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자 성숙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2초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와 난구세포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and Cumulus Cells during In Vitro Maturation in Porcine Oocytes)

  • 신명균;조재원;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0
    • /
    • 1998
  • 본 연구는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TGF $\beta$)와 난수세포의 역할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난자의 체외성숙시 TGF $\beta$를 여러 농도에서 첨가한 경우 metaphase II로 성숙한 난자의 비율은 52~69%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성숙배양 24시간에서 난구세포의 유무에 관계없이 TGF $\beta$가 무첨가된 배양액 내에서는 성숙된 난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TGF $\beta$첨가(5 및 4%)의 경우 성숙난자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성숙배양 48시간후 난자의 성숙율은 난구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TGF $\beta$첨가(70%)가 무첨가(52%)에 비해 높았으며, 난구세포를 세포를 제거한 경우 (35 및 26%)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한편, 나구세포가 부착된 난자의 성숙배양시 TGF $\beta$의 첨가시기에 의한 성숙율(54~71%)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난구세포를 제거한 경우 전반기(59%) 또는 후반기(57%) 24시간 동안 TGF $\beta$를 첨가한 경우 48시간 동안 계속하여 첨가(27%) 또는 무첨가(38%)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을 나타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난구세포가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시 필수적이지만, TGF $\beta$는 난구세포를 제거한 경우 난자의 성숙에 계속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개 미성숙난자의 체내이식 배양이 핵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iotic Maturation of Canine Oocytes Cultured in Reproductive Tract)

  • 이효상;이영호;윤희준;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69
    • /
    • 2005
  • 본 연구는 개의 미성숙난자의 낮은 성숙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연발정온 개의 생식기관에 미성숙 난자를 이식하여 체내 배양 난자를 회수하여 회수된 난자의 핵 성숙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성숙난자를 24, 48 및 72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유도하였을 때 성숙시간에 따른 체외성숙율에는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 체내 배양 기간에 따른 난자의 회수율은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배양기간이 증가할수록 난자의 생존율은 유의적으로 (P<0.05) 저하되었고 사멸된 난자의 비율도 또한 증가하였다. 3. 회수된 난자는 4, 5, 6일간의 체내 배양기간에 관계없이 대부분 GV상태로 (20/34; 6/15; 4/7)존재하였으며, 성숙된 난자는 체내 배양 4일째 회수된 난자에서 $5.8\%(2/34)$의 난자가 M II까지 발달한 것으로 조사되어 개의 미성숙난자의 체내 배양은 개 난자의 핵성숙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개의 미성숙난자의 체내 배양은 M II 단계까지의 발달에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개 미성숙난자의 핵발달은 난포에서의 자극과 활성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에 있어서 난포액이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 Plasminogen Activity에 미치는 영향

  • 안지영;정희태;양부근;김정익;최선호;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1-251
    • /
    • 2004
  • Plasminogen activators (PA)는 다수의 세포 형태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진 serine protease이다. PA는 섬유소 용해, 배란, 유선 퇴화, 착상 및 수정 등 다양한 생리적인 과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난포액이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의 돼지 난자의 성숙과 난구세포-난자 복합체(Cumulus-Oocyte complexes: COCs) 또는 conditioned medium 내의 PA 활성을 검토하였다. 직경 2∼6m 난포로부터 COCs를 회수하여 일부는 난구세포를 제거하였다. (중략)

  • PDF

EGF, $\beta-ME$와 Glucose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핵 이식 배의 발생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GF, $\beta-ME$, Glucose on the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NT Embryos)

