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기생봉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6초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기생봉 2종에 관한 보고 (Report on Two Egg Parasitoid Species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on Soybean)

  • 백채훈;이건휘;최만영;서홍렬;김두호;나승용;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81-286
    • /
    • 2007
  • 콩의 주요 해충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에서 우화하는 난기생봉을 분류한 결과 Gryon japonicum (신칭 : 노린재검정알벌)과 Ooencyrtus nezarae (신칭 : 노린재깡충좀벌)로 동정되었는데, 전자는 국내 미기록 종이다. 두 종의 분류학적 위치, 형태 및 생물학적 특정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에 대한 기생율을 보고한다.

국제미작연구소포장(國際米作硏究所圃場)에 있어서 기주봉(寄生蜂)에 의한 Scirpophaga incertulas의 난기생율(卵寄生率)에 대하여 (Egg Parasitism of Scirpophaga incertula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by Hymenopterous Parasitoids in IRRI Rice Fields)

  • 김홍선;E.A. 하인리크;P. 밀바가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0
    • /
    • 1986
  • 필리핀에 있는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 논 포장(圃場)에서 이앙(移秧)후 $15{\sim}20$일(日) 된 묘(苗)에서 Scirpophaga incertulas의 난(卵)을 1984년(年) 7월 부터 10월 까지 채집(採集)하여 난기생봉(卵寄生蜂)의 기생율(寄生率) 및 생태(生態)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ScirpoPhaga incertulas 의 난(卵)에서 나온 벌목 천적(天敵)으로 Tetrasticus schoenobii, Telenomus rowani, Trichogramma japonicum 3종(三種)이 발견(發見)되었고 기생봉(寄生蜂)의 생물적(生物的)인 습성(習性)에 기초(基礎)를 둔 기생율(寄生率) 계산(計算)방법을 소개하였다. 난기생봉(卵寄生蜂) 3종(三種)의 공기생(共寄生) 조합(組合)은 T. rowani+T. japonicum 조합(組合)이 가장 많았고 T. rowani 는 단기생성(單寄生性) 천적(天敵)으로 우화성충(羽化成蟲) 수(數)가 가장 많았지만 3종(三種)의 기생봉중(寄生蜂中) T. schoenobii 는 유충기간(幼蟲期間) 중 Scirpophaga incertulas 의 난(卵)을 $2{\sim}4$개(個) 소모(消耗)시키므로 가장 유용(有用)한 천적(天敵)이었으며 이 천적(天敵)의 1세대기간(世代期間)은 $10{\sim}14$일(日) 이었다.

  • PDF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에 의한 노린재류의 난기생봉 Ooencyrtus nezarae의 유인과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and Attraction of Egg Parasitoid of Bugs, Ooencyrtus nezarae, to Aggregation Pheromone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허완;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1-137
    • /
    • 2005
  • 경남진주의 콩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하여 난기 생봉인 Ooencyrtus nerarae(Hymenoptera: Encyrtidae)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트랩에 유살된 암컷의 수는 수컷 유살수의 317.5배와 103.4배이었고, 2004년 콩포장에서는 12.6배이었다. 콩포장에서 O. nezarae의 암컷은 8월 하순부터 유살되기 시작하여 9월 20일 전후에 가장 많이 유살되었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서는 8월 중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여 9월 상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지역에서 모두 10월 이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세 성분, 즉 (E)-2-hexenyl (Z)-3-hexenoate(E2HZ3H)와 (E)-2-hexenyl (E)-2-hexenoate(E2HE2H) 및 myristyl isobutyrate(MI) 중에서 E2HZ3H 만이 O. nerarae에 대해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E2HZ3H:E2HE2H:MI를 7:36:7로 배합한 것보다는 20:20:10이나 16.7:16.7:16.7으로 배합한 트랩에 더 많은 수가 유인되었는데, 이는 배합된 E2HZ3H의 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호남지역 콩 재배지 주요해충 및 천적류 (Status of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Soybean Fields in Honam Province)

