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낙상경험노인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빈곤층 노인여성의 노인증후군 관련요인 분석 (The Relationship Factors Geriatric Syndrome of the Elderly Women in Poverty)

  • 황혜정;이무식;김남송;나백주;배석환;노영수;홍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69-672
    • /
    • 2010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취약한 노인여성과 노인증후군 관련요인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을 규명하여 취약한 노인 여성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시 효율적인 방안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전국 보건소에 등록된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 중 동의된 65세 이상 노인여성 1,350명을 선정하여 훈련된 조사원이 직접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충분한 29명을 제외한 1,32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 t-검정, ANOVA, 사후검정은 Tukey를 이용하였으며, 유의한 변수들을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허약과 관련 있는 노인증후군위험요인은 우울, 요실금, 낙상력, 일상적 수행활동(ADL)으로 나타났다(p<0.05). 둘째, 허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75세 이상의 고령일수록, 우울과 요실금의 증상이 있을 때, 최근 낙상경험이 있을 때 허약의 증가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노인증후군의 위험요인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평생 동안 담배를 5갑 이상 피웠을 때, 당뇨병이 있을 때로 나타났다(p<0.05). 이상 결과를 볼 때, 취약 노인 대상으로 노인증후군, 허약의 향상을 위해서는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뿐 만 아니라 체계적인 근력강화 운동 및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충분한 확대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낙상경험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능력, 하지근력, 인지기능 및 시각기능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Experience of Falling in Community Resident Elderly Koreans)

  • 송경애;최동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1-229
    • /
    • 2007
  •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and experiences of falling in Korean elder who are residents in the community.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51 participants aged 65 or more, who were ambulator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several physical function measurement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IADL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and living situation. The leg muscle strength of the eld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nd were also related the risk of falling. Cognitiv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Visual acuity and depth percep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marital status. Conclusion: Demographic variables and experience of falling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related to IADL, leg muscle strength, cognitive and visual function of elders. Further study with a larger and nation-wide sample is neede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elders.

  • PDF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경험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Falls among the Aged in Community)

  • 김선경;김종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7-23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 of fa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aged in community. Metho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d by the raw data is based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08. The subjects consisted of 73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falls and of randomized 73 persons who inexperienced falls among 3755 the aged over the age of 65, living in Chung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Result: Most of accidents and poisonings were caused by slide/falls, and took place at home. Especially women experienced falls at home. Lower extremities were the most injured area.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wo groups: inexperienced group and experienced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falls were related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o it is necessary to give information about falls in the aged and further study.

시각되먹임 균형훈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Fallers)

  • 이선우;이경진;송창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27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biofeedback, on th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 Methods: Fifty on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6-88 years) with a recent history of fall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to an experimental group (EG, n=25) and to a control group (CG, n=26). The EG participated in training sessions three times/week for 6 weeks.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with the a computerized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screen was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ic balance (center of gravity) and dynamic balance (Functional reach test, Timed "Up & Go" test, Berg balance scal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end of training.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demonstrated within the EG (p<.05), but not in the CG. Conclusion: Visual feedback-based balance training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ostural balance of elderly fallers.

지역사회 일반 및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기능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Functional Health Statu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of General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Community)

  • 오두남;정효선;황정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04-414
    • /
    • 2021
  • 최근 고령 사회에서는 지역사회중심의료로의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각각에 대해 기능중심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및 요구 인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일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노인의 건강기능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를 파악하였다. 취약계층 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인지기능, 영양, 통증, 낙상 등에서 기능적 건강상태 저하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영양과 같은 기능적 건강문제를 경험한 일반 노인은 취약계층보다 유의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약계층 노인은 통증 건강문제 영역에 있어서는 일반 노인보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필요성을 더 유의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 서비스 확대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 일반 노인과 취약계층 노인 간에는 차별화된 정책이 설정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적 장벽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이용의 장애가 초래되지 않도록 공공의료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경로당 이용 노인의 낙상경험과 낙상 예측요인 (Experience of Falls and Predi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at Senior Citizens' Centers)

  • 유인영;최정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2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falls, the fear of falling and fall efficacy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at senior citizens' cente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elders who used senior citizens' centers in Chungcheongbuk-do,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6 through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 Of the elderly sampled, 35.8% experienced falls during the last 1 year. Of falls experienced by the elderly, 53% occurred indoors, 47% outdoors, 15.8% in the bathroom or toilet. In addition, 57.8% of the elderly had injuries on the hip and waist related with falls. The fear of falling was higher in those with experience in falls than in those without. Factors affecting the elders' falls were age (OR=1.113, 95% CI=1.012-1.224),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OR=2.342, 95% CI=1.365-4.019) and the fear of falling (OR=4.279, 95% CI=1.901-9.634). The predictor of the frequency of falls was fall efficacy ($R^2=24.9$). Conclusion: As a result, it is essential to develop fall pre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fear of falling, fall efficacy, chronic diseases and medication state. And in senior citizens' centers, fall prevention safety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as a health promotion program.