  • 전연화;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7-145
    • /
    • 2005
  • 본 연구는 NCSU-23과 PZM-3 배양액에 EGF, $\beta-ME$와 glucose의 첨가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배양조건을 다르게 하여 계대배양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를 다른 배양액과 산소조건에서 배양하였을 때 체외발생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자를 20ng/ml EGF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5.7\pm3.1\%,\;75.2\pm2.8\%,\;87.1\pm2.4\%$$78.2\pm2.6\%$였으며 EGF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EGF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서 배양했을 때의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난자를 $25{\mu}M\;\beta-M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5\pm2.6\%,\;74.7\pm2.5\%,\;80.2\pm2.3\%,\;78.6\pm2.7\%$였고 $\beta-ME$를 첨 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자를 1.5mM glucose를 첨가 또는 첨가하지 않은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4시간 배양하였을 때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9.2\pm2.3\%,\;75.0\pm2.6\%,\;85.5\pm2.5\%$$78.9\pm2.7\%$였고, glucose를 첨가한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의 체외성숙율은 glucose를 첨가하지 않은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한 난자보다 높은 체외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핵이식 배를 20ng/m1 EGF, $25{\mu}M\;\beta-ME$ 및 1.5mM glucose를 첨가한 NCSU-23 및 PZM-3 배양액에서 48시간, 144시간 배양하였을 때 2세포기 및 배반포로의 체외발생율은 각각 $56.4\pm2.7\%,\;54.3\pm2.9\%,\;70.5\pm2.1\%,\; 69.6\pm1.5\%$$12.0\pm1.3\%,\;9.6\pml.7\%,\;10.9\pm2.1\%,\;11.9\pm1.8\%$였다.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시 Catalase와 난구세포의 영향 (Effects of Catalase and Cumulus Cells during In Vitro Maturation in Porcine Oocytes)

  • 이상영;사수진;김광재;정희태;양부근;박춘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9-245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시 난구세포와 cat-alase의 영향을 검토하고저 수행되었다. 체외성숙율은 catalase의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난구세포가 부착된 난자가 제거된 난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또한 48시간 (57%) 동안 난구세포가 부착된 경우 단지 처음 24시간 (42%) 동안만 난구세포가 부착된 경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 (P<0.05). 한편, 난구세포가 부착 또는 제거된 난자의 성숙시 처음 24시간 동안보다는 후반기 24시간 동안 catalase를 첨가한 경우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으며 (P<0.05), 난구세포를 제거한 경우 성숙배양 24시간에서 M-II기로 성숙된 난자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난구세포가 부착된 난자를 72시간 성숙배양 했을 때, catalase 무첨가 (65%)보다는 첨가시(79%)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난구세포는 돼지난자의 체외성숙시 필수적인 것으로 인정되며, catalase는 첨가시기에 따라 난자의 성숙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체외성숙시 난자의 노화를 방지할 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포유동물 난자의 성장과 성숙 (In Vitro Growth and Maturation of Mammalian Oocytes)

  • Kato, S.;Miyano, T.;Hirao, H.;Miyake, M.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3-329
    • /
    • 1996
  • 미성숙난자 성장과 핵성숙을 성공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체외 배양체계의 개발은 난자발생과정 등 기초 생리학 연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산업적으로 필요한 난자를 공급해 줄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성장 중에 있는 생쥐 난포란은 체외배양과 체외수정과정을 거쳐 산자 생산가지 가능하지만 돼지 난포란 성숙을 위해서는 좀더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즉, 난성숙 배양액에 낮은 농도의 FSH 첨가는 난자와 과립세포의 생존성을 유지시키고, Hypoxanthine의 첨가는 난성숙율의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금후 생쥐난자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돼지 난포란의 성장과 성숙에 적합한 배양체계의 개발연구에서 괄목할만한 진전이 있다면 대가축들의 난포란 성숙기술을 개발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본다.

  • PDF

고양이에서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세포 핵이식 수정란 생산

  • 윤희준;이효상;이영호;전세진;이영일;조수진;최유진;공일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2-202
    • /
    • 2004
  • 고양이 체세포 복제산자의 생산은 Shin등(2002, Nature 415: 859) 1마리의 "Cc"를 성공한 이래 재현 생산한 보도가 없다. 그리하여 본 실험에서는 체세포 복제산자 생산을 위한 기초 실험으로서 난자의 체외성숙, 체세포핵이식 수정란의 체외발달율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성성숙한 고양이에서 난소적출수술로 난소를 적출 한 후 4시간 내에 실험실로 운반하여 면도칼로 난소를 절재한 후 미성숙난자를 채취하여 TCM199 + 0.4% BSA + 1000 IU/ml bST에서 24시간 체외성숙하였다. 체외성숙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 후 핵이식에 공시하였다. (중략)