  • 백채훈;이건휘;최만영;서홍렬;김두호;황창연;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75-280
    • /
    • 2007
  • 콩 재배지에 발생하는 주요해충 및 천적을 조사한 결과, 해충은 13과 23종, 천적은 13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콩 파종 후 발생하는 초기해충은 씨고자리파리, 두줄박이애잎벌레, 파밤나방, 콩진딧물이었고, 개화기 및 꼬투리 형성기인 7 월 중순에서 8 월 상순에는 알락수염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풀색노린재, 가로줄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순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지속되었으며, 8 월 이후에는 나방류 해충인 콩나방, 콩잎말이명나방, 빗줄애기자나방, 은무늬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이 발생하였다. 천적으로는 기생성 천적 7 종, 포식성 천적 5종, 곤충병원균 1종이 발생하였다. 주요해충의 천적으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난기생봉 2종, 콩잎말이병나방 기생봉 2종, 담배거세미나방과 콩진딧물의 천적이 각각 5종씩 조사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기생봉 Gryon japonicum 과 Ooenyrtus nazarae는 국내 미기록종이며, 콩잎말이명나방의 Bethylidae는 국내 미기록과로 확인되었다.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난기생봉의 종류 및 기생율에 관한 조사연구 (Egg Parasitism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by Gonatocerus sp. and Paracentrobia andoi in Southern Rice Cultural Areas)

  • 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2
    • /
    • 1980
  • 본답후기인 8중-9상순에 걸쳐 끝동매미충 난에 기생하는 기생봉의 종류와 이들의 기생율을 남부 4개 지역에서 재래품종과 통일계통 품종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에 기생하는 실적으로 Gonatocerus sp. 2종과 Paracentrobia andoi 그리고 Anagrus sp. 1종 등 모두 4종의 난기생봉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2. 기생율 조사 결과 Gonatocerus sp.의 평균 난괴기생율과 난립기생율은 각각 $58.8\%$$41.0\%$였고 Paracentrobia andoi의 경우에는 각각 $6.2\%$$5.3\%$로서 Gonatocerus sp.가 Paracentrobia andoi의 기생율 보다 훨씬 높안 우점종을 이루어 있었으며 이들 두 종이 같은 난괴에 혼재하는 율은 $5.4\%$였다.

  • PDF

Carbofuran 입제의 처리방법 및 시기가 벼의 해충과 천적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sity Variation on the Natural Enemies and Rice Pests by Application Method and Time of Carbofuran Granules)

  • 김정부;조동진;하재규;장순덕;박영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3-236
    • /
    • 1984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농촌진흥원 해충 시험포장에서 Carbofuran 입제를 본답기에 2회 처리와 농가 관행방제인 살충제 9회 처리간의 벼 해충과 이들 천적의 밀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1. Carbofuran $3\%$ 입제를 기계이앙시 육묘상자 처리와 7월중순 수면 처리등 본답기에 2회만 처리하여도 벼의 주요해충인 멸구 매미충류, 나방류, 굴파리, 총채벌레등의 방제효과가 관행 방제인 살충제 9회 처리와 비등한 경향이었다. 2. 벼 해충의 천적인 거미류와 멸구류의 난기생봉(Anagrus sp.)의 밀도는 Carbofuran 입제 처리가 관행방제보다 2.4배 밀도가 높았다.

  • PDF

끝동매미충 난기생봉 (Paracentrobia andoi)에 관한 연구(I) (Studies an the Egg Parasite, Paracentrobia andoi Ishii (Hymenoptera : Trichogrammatidae) of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ticeps Uhler (1))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1
    • /
    • 1984
  •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21\%$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0\%$, 남해, 김해 및 진주는 $9.6\~29.2\%$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16.5\%$$36.7\%$였다.

  • PDF

수도(水稻)의 멸구 매미충(蟲) 천적(天敵)의 종류(種類) 및 이들의 기주선택성(寄主選擇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atural Enemy Complex of Plant-leafhoppers and Their Host Relationship in Rice Paddy)

