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잡지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 (Sexual Image of the Cover Models in Men's Magazine)

  • 윤을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75-285
    • /
    • 2010
  • 감성사회, 무한경쟁사회로 진입하면서 남성의 스타일이나 이미지는 힘과 권위로 상징되던 과거 스타일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오늘날 남성 스타일과 이미지에 관한 정보는 소비대중의 요구와 매체들의 보도에 의해 필요와 학습의 과정을 거치면서, 정보의 제공자나 수용자 모두에게 적절한 이익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잡지의 표지는 잡지의 컨셉과 이미지를 대표하며, 표지 모델은 잡지의 상징적인 이미지, 시대성, 대중의 호감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잡지의 표지 모델에 관한 연구는 현재 스타일의 흐름을 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남성 잡지 표지 모델의 섹슈얼 이미지에 관한 연구로 현대 남성의 이미지를 호모 섹슈얼, 크로스 섹슈얼, 메트로 섹슈얼, 위버 섹슈얼의 이미지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 국내 남성 잡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섹슈얼 이미지는 위버 섹슈얼이 압도적이었으며, 메트로 섹슈얼이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결과적으로 현대 남성들의 이 같은 섹슈얼 이미지는 남성 성역할의 변화와 함께 남성 이미지의 범위 확대를 뜻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국내 라이선스 남성 잡지의 지면 구성 (Contents Composition of Domestic Licensed Men's Magazines)

  • 윤을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02-209
    • /
    • 2010
  • 오늘날 우리는 넘쳐나는 정보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는 잡지부분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본 연구는 국내 3대 라이선스 남성 잡지에 관한 연구로서 남성 잡지사별로 고유한 잡지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잡지 지면 구성 비율의 통계를 토대로 실질적인 연구를 실행하였다. 왜냐하면, 모든 잡지는 자사가 추구하는 지향점을 기사나 화보에 의한 지면 구성을 통해 실천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결과 국내 3대 라이선스 남성 잡지의 지면 구성 비율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광고 비율로 평균 37.5%로 나타났으며, 패션에 관한 기사나 화보가 평균 26.8%의 비율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지면구성의 비율로 파악된 국내 라이선스 남성 잡지는 패션잡지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각 잡지사가 추구하는 잡지 컨셉을 기초로 조금씩 다른 지면 구성으로 발행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남성 잡지 광고의 섹슈얼 이미지 내용분석 -메트로섹슈얼, 레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Sexual Images in Men's Magazine Advertisements -Metrosexual, Retrosexual, Homosexual-)

  • 이은선;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80-90
    • /
    • 2013
  • 빠르게 성장하는 니치 시장으로 게이 소비자들의 인기도는 계속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성별, 인종, 성적 이미지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들과 비교할 때, 게이 소비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잡지 광고들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세 가지 남성 표적들(메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 레트로섹슈얼)을 겨냥한 광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를 위하여 GQ, Out, Maxim이라는 대표적인 남성 잡지들을 선정하여 제품별(제품군, 가격, 명품)과 모델 효과(기본정보, 섹슈얼리티, 사회적 위치, 남성성)에 따라 광고 콘텐츠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Q와 Out은 Maxim보다 더 고가의 명품 브랜드들의 광고들을 게재하였으며 남성을 더 성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 남성 패션에 표현된 문화 꼴라쥬 현상

  • 이민선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92-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이상 제기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학 및 사회학 등에서 논의되어 온 문화 꼴라쥬 현상에 대한 개념과 사회적 등장 배경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 꼴라쥬 현상에 대한 내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남성 패션에 표현된 문화 꼴라쥬 현상의 외적 조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자료로 남성 패션 스타일 선도자로서의 역할을 해온 The Face, i-D, view와 해외 collection 지 등의 잡지를 분석한다. (중략)

  • PDF

탈 타겟시대, 기존미디어와 뉴미디어에 나타난 여성타겟 광고와 남성타겟광고의 표현비교 연구 (In Targetless era, Comparison Study between Women oriented Ads and Man Execution through new and old media.)

  • 이영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61-372
    • /
    • 2004
  • 오늘날 다원화시대, 뉴미디어시대, 탈타겟시대, 퓨전시대에 남녀구별짓기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미디어의 변화와 사회 제 현상으로 인해 남녀의 명확한 구분이 모호해짐에 따라 남녀의 주 역할, 제품의 주 구매자 등의 개념도 명확치 않아 남녀의 성역할이나 그 표현 등 비교연구가 어려워졌다는 견해이다. 이러한 매체환경에서 기존매체인 잡지광고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인터넷 배너광고간, 그리고 남녀타겟간 광고의 표현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남성중심사회에서 광고는 여러 면에서 남성이데올로기가 존재하고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젠더 디자인적 시각에서 한걸음 나아가 고정적 이데올로기 변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즉 1.각 매체표현에서 남녀성차가 나타날 것인가\ulcorner 2.기존미디어, 뉴미디어 간 성차가 있을 것인가\ulcorner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 실증하였다. 연구문제 1의 결과, 잡지에서 성별과 사용색의 수, 주 사용색, 정보내용, 배너에서는 타이포, 경어명령어의 언어표현, 정보내용은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2의 결과, 잡지에서 유의한 종속변수는 총 유목수 11개중 6개였고 배너는 3개에 그쳐 잡지가 배너보다 성차가 다수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잡지광고에서 색채고정화를 중심으로 성적고정화가 상대적으로 다수 존재하며 배너광고에서도 부분적으로 고정화가 나타났다. 이는 매체환경이 바뀌어도 소비자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검증했다고 볼 수 있다.

