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형도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2초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의 난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ogenesis of the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 김정상;김종세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4호
    • /
    • pp.17-25
    • /
    • 1995
  • This paper aims to probe the cell differentiation and gene activity in early Oogenesis from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8 cystocytes are formed by mitosis of the Oogonia, and differentiated to the 1 Oocyte and 7 nurse cells. The oocyte and nurse cells are connected by ring canals, through which the cytoplasmic organelles such as mitochondria, free ribosomes, and electron dense granular materials are passed from nurse cells to o cyte. Many replication fork in the cystocyte nuclei and 2 transcriptional units of $2.7{\mu}m\;and\;0.36{\mu}m\;or\;0.5{\mu}m$ in the nurse cells are observed by the chromatin spreading technique. It is possible that transcriptional units are passed from nurse cells to Oocyte.

  • PDF

생명정보학 기반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 진단 타깃 단백질 선정 (Selection of plasmodium falciparum (Pf) malaria specific diagnosis target proteins based on bioinformatics)

  • 서승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2
    • /
    • 2014
  • 말라리아는 인체에 감염되는 열원충의 종류에 따라 크게 열대열 원충, 삼일열 원충, 사일열 원충, 난형열 원충으로 구분된다. 말라리아는 감염 후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한 질병이므로 초기 진단을 위한 Rapid Diagnostic Test(RDT) 키트가 중요하다. 기존의 진단키트의 경우, 열대열 말라리아와 삼일열 말라리아를 동시에 검출하여 치료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구분하여 진단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RDT키트 개발을 위해, PlasmoDB에서 열대열 말라리아 항원 단백질을 얻고 BLAST를 이용하여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이적인 항원 단백질 후보군을 얻었다. 이후 감염단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SPpred에서 제공하는 protein solubility prediction을 통해 실험적으로 단백질 발현 가능 여부를 확인한 결과, 최종적으로 histidine-rich protein II, histidine-rich protein III, glycophorin binding protein를 선정하였다. 이들 단백질을 이용한 열대열 말라리아 진단키트 제작은 열대열 말라리아 특이적 진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 PDF

방아깨비 종령유충의 혈구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Larval Hemocytes of Acrida cinerea Thunberg)

  • 유재혁;양희영;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7권1호
    • /
    • pp.13-20
    • /
    • 1977
  • 방아깨비의 종형유충을 재료로 하여 혈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바 4 가지의 혈구 형태를 구분해 냈다. Prohemocyte는 크기가 가장 작으며 미분화된 소기관을 가졌고 Plasmatocyte는 그 수가 비교적 많고 발달된 소기관을 가졌으며, Granular cell 은 방추형 또는 난형으로 세포질내에 몇가지 과립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Adipohemocyte는 많은 지방과립을 함유하고 microtubule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 PDF

등검은메뚜기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 면역혈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mmunocytes of Grasshopper,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Orthoptera: Locustidae))

  • 장병수;문명진한성식여성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05-413
    • /
    • 1992
  • 등검은메뚜기(EuprepoceRneTmis shirak시 성충에서 면역작용에 관여하는 혈구로 확인된 Plasmatocvte와 granu10cvte 1 딪 granu10cyte 11의 형태와 미세구조적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Plasmatocyte는 방추형 또는 맡은 세포질돌기를 형성하고 있는 다형의 형태로 세포질에는 리소조옴과 식포가 존재하고 있었고, 식포의 융합에 의해서 형성된 multivesicular body가 관찰되었다. Granulocyte 1은 구형의 형태로 세포질에는 약 0.2-0.3 urn 크기의 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원형질막 가장자리에 세포의 골격을 유지하는 미세소관 다발을 갖고 있었다. Granulocyte 11는 난형 또는 방추형의 형태로 세포질에는 약 0.5-0.8 Um의 과립이 세포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세포소기 관은 granu10cyte 1보다 덜 발달되어 있었다.

  • PDF

환원세정방법에 따른 스웨드 직물의 세탁견뢰도 (Washing Fastness of Polyester Artificial Suede Fabric According to Reduction Clearing Method)

  • 강연희;백진주;서말용;김삼수;허만우;이난형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4-240
    • /
    • 2001
  • In order to improve the washing fastness of dyed polyester artificial suede fabric, it was dyed by using auto and anthraguinone type disperse dyes and treated with 3 different reduction clearing methods. The reduction clearing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normal alkaline reduction clearing, $N_2$ gas replacement method, and ultrasonic treatment during normal reduction clear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The washing fastness property of dyed polyester artificial suede fabric was slightly improved by reduction clearing with $N_2$ gas replacement or with ultrasonic treatment comparing with normal alkaline reduction clearing.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N_2$ gas replacement or ultrasonic treatment during reduction clearing eave effective removal of unfixed dyes on the fiber surface. We also obtained that the azo type disperse dye on polyester artificial fabric suede fabric showed higher wash fastness than anthraquinone type disperse dye.

