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성 의류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Gender Differences of Mail-Catalog Shoppers in Shopper Tendencies, Patronage Motive Strength, and Patronage Behaviors (카탈로그 구매자들의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에 관한 성별 차이 연구)

  • Yoh, Eun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551-15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탈로그 구매자들이 의복쇼핑과 관련한 변인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총 207명의 의류카탈로그 소비자들을 남성그룹 (N=97)과 여성그룹 (N=110)으로 나누어 카탈로그 의복쇼핑과 관련하여 구매자 성향, 애고 동기, 애고 행동을 비교하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유희적, 가격 중시, 편리성 중시 구매자 성 향을 높게 보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남성 에 비해 카탈로그 쇼핑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더 높게 나타내었고, 특히 편리성, 용이성, 유희성, 안전성, 경제성 면에서 더 높게 평가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유일한 항목은 카탈로그의 브랜드 구색이었다. 이처럼 카탈로그 의복쇼핑의 만족도에 관한 성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카탈로그를 통한 의복쇼핑 행동에서는 성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의류 카탈로그 업체를 위한 마케팅 전략들이 제안되었다.

  • PDF

The Relationships of Body-Cathexis to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Beady-To-Wear of Elderly Men and Women (남녀 노년층의 자아존중과 기성복만족에 대한 신체 만족도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1 no.8
    • /
    • pp.1417-1426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자아존중과 기성복만족에 대한 신체만족도의 관계 및 남녀의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302명의 남성과 여성에게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50명의 남성과 58명의 여성이 자료분석에 이용되었다. 신체만족도는 신체 5 부위(얼굴, 하체, 신장, 체중, 토르소)로 나뉘어 측정되었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기성복의 맞는 정도와 스타일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노년층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어 자아존중은 신체만족도와 관련이 있었지만 남성보다 여성에게 있어 자아존중은 신체만족도와 더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은 노년층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있어 관련이 있었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에 대한 만족이 기성복만족과 더 깊은 관련이 있었다.

  • PDF

Nehru Style in the Sixties : Indian Influence on American Men's Fashion (1960년대의 네루 스타일 -미국 남성복식에 미친 인도복식의 영향-)

  • 김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3 no.4
    • /
    • pp.601-608
    • /
    • 1999
  • 1960년대와 70년대 초기 미국은 인도의 음악, 철학, 종교, 복식 등, 다양한 문화 양식에 관하여 강한 관심을 나타냈고 이는 청년층의 반문화적 행동유형에 의해 시작되어 전반적인 사회계층으로 확산된 문화현상의 한 예로 설명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Gentlemen's Quarterly 와 Sears and Roebuck Co. Catalgue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내용분석법으로 처리하여 미국 남성복에 나타난 인도복식의 영향과 사회계층별 차이점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시기의 미국 남성복식에 보여진 인도의 영향은 주로 네루 스타일의 복식(Nehru jacket/suit Nehru collar Nehru hat)과 Indian sandal과 jewelry tie-dye와 madras로 의복 직물 악세서리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인도복식으로부터 받은 영향의 내용과 정도는 사회계층에 따라 그 차이가 뚜렷하여 중류층에서는 제한된 종류의 스타일의 단기간 동안 채택되었으나 상류층에서는 다양한 스타일이 비교적 오랜 기간동안 지속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중류층의 남성복식이 새롭고 비관습적인 스타일의 채택에 대하여 보수적인 양상으로 띠는 것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인도복식의 영향이 1968년을 절정으로 나타남으로서 이시기의 사회변화가 복식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으로 보여주고 있다

  • PDF

Recognizing the Types of Men's Foundation Garments -Focusing on 30s and 40s Men- (남성 보정 속옷에 대한 인식유형 -3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 Cha, Su J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5 no.6
    • /
    • pp.935-94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typify men's beliefs, perceptions, values, and attitudes, regarding foundation underwear,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ception. Thirty-one statements on men's correctional underwear were selected, an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20 men in their 30s and 40s as the P samples. Factors were extract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Type 1 was the "fit improvement disadvantage cover type", which covered the target area, and improved the clothing fit. Type 2 was referred to as the "highlighting the advantages of chest correction" type, that was used to improve chest correction and exercise efficiency. "Positive wear for compensation of the abdomen", was listed as type 3, and was worn for abdominal correction. It was believed that type 3 could be used to correct body shape even if it was uncomfortable. Type 4, the "hip-up correction functional type", emphasized functionality based on its hip-up correction design.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Men's Suit Purchasing Behaviors (Part II) Focus on Men in Their 20's∼40's- (남성 정장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제2보) -20∼40대 남성을 중심으로-)

  • 김민정;이숙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5
    • /
    • pp.615-625
    • /
    • 2004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egment the male consumers' market for men's suit based on brand preferences and to identify the group differences in apparel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features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pplicable to marketing strategy. 705 m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were in their twenties through forties, and they lived in Seoul and its suburbs. 655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AS package, frequency, factors, reliability, correlation, genealogical group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the ($\chi$$^2$-test and the Duncan test for verification were actualiz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le-suit consumers tend to prefer the national brand(61.07%), licensed brand(19.39%), volume character brand(7.63%), prestige character brand(6.56%), and directly imported brand(5.34%) in or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arel shopping orientations, purchasing behavior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the 5 classified groups.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Specialization of Menswear Designers (남성복 디자이너의 특성과 전문화에 관한 연구)

  • Lee, Seung Hyun;Lee, Kyou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5 no.5
    • /
    • pp.852-86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enswear designers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menswear designer expert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ten menswear designers with more than fifteen years of experience. After going through the University P IRB approval proces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individual in-depth face-to-face or video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rch 1, 2020 to March 31, 2021. From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swear designer job experience, four key themes were found: the competence required for the professionalization process of menswear designers; the creative sensibility of menswear designers; the uniqueness of menswear designers' work; basic education required for menswear designers. In order to find additional meaningful implications using the visual analysis technique, we examined the primary vocabulary using the word cloud techniqu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bulary using the network graph. In the follow-up study, we expect to develop a material-oriented education program for new menswear designers and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argeting a small number of experienced menswear designers.

The Sizing Communications of Menswear on Retail Websites (온라인 쇼핑 사이트의 성인 남성복 제품 사이즈 정보 실태 분석)

  • Jaehyun Park;Ah Lam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7 no.1
    • /
    • pp.73-8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zing communication issues of menswear on retail website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siz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Based on sales frequency and awareness in the Korean menswear market, 22 brand websites were selected, and size-related infor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7 types of representative apparel items. The current diverse types of size codes had limitations in delivering actual product size information. Many websites preferred to display garment dimensions rather than basic body measurements, which is the suggested size designation method in Korean Standard. The websites posted fit model photos and customer reviews. However, the body size specifications, which consumers can use as a useful reference, were often omitted. There was also a high uncertainty in product size selection, with only the basic body measurement information listed, and there was a high deviation of garment dimensions within the same basic body measurements. The product size distribution did not match actual Korean body type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improved effective sizing communication methods. These method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online shopping environment for both consumers and retail sel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