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 예방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섬망, 낙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dation, Delirium and Fall in Mental Illness Taking Psychiatric Drugs)

  • 박경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0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섬망 및 낙상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019년 3월10일부터 2019년 11월10까지 D시에 위치한 정신병원 2곳을 대상으로 정신과 간호사 4인이 정신질환자 총 149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정신질환자의 진정과 섬망(r=.587 p=<.001), 진정과 낙상(r=.273 p=.001), 섬망과 낙상(r=.390 p=<.001)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약물을 복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진정, 낙상, 섬망의 정도를 파악하고 진정과 낙상 및 섬망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정신약물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낙상과 섬망을 예방하고 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노년기의 낙상두려움이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Fear of Falling, ADL/I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 한지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2호
    • /
    • pp.183-202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과정모델을 이론적 토대로 하여 중노년기에 낙상두려움이 위험요인 혹은 악화요인으로써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고령화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2차 자료(2006년, 2008년, 2010년)를 이용하여 종단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낙상두려움은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ADL/IADL장애를 통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낙상두려움이 악화요인으로써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 결과, 중노년기에 신체질환의 경험과 함께 낙상두려움을 가진 경우에는 ADL/IADL장애발생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낙상두려움은 장애과정에서 있어서 위험요인이자, 악화요인으로써도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노년기의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낙상두려움 관련한 적극적인 개입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PDF

노인의 신체기능과 낙상두려움과의 관계 (Relation of the Physical Performance and Fear of Falls of the Elderly)

  • 윤은숙;안지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242-6249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신체기능과 낙상두려움간에 상호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의 관계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460명을 대상으로, 연구기간은 2014년 1월 3일부터 3월 30일까지이며,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동의한 노인에게 직접 설문지를 읽어주고 대상자가 대답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낙상에 관한 정보, 신체기능과 낙상두려움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지난 1년동안 낙상을 경험한 노인은 139명(30.2%)으로 조사되었다. 신체기능에서 한 발 들고 균형 잡고 서 있기, 협응성 유연성 검사, 보행능력 검사가 낙상두려움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변수의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6.9%이고 낙상 두려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앉았다 일어서기 검사, 보행능력 검사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낙상 예방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노인의 낙상 요인 연구 (Risk Factors of Falls among Korean Elderly)

  • 염지혜;나항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77-592
    • /
    • 2012
  •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노인의 인구사회학적요인, 보조기구사용, 신체건강상태, 정신건강상태, 건강행태 중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제 1차와 제 2차 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6년 제 1차 조사시점에서 만 65세 이상의 참여자를 기준으로 제 1차 조사와 제 2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응답자만(N=3,311)을 선택했으며 2008년 제 2차 조사 자료에서 낙상경험을 종속변수로 추출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들, 신체기능 및 질병유무, 건강행태 등에 대한 변수들은 시간의 선행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1차 조사로 부터 변수들을 추출했다. 분석방법으로는 변수에 따른 낙상경험 차이가 존재하는지 밝혀내기 위해 x2 혹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들이 낙상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성, 동거인여부, 거주지역, 보조기구사용, 질병의 수, 우울, 운동 및 흡연 여부에 따라 낙상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모든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여성, 청각보조기구사용자, 질병수가 2가지, 3가지 이상일 때, 우울이 있는 사람과 운동을 주 5회 이상 하는 응답자의 낙상경험 오즈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증가하였다. 반면 비만, 치매의심, 현재흡연자의 낙상경험 오즈는 준거카테고리에 비해 더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질병수 3가지 이상과 우울이 있는 사람의 낙상경험 오즈는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2배 이상 높았기 때문에 낙상예방에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신체건강상태와 정신건강상태 모두 낙상과 관련이 있으므로 재가노인들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갖고 있는 노인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낙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tago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Fall Prevention in Disabled Elderly)

  • 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5-352
    • /
    • 2020
  • 본 논문은 장애 노인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낙상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기능과 자신감 회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총 30명으로, 두 그룹으로 할당하여, 실험군 17명, 대조군 13명이었다. 오타고 운동군에게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2회 각 50분씩 시행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근력, 균형, 유연성과 낙상효능감 변수는 오타고 운동 전과 12주간 오타고 운동 중재 후에 낙상효능감, 낙상횟수와 신체적 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징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두 그룹간의 분석은 독립 T 검정을 하였고, 두 그룹내 분석은 대응 T 검정를 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기능 변화에서 하지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1), 대조군은 하지근력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정적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유연성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대조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적 균형의 변화는 실험군에서 유의한 증진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의 동적 균형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 실험군은 약간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은 유의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오타고 운동 프로그램이 장애노인 낙상예방에 대한 신체적기능과 낙상효능감을 증진시켜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다중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한 낙상 및 방향 감지 (Fall and Direction Detection Using Multiple Cameras and Sensors)