  • PDF

소태아혈청과 Macromolecules 가 소 난자의 성숙과 핵 이식 후 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임기순;양병철;이상기;성환후;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3-33
    • /
    • 2002
  • 소난자 체외성숙에 있어 소 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FBS) 첨가시 높은 성숙율을 보이며 핵 이식 후 배 발달율에 있어서도 높다. 하지만 배양액 내에 포함된 소 태아혈청은 수정란 이식 후 태아의 발육 중 및 태어난 직후에 발생되는 송아지에서 나타나는 몇몇 비정상적인 현상들의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alker 등, 1998). 본 실험은 성숙배양시 소 태아혈청과 이의 대체물질로서 BSA 또는 PVA 와 같은 macromolecules의 첨가가 소 난자의 성숙과 핵 이식 후 배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중략)

  • PDF

Lanthanum 이온에 의한 북방산개구리(Rana dybowskii) 여포난자의 성숙유도 (Maturation Induction in vitm of Rana dybowskii Oocyte by Lantlianum Ion)

  • 유영란;임욱빈;권혁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8-195
    • /
    • 1991
  • 북방개구리 여보 난자의 배경계를 이용하여 calcium의 이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lanthanum ion (La3 +)이 난자의 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La3 +을 배양액에 처리하면 (O.O1-1.O mM)농도에 의존하여 난자의 성숙이 유도되었으며, 배양후 9-12시간애에 핵붕괴가 일어났다. La3 +처리는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는 난자의 성숙을 촉진하였으며, 3시간 동안의 처리로도 성숙 유도 효과가 있었다. La3 +에 노출된 여포들의 progesterone 수준을 RIA로 측정하여 본 결과 이 이온의 효과가 호르몬의 새성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알았다. La3 +에 의한 난자의 핵붕괴는 forskolin(9 $\mu$ M)이나 cyclobeximide (0.01 - 1.0 - $\mu$g/2 ml)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La3 +에 의한 성숙과정에 나타나는 단백질 양상 및 인산화 양상의 변화는 progesterone에 의한 것과 같은 경로를 거치는것과 같았다. 이로보아 La3 +의 자극에 의한 성숙과정이 progesterone에 의한 것과 같은 경로를 거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Ca2+이 난자의 성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성숙 난자와 성숙 난자에서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ly Expressed mRNA Profiles between Immature Germinal Vesicle(GV) and Mature Metaphase II(MII) Mouse Oocytes)

  • 윤세진;정형민;차광렬;김남형;이경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35-42
    • /
    • 2004
  • 미성숙의 Germinal Vesicle(GV 단계에서 성숙한 Metaphase II(MII) 단계가 되는 난자성숙 과정은 핵과 세포질의 성숙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수정과 배 발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GV 난자는 prophase I 단계에 arrest 되어 있다가 meiosis 과정을 거쳐 성숙한 MII로 되는데 이를 조절하는 기작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성숙 난자와 성숙 난자간의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동정함으로써 난자성숙에 관여하는 유전인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GV와 MII 난자에서 mRNA를 정제한 후 ACP System을 이용하여 두 그룹간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분석하여 양적으로 서로 다르게 발현하거나 한쪽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를 cloning하여 Sequencing과 BLAST search를 통해 분석하였다. ACP 1번부터 20번까지를 사용하여 32개의 유전자를 찾았으며 이중 26개가 기능적으로 알려진 유전자였다. Pscd2를 포함한 4개의 유전자는 GV에 특이적으로 발현하였고, PKD2와 CSN3를 포함하는 10개의 유전자는 GV에서 더 높게 발현하였으며 Diva를 포함하는 12개의 유전자는 MII에서 더 높게 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모든 유전자는 난자에서의 발현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ACP System을 통해 최초로 동정되었으며 특히 PKD-CSN Signaling pathway가 난자에서 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난자 성숙 과정에서 서로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인자를 성공적으로 동정하였으며 향후 이들의 기능을 연구함으로써 난자성숙 조절기전을 연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