  • 장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53-259
    • /
    • 1985
  • 수도(水稻)의 주요해충(主要害蟲)인 멸구매미충류의 천적(天敵)과 이들의 기주범위(寄主範圍)에 대한 선호성(選好性)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멸구매미충류에 기생(寄生)하는 주요천적(主要天敵)으로서 Anagus nr. flaveolus, Gonatocerus sp., Haplogonatopus atratus, Elenchus japonicus, Eudorylas, sp.등이었는데 이들은 대부분(大部分)의 멸구매미충에 모두 기생(寄生)하고 있었으며 특히 A.nr. flaveolus는 난기생봉(卵寄生蜂)으로서, Haplogonatopus atratus는 약충(若蟲) 기생천적(寄生天敵)으로서 애멸구의 주요천적(主要天敵)으로서 밝혀졌으며, Gonatocerus sp.는 끝동매미충의 중요(重要)한 난기생천적(卵寄生天敵)으로서, Eudorylas sp.는 반듯이 끝동매미충의 약충(若蟲)이나 성충(成蟲)에만 기생(寄生)하는 종(種)임을 알 수 있었다. 2. 포식성(捕食性) 천적(天敵)으로는 Nabis ferus, Cytorhinus lividipennis와 Mortonagrion selenion을 비롯한 실잠자리류(類) 그리고 Pirata subpiraticus 와 G-nathonarium dentatum 둥의 거미들이 있으며 N. ferus는 애멸구 약충(若蟲)에 C. lividipennis는 벼멸구의 포식천적(捕食天敵)으로서 유력(有力)한 종(種)이며 M. selenion과 p subpiraticus와 G. dentatum은 여러종류의 멸구매미충을 골고루 포식(捕食)하고 있었다. 3. 곤충(昆蟲) 병원균(病原菌)으로서 Entomophthora sp.는 각종 멸구매미충(蟲)에서 쉽게 볼 수 있었으며 Agamermis unka는 벼멸구에 기생(寄生)하는 녹충(綠蟲)으로서 지역(地域)이나 해에 따라서 많은 차이(差異)를 볼 수 있었다. 4. 멸구매미충류(蟲類)의 포식(捕食)논거미 중(中)에서 Pirata subpiraticus가 가장 유력(有力)한 종(種)으로서 알려졌으며 애멸구를 가장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펀 약충(若蟲)과 성충(成蟲)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먹이 선택성(選擇性) 실험결과(實驗結果) 성충(成蟲)보다는 약충(若蟲)을 뎌욱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끝동매미충 난기생봉(Gonatocerus sp. y)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 of Gonatocerus sp. y (Hymenoptera: Mymaridae), an Egg Parasite of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김정부;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8-165
    • /
    • 1984
  • 본 연구는 1982연과 1983년 끝동매미충의 난기생봉중에 우종인 Gonatocerus sp. y의 생태를 실내와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onatocerus sp. y의 난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평균발육기간은 $15^{\circ}C,\;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53일, 25일, 15일 및 12일이였다. 2.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15^{\circ}C,\;20^{\circ}C,\;25^{\circ}C$$30^{\circ}C$에서 각각 28개, 48개, 42개 및 32개였고 산란기간은 대부분 $1\~2$일 이내였으며 최고 산란수는 98개였다. 3. 성충의 우화는 전체의 $76\%$가 아침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 거의 우화하지 않았다. 4. 성충의 우화성비는 암수의 비율이 4 : 1인 것이 가장 많았다. 5. 성충의 수명은 물보다 꿀물을 먹이로 주었을 때가 현저히 길어졌으며 수컷보다 암컷이 다소 길어졌다. 그리고 꿀물을 주었을 때 암컷의 평균 수명은 $15^{\circ}C$에서 30일, $20^{\circ}C$에서 15일이였다. 6. 휴한답의 둑새풀에 산란된 끝동매미충 난에 대한 시기별 Gonatocerus sp. y의 기생율은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가장 높았다. 7. 휴한답에 있어서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 사이에 지역별로 조사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거창, 남지, 진주지방에서 $49.0\~59.5\%$, 남해, 김해지역에서 $23.2\~26.0\% $였다. 8.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대충(6월 하순경발생)과 3세대충(8월 하순경 발생)에 대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각각 $12.3\%$$24.6\%$였다.

  • PDF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ggregation Pheromone of Riptortus clavatus (Heteroptera: Alydidae) on the Occurrence of Egg Parasitoid, Gryon japonicum (Hymenoptera: Scelionidae))

  • 백채훈;강석민;전용균;이건휘;최만영;오영진;박정규;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7-72
    • /
    • 2009
  •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에 대하여 kairomone 으로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린재검정알벌의 기생률은 페로몬 트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의 위치가 0에서 15 m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노린재검정알벌의 유인거리는 약 15 m였다. 콩 포장조건에서 노린재검정알벌의 밀도는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 최대 발생시기를 보였고, 페로몬 트랩 설치수를 $165\;m^2$ 당 1개에서 3개로 증가함에 따라 기생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약제처리구에서 기생률이 비교적 매우 낮았다. 노린재검정알벌의 포장밀도에 대한 성비조사에서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