  • PDF

목포용둥굴레 변이 집단의 실체 (The Identity of the Variation Population of Polygonatum cryptanthum H. Lév. & Vaniot)

  • 이세령;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50
    • /
    • 2022
  • 비짜루과 둥굴레속(Asparagaceae: Polygonatum)은 전 세계적으로 약 90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국내 둥굴레속 분류군은 총 16분류군이며, 이중 잎이 호생하고, 난형에서 타원형 모양의 엽질성 포를 가지며, 화피통 내부에 털이 없고, 수술대 표면에 돌기가 나있는 분류군들은 용둥굴레열(series. Bracteata)에 속한다. 그러나 이들은 종간 교잡 또는 주요 기관의 형질 변이가 다양하여 중간형질을 보이는 개체군들에 대한 종 식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경남 창원시에서 채집된 목포용둥굴레(P. cryptanthum) 변이 개체집단는 기존의 목포용둥굴레와 달리 식물체 높이와 화경·소화경이 길며, 포 부착위치의 변이 폭이 넓으며, 포가 타원형이고 밖으로 말리는 습성으로 형태적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분류학적 실체를 구명하고자 분자생물학적 계통분석(nrDNA ITS + cpDNA matK, trnK-rps16, rps16, rbcL)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 PDF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 특성(特性)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인 연구(硏究)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pposite Wood, and Side Wood in Branch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 엄영근;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3-18
    • /
    • 1985
  • 한국(韓國)에서는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pitch pine)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가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인 방법(方法)을 통하여 이(李)에 의하여 1972년(年) 발표(發表)되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리기다소나무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이(李)의 연구(硏究) 속보(續報)로써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compression wood), 대응재(對應材) (opposite wood) 및 측면재(側面材) (side wood)의 횡단면(橫斷面)과 방사단면(放射斷面)상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통하여 비교(比較) 연구(硏究)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에 있어서 춘재(春材)로부터 추재(秋材)로의 가도관(假導管) 이행(移行)은 극점(極漸)이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 역시 거의 균일(均一)한 상태(狀態)를 나타내지만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는 가도관(假導管)의 이행(移行)이 급(急)하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도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보다 불균일(不均一)하다. 또한 대응재(對應材)의 연륜폭(年輪幅)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나 측면재(側面材)의 연륜폭(年輪幅)보다 좁으며 측면재(側面材)의 횡단면(橫斷面)상 방사조직(放射組織)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및 대응재(對應材)의 방사조직(放射組織)보다 더 명확(明確)하다. 2.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 특히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이 둥근 경향(傾向)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은 다소 모난 모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포간극(細胞間隙) (intercellular space), 나선강(螺旋腔) (helical cavity) 및 나선형(螺旋型) (spiral check)이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에 모두 존재하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에 있어서는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 모두에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3.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의 막(膜)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보다는 더욱 크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은 그 막(膜)의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과 비슷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는 2차막(次膜)의 $S_3$ 층(層)이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4.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은 종종 그 선단부(先端部)가 굴곡(屈曲)되어 있으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것과는 달리 세포막(細胞膜) 내표면(內表面)의 나선상(螺旋狀) (groove)에 존재(存在)한다. 5.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의 방사막(放射膜)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난형(卵形)이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의 유연막공(有緣膜孔)은 약간 변형(變形)된 난형(卵形)을 나타낸다. 6. 측면재(側面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둥근 삼각형(三角形)을 나타내며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2개의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가 합병(合倂)되어 창상(窓狀)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응재(對應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직립(直立)의 난형(卵形)을 그리고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평복(平伏)의 난형(卵形)을 나타내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가도관측(假導管側)의 막공연(膜孔緣)으로 인하여 춘재(春材)의 것이 양편 볼록렌즈형(形)을, 추재(秋材)의 것이 슬릿 (slit)형(形)을 나타낸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韓園在來鳥骨鷄)의 주요경제형질(主要經濟形質)과 난구성분(卵構成分) 및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표현형상관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Traits and Egg Components, Egg Qualities in Korean Native Ogol fowl)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87-94
    • /
    • 1990
  • 본(本)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韓國在來烏骨鷄)의 효율적(效率的)인 선발(選技) 및 육종계획(育種計劃)을 수립(樹立)하는데 필요(必要)한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구성분(卵構成分) 및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을 추정(推定)하고자 1987년(年) 6월(月) 18일(日)부터 1989년(年) 4월(月) 6일(日)까지 사육(飼育)되어온 재래오골계(在來烏骨鷄)에 대(對)한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구성분간(卵構成分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체중(體重)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 각각(各各) 0.083~0.591, 0.110~0.541 및 0.336~0.782로 정(正)의 계수(係數)이었고 초산일령(初産日令)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467~0.692, 0.256~0.631 및 0.420~0.519 이었으며 산란수(産卵數)와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578~0.240, -0.255~0.060 및 -0.477~-0.313으로 낮은 부(負)의 계수(係數)이었으며, 난중(卵重)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825~0.939, 0.382~0.564 및 0.374~0.937로 높은 정(正)의 추정치(推定値)이었다. 2.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체중(體重)과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 간(間)에 각각(各各) 0.215~0.367, 0.248~0.650, 0.161~0.624 및 0.157~0.499이었고, 산란수(産卵數)와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간(間)에 각각(各各) -0.384~-0.207, -0.557~-0.306, -0.555~-0.198 및 -0.582~-0.074로 부(負)의 계수(係數)이었으며, 난성(卵重)과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 간(間)에 각각(各各) 0.27~0.697, 0.290~0.627, 0.238~0.538 및 -0.207~0.020이었다.

