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낮과 밤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朝鮮)의 천문의기(天文儀器)와 복원(復元) (Study on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Restoration in Joseon Dynasty)

  • 이용삼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23-23
    • /
    • 2011
  • 조선조 세종대는 천문과학기술의 전성기였다. 세종 자신도 천문학에 밝았던 데다 유교적 정치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국책 사업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조선조의 천문학은 세계적 수준으로 발돋움하였다. 이것은 고려시대부터 축적된 천문과학기술과 창조적 재능을 지닌 많은 과학기술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1432년 세종이 천문의기 제작을 명한 지 6년만인 1438년에 각종 관측기기를 완비한 천문대인 간의대가 완성되었다. 당대로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인정받고 있는 거대한 종합 천문대인 간의대의 주변에는 혼천의, 혼상, 규표 등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설치하였다. 규표로는 24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고, 각종 해시계로는 한양의 정확한 시간을 잴 수 있었다. 해와 별을 관측하여 낮과 밤의 시간을 측정하는 일성정시의와 천체 관측기기인 소간의 등 다양한 관측의기들이 독창적으로 창제되었다. 아쉽게도 세종대에 제작한 천문의기들 가운데 현존하는 유물은 한 점도 남아 있지 않다. 당시 천문유물은 사라져버렸지만 문헌을 통해 세종시대 각종 천문 관측의기의 복원 연구를 통해 설계와 복원을 수행하였다. 천문의기 복원(復元)은 모형(模型)을 만드는 것이 아니므로 자재와 공법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각 부품들이 계시기(計時器)로서 정확히 작동하도록 복원하려면 정교하게 제작하여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천문의기들은 왕궁(王宮)에서 사용한 것으로 외형적으로 왕권을 상징하는 용(龍)의 형상과 화려한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복원 과정에서 예술적인 면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지금까지 복원한 조선의 각종 천문의기의 구조와 기능 및 복원 과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계절·시간대별 차등요금에 대한 수용가의 반응성 분석 연구

  • 최기련;김동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4권2호
    • /
    • pp.223-242
    • /
    • 1995
  • 본 연구는 1977년 부터 한국에서 적용된 계절 시간대별 차등요금에 대한 반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요금적용시간대에 대한 전력소비의 탄력성을 1987년 1월부터 1992년 12월 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초월대수 비용 함수 (Translog Cost Function)을 이용하여 추정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낮 시간대, 저녁시간대, 밤 시간대에 대한 자기가격탄력성은 산업용(을) 고압 A 수용가의 경우 각각 -0.386, 0.351, -0.114이며, 고압 B 수용가는 각각 -0.095, -0.230, -0.192이었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수용가(고압 B)는 소규모 수용가(고압 A)에 비해 계시별 요금제에 대한 반응성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차가격 탄력성 산출결과 상호 시간대간에 전력사용량의 대체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산업용(을) 고압 A 수용가는 낮시간대와 저녁시간대간에 강한 대체성이 나타났으며, 산업용(을) 고압 B 수용가는 저녁시간대와 밤시간대간에 대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시별 요금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수용가의 반응성을 분석하기 위해 표본기간을 1987년 1월 부터 1989년 12월 까지(기간 I)와 1990년 1월 부터 1992년 12월 까지 (기간 II)로 분리하여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기간 I에서는 계시별 요금제에 대한 수용가의 반응성이 아주 낮았으나, 기간 II에서는 현저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기간 II에서 시행된 1991. 6의 요금구조 개편은 수용가의 반응성을 증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이에 따라 계절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가 부하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컨볼루션 신경망을 사용한 계절 이미지 분류 (Seasonal Images Classification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에런 스노버거;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4-447
    • /
    • 2022
  • 최근 몇 년 동안 더 깊은 신경망 아키텍처로 인해 컴퓨터 비전 이미지 분류 작업이 더 빠르고 더 좋아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미지 분류 작업은 특정 이미지 모양(예: 고양이와 개 구별)을 기반으로 분류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낮과 밤 또는 사계절과 같은 기간을 구별하도록 훈련된 분류 모델은 많지 않다. 같은 장소의 사계절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한 선행 연구는 있는 반면 일반 영상의 계절 분류 연구는 현재 부재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 영상의 계절 분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간단한 특징 추출부터 합성곱 신경망 구축, 전이 학습에 이르기까지 계절별 이미지 분류를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연구하고 정확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열대과수 용과 가온하우스 재배의 인공수분 시간이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growth and quality as artificial pollination time of Dragon fruit(Hylocereus undatus) in heating plastic house cultivation)

  • 박재옥;이소미;조경철;권혜영;김병삼;황인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79
    • /
    • 2018
  • 용과(Hylocereus undatus)는 멕시코 및 과태말라가 원산지이며 아열대 및 열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아시아는 베트남 타이완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가지에 열매가 있는 모습이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전남지역 재배에 적합한 대체 열대 및 아열대과수 개발이 필요하다. 용과는 열대과수 중 비교적 낮은 온도($10^{\circ}C$이상) 조건에서 재배 가능하여 남부지역에서 시설내 가온재배하고 있다. 국내 시설재배 중 문제점은 용과는 밤에 꽃을 피기 때문에 밤에 활동하는 매개곤충이 없어서 인공수분으로 수분문제를 해결해야한다. 인공수분의 한계시간과 수분할 경우 과실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공수분 시간을 개화 1시간 이내, 4~5시, 11~12시 및 무 처리(방임)로 처리하였다. 개화시기는 1차 7월 13일, 2차 8월 8일, 3차 8월 26일로 3회에 걸쳐 개화가 이루어졌으며 이시기의 화분량는 4~5시가 0.68g, 11~12시 0.47g로 1시간 이내 0.16g보다 많았고 과실비대에서 1과중은 개화11~12시가 421g, 4~5시 400g, 1시간 이내가 377g으로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지만 무처리는 185g으로 처리구와 192~236g의 유의차가 있었다. 용과의 인공수분한계시간은 다음날 아침 7시(개화 11~12시)까지 인공수분 할 경우 정상적인 착과가 이루어졌으며 과실비대를 위해서 인공수분은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 PDF