  • PDF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하지 분절 각도와 근전도 차이 (Differences in Angle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Electromyography of Elderly Women Experienced a Fall)

  • 전경규;박광동;박세환;강영석;김대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5-255
    • /
    • 2009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노인 20명을 각각 10명씩 연령으로 집단을 구분하고 보행 시 하지관절의 협응 능력을 분석하여 운동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불안정적인 측면의 요소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행 시 하지관절의 균형에 대한 기전과 차이를 동작분석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행 시 고관절의 움직임에서 연령증가로 인해 충분하지 못한 지지역할로 보행자세가 저하되어 안정적 이지 못한 패턴을 보였다. 둘째, 무릎관절의 움직임에서 좌우측의 보행패턴이 상이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발목관절의 움직임에서 연령증가와 함께 활보패턴이 비정상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행 시 하지 주요근육의 활성정도에 대해 대퇴직근과 대퇴이두근은 무릎의 굴곡을 막기 위해 근수축 활성이 증가되어 전진하는 전기적 특성을 보였고, 전경골근과 내측비복근은 이동 시 높은 전기적 수요를 나타내어 저측굴곡의 비율을 줄여 보행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Factors Affect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 오두남;김선호;정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58-368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 신체활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 주관으로 실시되는 전국적 조사인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료에 결측값이 없는 12,322명이었다. 연구결과 29.9%의 남성 노인과 46.4%의 여성 노인이 신체 비활동군으로 분류되었다. 남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44, p<.001), 교육수준(OR=1.17, p=.026), 거주지역(OR=1.19, p=.016), 주관적 건강(OR=2.18, p<.001), 만성질환 유무(OR=1.23, p=.020), 통증유무(OR=1.24, p=.011), ADL(OR=1.86, p<.001), 낙상두려움(OR=1.26, p=.003), 우울(OR=1.78, p<.001)이었고,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54, p<.001), 주관적 건강(OR=1.63, p<.001), 통증 유무(OR=1.45, p<.001), 낙상경험 유무(OR=1.24, p=.001), ADL(OR=1.72, p<.001), 우울(OR=1.46, p<.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노인의 성별 특성에 부합하는 신체활동 전략 및 프로그램 계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허약노인을 위한 방문재활 프로그램의 장애발생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Visiting Prehabilitation Program against Functional Decline in the Frail Elderly: A Prospective Randomized Community Trial)

  • 김창오;이희연;호승희;박현숙;박철우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93-1309
    • /
    • 2010
  •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장애발생예방을 위하여 개발된 지역사회 방문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허약노인 대상의 방문재활사업이 공공부문의 보건기관에서 실제 수행될 수 있도록 그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등록된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들 중 110명의 허약노인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무작위 방식으로 실험군(n=50)과 대조군(n=60)으로 나뉘어, 이 중 실험군은 3개월 동안 상·하지 근력강화, 보행능력 강화, 균형능력증진 등에 초점 맞추어진 허약노인 방문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였고, 대조군은 가정방문을 통한 낙상예방교육을 받게 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1차 결과지표로서 신체기능척도, 간이신체기능 평가를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측정하였고, 그밖에 운동수행능력검사, 영양지표, 정서기능, 입원 및 낙상경험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방문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에서 신체기능척도와 간이신체기능평가 등 주요 노인기능지표의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신체기능척도에 대해서 실험군은 1.3 ± 3.8점의 상승이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1.1 ± 5.4점의 감소가 있었다 (p=.020). 간이신체기능평가에 대해서도 실험군은 2.4 ± 2.0점의 상승이 있었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0.3 ± 1.5점의 상승만이 관찰되었다 (p<.001). 그밖에 허약노인을 위한 방문재활 프로그램은 운동수행능력, 정서기능, 반복낙상 횟수 및 낙상 후 기능저하 발생에 대해서도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p .002-.038). 향후 우리나라 노인들의 장애발생을 예방하고 이로 인한 중증 장기요양단계로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하여 허약노인 대상의 방문재활 프로그램과 이에 근거한 건강관리사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확대·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재가 노인의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신체적 기능과 정서 상태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the Elderly those who Experienced a Fall or not)

  • 장정미;강현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8-57
    • /
    • 2004
  • Introduction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func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in the elderly caused by a fall. Method :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urvey. Its subjects consisted of the 299 elderly over 65 yea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0.0 program package.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score for AD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2)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3) Lapse of the motion sitting and standing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fall group. 4) One-leg-standing time with the eyes open and closed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fall group. 5) Return time of 3m walk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fall group. 6) The score for dizz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ll group. 7) The score for fear for a fall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all group. 8) The score for falls efficac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ll group. Conclusion: ADL, muscle strength, balance, dizziness, fear for a fall, falls efficacy and depression turned out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fall of the elderly.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develop and applicate the fall prevention program regarding these above risk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