  • PDF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Indicators in the Early Phase of Hy-Line Brown Laying Hens

  • Jang, Eunhy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3-60
    • /
    • 2022
  • 계란의 내부 및 외부의 품질을 나타내는 요소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할란 검사를 통하지 않고도 계란 품질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지표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케이지 계사에서 사육 중인 27주령의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동일 계군이 같은 날에 산란한 180개의 계란을 수집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파각 강도, 난각 두께, 난각 색(CIE L*, CIE a*, CIE b*, 반사율), 계란의 중량, 계란의 장경, 계란의 폭, 난형 지수 및 난황색 등 총 13가지의 지표를 조사하였다. 피어슨 상관 계수(r)를 이용하여, 각 품질 지표 사이의 선형 관계성을 평가하였다. 호우유닛과 농후난백높이, 난각색 CIE L*값과 반사율, 그리고 계란 중량과 계란의 폭 사이에서 매우 강한 정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r=0.975, r=0.973, r=0.814, P<0.001). 계란의 중량과 계란의 장경, 난각색 CIE L*값과 난각색 CIE a*값, 난각색 CIE a*값와 반사율, 그리고 난형 지수와 계란의 장경 사이에는 높은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703, r=-0.726, r=-0.681, r=-0.681, P<0.001). 난각의 파각 강도와 난각의 두께, 난각색 CIE a*값과 난각색 CIE b*, 난형 지수와 계란의 폭 사이에는 중간 정도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 = 0.417, r = 0.590, r = 0.405, P<0.001). 난각색 CIE a*값은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와 약한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217, r=0.202, P<0.01), 난각색 CIE L*값과 파각 강도 사이에는 약한 부의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r=-0.236, P<0.01). 난각색 CIE b*값은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난각색 반사율은 파각 강도 및 난각 두께와 약한 부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25, r=-0.249, r=-0.222, P<0.01). 그 외 나머지 품질 지표들 간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거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색란의 난각색은 반사율만으로 표현하는 것 보다, CIE L*값, CIE a*값과 CIE b*값을 함께 적용했을 때 갈색의 정도를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란의 난각색 CIE L*a*b*값은 계란의 품질 지표인 호우유닛, 농후난백높이, 난각의 파각 강도와 두께를 간접적으로 예측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란용 토종닭 실용계와 하이라인 브라운의 산란능력 및 계란분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the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and Hy-Line Brown)

  • 박해은;유명환;서은수;오켓치;샨;차투랑가;베르나;베누스테;이제석;최현지;허정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3-95
    • /
    • 2024
  • 본 연구는 산란능력이 우수한 토종 산란용 실용계를 개발하기 위해 선정된 국내 토종닭 종계(YC, YD, CK, CF) 4계통을 대상으로 2원 교배를 실시하였다. 능력검정은 12개 조합의 287수를 대상으로 18주령부터 64주령까지 체중, 생존율, 초산일령, 시산일령, 산란율, 계란 품질 및 난형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체중은 YCYD, YDYC 조합이 가장 무거웠으며 생존율은 CKYC, YDYC 조합이 64주령까지 94%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시산일령은 CFYC 조합이 127일, 초산일령은 YDCF 조합이 140일로 각각 해당하는 종계들의 성적보다 시산일령과 초산일령이 모두 빨랐다. 산란율은 52주령 이후로 대부분의 조합들이 산란율이 떨어지는양상을 보였지만 YDCF 조합은 60주령까지 70% 이상의 산란지속성을 나타내며 가장 우수한 산란율 보였다. 계란품질에서 난중은 CKCF, YCCF가 가장 무거웠고, 난각색은 토종닭 대부분의 조합들이 Hy-Line Brown에 비해 유의적으로 밝게 나타난 반면 조합들 중에서는 YCYD 및 YDYC 조합이가장 짙은 색을 나타냈다. 난각 두께는 토종닭 조합 중 YCCF 조합이 두꺼웠으며 난각 강도는 CKYC 조합이 가장 강했다. 토종닭의 난형은 CKCF 조합이 Hy-Line Brown에 비해 장축이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으며 세로가 길쭉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토종닭 교배조합들의 난황색은 Y계통이 들어간 조합에서 짙은색을 나타냈으며 난황비율또한 Hy-Line Brown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종합하자면 실용계들의 능력검정을 통해 최적의 토종 산란용 실용계를 선정시 산란율이 우수한 YDCF, 계란품질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산란율이 양호했던 YCCF 조합이 가장 바람직한 조합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에는 난형지수에 관한 고려 및 교배조합들의 능력을 최대로 발현하기 위한 영양소 요구량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지속적으로 토종닭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관련 연구를 진행하여 토종닭 계란 등급제를 확립하고 품질과 맛을 개선한다면 토종닭 산란계 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프리미엄 식재료를 공급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