    • /
    • pp.451-460
    • /
    • 2024
  • It is necessary to apply a rational urban flood simulation method to analyze the causes of frequent urban flooding and to develop appropriate countermeasures. Previous studies in Korea have performed flood simulations by inputting the results of manhole overflow from sewer systems and river overflow into two-dimensional flood flow simulation models. It, however, is reasonable to simulate flooding from river and manhole overflows in a complex manner. In this study, we used the 1D-2D coupling functionality of the TUFLOW module, which is a part of XP-SWMM, to simulate the compound flooding of rivers and urban areas. That method was applied to the lower basin of the Naengcheon River in Pohang City, Gyeongsangbuk-do, where both inland flooding and river overflow coincided due to Typhoon Hinnamnor on September 5 and 6, 2022, to verify its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Inundation Risk Index for heavy rainfall warning in Korea (호우 경보를 위한 지표면우량지수 산정 및 적용성 검토)

  • Kang, Narae;Hwang, Seok Hwan;Yoon, Jungsoo;Noh, Hu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90-190
    • /
    • 2018
  • 매년 집중호우와 국지성 호우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전의 침수피해는 하천이나 외수범람으로 인한 피해가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집중호우와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인해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피해가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6시간, 12시간 기준으로 호우주의보, 호우경보를 발령하고 있는데 짧은 시간 안에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도시지역에서는 이들 기준으로는 단기간에 발생하는 침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기상청에서는 호우경보의 개선과 사전적 홍수 대응을 위해 침수피해 발생과 상관관계가 높은 지표면우량지수를 도입하여 수치화를 계획하고 있다. 지표면우량지수는 침수의 피해발생과 관련한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지표로 호우경보(침수피해)의 정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민의 자발적인 피난을 유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천유역을 대상으로 지표면우량지수를 산정하고 과거에 발생한 침수피해와 비교를 통해 내수 침수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면우량지수의 적용가능성과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