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of Chestnut Cultivation in korea

밤나무재배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 Choi, Soo Im (Dept. of Forest Resource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Jae Sung (Dept. of Forest Resource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oo, Rin Won (Dept. of Forest Resource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hul Sang (Dept. of Forest Resources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최수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
  • 김재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
  • 주린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
  • 김철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경영부)
  • Received : 2006.01.27
  • Accepted : 2006.02.15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In this study, I aimed to suggest political data on the plantation of chestnut trees given the local features by conducting an analysis on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plantation of chestnut trees aimed at chestnut tree plantation farmhouses (total 67 farmhouses) in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and Gyeongnam, which are the chief producing place in Korea. As a result, the central area (Chungbuk, Chungnam) was proven to post 2.7 times as many as the average total income, 3.9 times as many as income, and 12.1 times as many as net income per ha wh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southern area (Jeonnam, Gyeongnam). That is, the southern area demonstrated a very low economic efficiency on the plantation of chestnut trees compared with that of the central area, and this was caused by the reduction of chestnut production and the degradation of chestnut quality due to the aging of chestnut tree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consistently renovate aged chestnut orchards and manage them in the southern area.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밤나무 주산단지인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지역의 밤나무 재배농가(총 67호)를 대상으로 밤나무재배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밤나무재배의 정책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부지방 주산단지(충북, 충남)는 남부지방 주산단지(전남, 경남)와 비교하여 ha당 평균 조수입은 2.7배, 소득은 3.9배, 순수익은 12.1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남부지방 주산단지는 중부지방 주산단지와 비교하여 밤나무재배에 대한 경제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주요 원인은 밤나무의 노령화로 인한 밤 생산량 감소와 밤 품질 저하 등에 기인한다. 따라서 남부지방 주산단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밤나무 노령목 갱신 및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산림과학원

References

  1. 김사일, 주린원. 1987. 종실류(밤.대추) 생산농가의 소득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임업연구원연구보고 35: 1-8
  2. 김선창 외 58인. 2005. 밤나무 노령임분 갱신 및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농림부. pp. 321
  3. 김의경, 윤여창. 1995. 밤의 수급전망에 관한 연구. 산림경제연구 3(1): 15-28
  4. 김재성, 김의경. 1999. 주요 산과실류의 경제성분석. 임업연구원연구보고 60: 54-65
  5. 산림청. 2003. 밤나무 재배실태와 정책방향 연구. pp. 155
  6. 산림청. 2004. 밤 산업 종합대책. pp. 41
  7. 산림청. 2005. 임업통계연보. pp. 462
  8. 손철호, 장우환, 장철수. 2004. 밤나무 재배실태와 정책 방향. 농촌경제 27(2): 73-86
  9. 이경일, 장우환. 2003. 우리나라 단기소득임산물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임학회 92(4): 367-373
  10. 장우환, 장철수, 석현덕, 손철호, 민경택. 2003. 밤나무 재배실태와 정책 방향 연구. 산림청. pp. 155
  11. 전준헌, 이상식. 1993. 밤 생산농가의 경영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82(1): 1-6
  12. 전현선, 이성연, 주린원, 김외정, 이호섭. 1999. 임업경제성분석 지침서,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155: pp. 153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밤 연차동향/전망. www.krei.re.kr/infor/forestry03.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