  • PDF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 광고의 특성과 상징적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s appeared in Body Modification Commodity Ads)

  • Gi-Young Kwon
    • 복식
    • /
    • 제54권3호
    • /
    • pp.87-97
    • /
    • 2004
  • 패션잡지에 실린 패션 및 뷰티 관련 상품의 광고들은 현시대의 미의 이상을 제시하고, 상품소비를 통해 이를 성취할 수 있음을 제안함으로써 신체와 관련한 미적 상징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의 특성과 상징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여성잡지 Vogue와 남성잡지 GQ 광고 중 화장품과 바디케어 용품 광고를 선정하여, 이를 신체의 특성, 즉 색상, 볼륨과 비율, 형태와 구조, 텍스쳐, 향의 측면에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Vogue와 GQ 모두 다양한 종류의 신체수정을 위한 상품광고를 선보이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Vogue가 GQ보다 더 많은 양과 종류의 상품 광고를 보이고 있었다. 신체의 특성에 따른 상품의 비중을 보면, Vogue는 신체의 색상과 관련한 시각적인 면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 GQ는 신체의 골격과 형태미, 볼륨과 비율, 그리고 향과 같은 덜 시각적인 면에서의 상품비중이 높았으며, 텍스쳐와 관련한 상품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이들 상품광고의 텍스트와 이미지에서 보이는 특성은 다기능성. 자연성, 개별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계적 미의 추구, 젊음과 건강 이데올로기, 젠더 무경계화라는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패션잡지 광고상품의 유형에 따른 이상적인 신체미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Ideal Body Images based on the Product Types in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 권기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72-1682
    • /
    • 2006
  • 한 시대의 이상적인 미에 대한 관점은 미디어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의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연구방법으로 2002년 발간된 US Vogue와 US GQ 잡지광고의 모델들에서 보이는 신체적 특징 (신체 타입, 연령)과 패션스타일(헤어, 메이크업, 악세서리, 의복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예전의 신체 및 의복규범이 남아있긴 하지만 새로운 트렌드로 남녀의 이상적 신체 유형 및 패션스타일 특징을 거부한 성의 혼재 현상과 자연스러운 외모를 추구하는 자연성 이 대두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델의 특성은 패션과 뷰티 관련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광고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남성잡지Maxim 표지모델에 나타난 섹슈얼이미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Sexual Images on the Cover of Maxim Men's Magazine)

  • 김은정;곽태기
    • 복식
    • /
    • 제62권7호
    • /
    • pp.185-204
    • /
    • 2012
  • There are lots of sexual images in the contemporary media, and this is due to many of the media formats, such as television, magazines, and the Internet, using these images to relay various messages to the people. The media uses these sexual images (i.e. woman in a bikini) in order to use sex and eroticism as a marketing tool to the audience. Unlike other men's magazines, which actually have many female readers, Maxim magazine's readers are made of mostly men, and because of this, their magazine covers are usually filled with sexy women celebrities, such as singers or actors; images that can attract the general men. This study puts its focus on evaluating Maxim magazine's marketing strategy. The strategy of targeting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not interested in reading, but were impulsive and visually oriented. The study looked at magazine covers from November 2002 (the start of the magazine) to October 2008 (the peak period of its sales), and a total of 72 images were analyzed. For each image, 5 things were recorded (model's occupation, clothing style, hairstyle, makeup, pose and gaze).

남성 패션잡지 표지에 나타난 여성모델 이미지 변화와 의미 분석 (Changes and Meanings of the Images of Female Model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s)

  • 권지안;임은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92
    • /
    • 2015
  • Covers of fashion magazines are part of the media that reflects the zeitgeist. Thus an analysis of the covers is a tool to probe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f a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of the image of women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tatus and role of women, from the past up to the present,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image of female mode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s both literature and corroborative research. The period for the analysis is limited to post-1960s when female models began to appear alone on the cover of men's fashion magazine. The three decades from the 1960s through today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result is as follows: female models in the 1960s were shown as subjugated and ancillary to men as a commodity for the affluent materialistic civilization after World War II. In the 1970s, thanks to feminism movement, the image of resistance dominated. As a result of women's right movement, the 1980s came to witness the female image of subjective characteristics. Finally, starting in the 1990s, a mixture of subjugated, resistant, and subjective image of female models has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culture, where the communication through images is being increased, the image of the female models in fashion magazines could work as a criterion to measure the social change.

  • PDF

광고에서 여성역할의 변화 : 1930-1989년간 미국잡지광고 분석 (Women's role change in advertising : A content analysis of U.S. magazine advertising, 1930 -1989)

  • 김현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7-414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1930~1989년간에 걸쳐 타임잡지의 자동차광고에서 성에 관련된 의복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역할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고내용 분석은 과거 60년을 세시기로 나눌 수 있었는데 1930~1959년간은 여성에게서 가정주부 어머니, 여성적인 외모를 중시하는 전통적 여성관을 강조하였고, 1960~179년간은 계속해서 이러한 전통적 여성활동을 중요시 하면서도 자동차광고에서 여성의복이 다양하게 나타나서 여성역할이 다양하게 변화함을 보여주고 있다. 1980~1989년간의 경향은 사람모델을 덜 쓰고 자동차자체를 묘사함으로써 지금까지 자동차광고가 남성중심의 소비에서 여성소비자를 포함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연구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