과실흡아류의 종류와 피해에 관한 조사연구(II) (Survey on the Kinds of the Fruit Sucking Moths and their Damages in Korea (II))

  • 유승찬;유재기;유창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02
    • /
    • 1970
  • 과실흡아류의 종류와 피해를 조사한 결과 1968년에는 우묵밤나방등 밤나밤과의 7속 10종이 채집분류되었으며 1969년에는 배칼무늬나방(Apatele rumicis oriens S.) 멸강나방(Leucania separata W), 톱니뭉뚝나방 (Scoliopteryx libatrix L.) 및 목화밤나방(Anomis flava flava F.)등의 4종이 조사추가되었다. 과실흡아류의 피해는 지역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품종에 따라서도 다르다. 수원지방의 포도에 대한 평균 피해율은 $5.1\%$에 비하여 1968년에는 $8.9\%$의 높 피해율이었으며 진주지방의 배에 대해서는 $11.8\%$에 비하여 1968년에는 $3.4\%$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다.

  • PDF

밤나무재배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of Chestnut Cultivation in korea)

  • 최수임;김재성;주린원;김철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274-281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밤나무 주산단지인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지역의 밤나무 재배농가(총 67호)를 대상으로 밤나무재배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밤나무재배의 정책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부지방 주산단지(충북, 충남)는 남부지방 주산단지(전남, 경남)와 비교하여 ha당 평균 조수입은 2.7배, 소득은 3.9배, 순수익은 12.1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남부지방 주산단지는 중부지방 주산단지와 비교하여 밤나무재배에 대한 경제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밤나무의 노령화로 인한 밤 생산량 감소와 밤 품질 저하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남부지방 주산단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밤나무 노령목 갱신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바지락의 산소비율 및 여수율의 생리적 리듬 (Physiological rhythms in the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정의영;신윤경;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7-131
    • /
    • 1999
  • 전북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생리적 리듬을 알아보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산소소비율 및 여수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호흡율 및 여수율에 의한 생리적 리듬은 15$^{\circ}C$$25^{\circ}C$에서 두 가지 모두 24시간 동안 2번의 peak를 보이는데, 밤-만조시에 최대를 나타내었으며, 낮-간조시에 최소를 나타내어 조석에 의한 일주리듬 현상을 보였다.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 및 여수율의 변화는 수온별로 급격한 특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원로와의 대담-천연물화학분야 우인근박사

  • 이광영
    • 과학과기술
    • /
    • 제28권7호통권314호
    • /
    • pp.79-81
    • /
    • 1995
  • 우리나라 천연물화학분야 발전에 기초를 다지고 특히 인삼 연구에 많은 연구 업적을 남기 우인근 박사는 선배와 친구가 주선해 준 서울 종로구 연건동에 있는 20평 남짓한 옛 한옥에서 50년 가까이 살고 있다. 그 흔한 아파트 한번 신청하지 않은 것은 서울대 생약연구소를 평생 맴돌다 보니 이재는 물론 이사 자체를 아예 생각해 보지도 못한 주변없는 사람이었기도 했지만. 자신을 도와준 사람들의 뜻을 새기기 위해 그대로 눌러 살고 있다고 했다. 그는 천연물화학연구에 심취해서 밤을 낮처럼 새던 옛일도 지금도 잊지 못하고 있다. 우인근 박사는 1914년1월17일 황해도 안악에서 6남매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올해82세 ,요즘은 건강관리를 위해 아침9시경 집을 나와 혜화동으로 해서 창경궁을 한시간 정도 산책하는 것이 큰 즐거움이다,

  • PDF

사물인터넷기반 라이프케어 빅데이터 센싱기술

  • 조위덕;최선탁;백재순;민명기;이영권;이규필;박경찬;이종익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11호
    • /
    • pp.21-31
    • /
    • 2015
  • 현대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활습관이 다양해지고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생활습관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와 같은 IT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응용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활습관 추적 및 분석 기술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장애인, 생활습관병 환자 등 특수계층의 건강 예측, 질병 관리 분야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센싱 기술에 초점을 두고, 낮 시간의 활동과, 밤 시간의 수면 및 위치 기반 기술,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홈 패턴 모델링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컴퓨터비전 처리에 의한 교통신호 차례를 기다리는 차량 댓수의 계수 (Counting the number of cars waiting at the traffic light by computer vision process)

  • 조준희;김희승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562-564
    • /
    • 2003
  •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ffic system)의 필요성은 컴퓨터비전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장해오고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바람직한 방법들 중 하나는 비전처리를 통하여 자동차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차량이 포함된 도로 이미지들은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다. 우선적으로 이미지에서 도로의 중앙선 오른쪽부분은 제외한다. 단순히 개개의 차량을 분리해 나는 것은 겹치는 문제, 그림자, 조명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차량계수를 목적으로 이미지를 세밀히 조사하다가 보니 낮에는 차량의 앞 범퍼 끝의 그림자로 밤에는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림자분석을 통한 차량계수를 다루었다. 이 특징을 사용하여 차량을 계수하여 만족할만한 정확성을 성취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