  • 전인수;소다영;김초명;김중연;남윤영;문지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191-192
    • /
    • 2024
  • 고령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고령자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는 주요한 관심사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들 사이에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 사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것은 고령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8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센서 데이터를 통합한 낙상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MediaPipe를 활용하여 Skeleton Keypoint를 추출하는 이미지 인식 기법과 센서 데이터에서 얻은 특징을 활용하는 센서 기반 기술을 결합하여 낙상 사고의 발생 및 방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고령자들의 생활 안전성과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입원 아동의 낙상 위험 예측 도구 (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 신현주;김영남;김주희;손인숙;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15-224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입원 환아의 낙상위험 요인을 확인하여 낙상위험 예측도구를 개발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문헌고찰과 서울시내 1개 어린이 병원에 2006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3년 8개월 동안 입원한 환아 중 낙상한 경험이 있는 환아 48명 전체와 2009년 5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한 달 동안 입원한 환아 중 낙상 경험이 없는 환아 149명을 비교한 자료를 바탕으로 낙상위험요인 8개를 추출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한 위험요인 5개를 확인하였다. 8개 문항과 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실제 낙상을 경험한 군과 비낙상군을 비교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입원 환아의 낙상 발생 위험의 유의한 예측 요인은 다음의 5가지였다. 연령은 3세 미만인 경우 3.00배, 뇌신경질환 진단이 있는 경우 2.41배, 활동 및 기능은 도움이 필요한 경우 3.18배, 신체발달은 정상인 경우에 7.09배, 위험약품 처방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3.475배로 낙상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개 문항의 경우 12점 이상을 고위험으로 보았을 때 민감도는 76.6%, 특이도는 30.3%였으며, 5개 문항의 경우 7점 이상을 고위험으로 보았을 때 민감도는 93.6%, 특이도는 16.2%로 나타났다. 결론 입원환아의 낙상위험예측도구로서 8개 문항과 5개 문항의 도구 모두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는 낮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낙상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을 감안하면 특이도는 낮지만 민감도가 높으므로 임상현장에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재가 노인의 낙상위험평가 (Fall Risk Assessment (FRA) of Korean community-dwelling elderly)

  • 신소희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95-902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이 입증된 낙상위험평가 설문항목의 진단 정도와 평가기준을 검토하여 지역 재가 노인의 낙상고위험군을 진단하고 개인별 낙상리스크 프로파일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S시, U시, B시, Y시 거주 우리나라 지역 재가 노인 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평균연령 75.0±5.7세). FRA의 낙상위험진단정도와 평가기준을 검토하기 위해 ROC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FRA의 하위요인인 '낙상잠재성', '질병과 신체증상', '환경' 및 '신체기능'의 4가지 하위 요인은 지역재가노인의 낙상 위험을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감도와 특이도 결과를 바탕으로 요인별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낙상하위요인별 패턴을 분석한 결과 낙상 고위험군의 경우 두 가지 요인 이상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노인이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FRA의 4가지 하위 요인은 낙상위험정도를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개인별 낙상위험프로파일을 제시할 수 있어 우리나라 지역 재가 노인의 낙상예방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골다공증 여성의 골절위험도와 낙상예방행위와의 관계에 미치는 낙상위험지각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Fall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Women with Osteoporosis)

  • 이은남;최은정;장문정;황현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fall prevention behavior improvement program by verifying the associations between fracture risk, fall risk perception,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women with osteoporosi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in 122 women who were diagnosed as osteoporosis by having T-score of the femur bone density below -2.5 standard deviation from the bone density examination performed in 2 orthopedic clinic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between July 2014 and September 2014. The risk of fracture, level of fall risk perception,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were measured. Results: Fall risk percep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ure risk and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women with osteoporosis. Conclusion: The perception of fall risk is important to enhance fall prevention behaviors in women with osteoporosi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awareness of fall risk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