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2.02.07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affecting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The data was analyzed on 12,322 older adults, aged 65 or above, from the 2008 National Elderl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9.9% of older men and 46.4% of older women were classified as physically inactivity. Second, age(OR=1.44, p<.001), education(OR=1.17, p=.026), location of residence(OR=1.19, p=.016), perceived health status(OR=2.18, p<.001), chronic disease(OR=1.23, p=.020), pain(OR=1.24, p=.011), ADL(OR=1.86, p<.001), fear of fall(OR=1.26, p=.003), depression(OR=1.78, p<.001) predicte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older men. Age(OR=1.54, p<.001), perceived health status(OR=1.63, p<.001), pain(OR=1.45, p<.001), falling experience(OR=1.24, p=.001), ADL(OR=1.72, p<.001), depression(OR=1.46, p<.001) predicte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older women.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helpful to develop effectiv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 신체활동 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자료는 보건복지가족부 주관으로 실시되는 전국적 조사인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료에 결측값이 없는 12,322명이었다. 연구결과 29.9%의 남성 노인과 46.4%의 여성 노인이 신체 비활동군으로 분류되었다. 남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44, p<.001), 교육수준(OR=1.17, p=.026), 거주지역(OR=1.19, p=.016), 주관적 건강(OR=2.18, p<.001), 만성질환 유무(OR=1.23, p=.020), 통증유무(OR=1.24, p=.011), ADL(OR=1.86, p<.001), 낙상두려움(OR=1.26, p=.003), 우울(OR=1.78, p<.001)이었고, 여성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OR=1.54, p<.001), 주관적 건강(OR=1.63, p<.001), 통증 유무(OR=1.45, p<.001), 낙상경험 유무(OR=1.24, p=.001), ADL(OR=1.72, p<.001), 우울(OR=1.46, p<.001)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가 노인의 성별 특성에 부합하는 신체활동 전략 및 프로그램 계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WHO,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s, WHO, 2009. http://www.who.int/ 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GlobalHelath Risks_report_full.pdf.
  2. 박연환,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대한간호학회지, 제37권, 제1호, pp.5-13, 2007.
  3. C. Browning, J. Sims, H. Kendig, and K. Teshuva,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J Allied Health, Vol.38, No.1, pp.8-17, 2009.
  4.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55-266, 2010.
  5. Department of Health, On the state of public health : Annual report of the Chief Medical Officer 2009, Department of Health; London, 2010.
  6. B. C. Martinson, A. L. Crain, N. P. Pronk, P. J. O'Connor, and M. V. Maciosek,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short-term changes in health care charges: a prospective cohort of older adults," Preventive Medicine, Vol.37, No.4, 2003.
  7.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8, 질병관리본부, 2009.
  8. 양윤준, 윤영숙, 오상우, 이언숙, "2001 국민건강 영양조사에 의한 우리나라 성인의 신체활동도", 가정의학회지, 제26권, 제1호, pp.22-30, 2005.
  9. 박승미, 박연환, "재가 노인의 신체활동 예측요인: 도시노인과 시골노인의 차이",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191-201, 2010.
  10. J. P. Hughes, M. A. McDowell, and D. J. Brody,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mong US adults 60 or more years of age: results from NHANES 1999-2004," J Phys Act Health, Vol.5, No.3, pp.347-358, 2008. https://doi.org/10.1123/jpah.5.3.347
  11. W. K. Mummery, G. Kolt, G. Schofield, and G. McLean, "Physical activity and other lifestyle behavior in older New Zealanders," J Phys Act Health, Vol.4, No.43, pp.411-422, 2007.
  12. 보건복지부, 계명대학교산학협력단,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전국 노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보건복지부, 계명대학교산학협력단, 2009.
  13. M. T. Ferreir, S. M. Matsudo, M. C. Ribeiro, and L. R. Ramos, "Health-related factors correlate with behavior trends in physical activity level in old age: longitudinal results from a population in Sao Paulo, Brazil," BMC Public Health, Vol.10, p.690, 2010. https://doi.org/10.1186/1471-2458-10-690
  14. S. Wilcox, M. Bopp, L. Oberrecht, S. K. Kammermann, and C. T. McElmurray, "Psychosocial and perceived environmental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and older african american and white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Vol.58, pp.329-337, 2003. https://doi.org/10.1093/geronb/58.6.P329
  15. 왕명자,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 회지, 제21권, 제1호, pp.101-109, 2010.
  16. B. Sanderson, M. Littleton, and L. Pulley, "Environmental, policy,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mong rural, African American women," Women & Health, Vol.36, pp.75-90, 2002.
  17. 문현정, 이인숙, "만성질환이 있는 한국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비교", 노인간호학회지, 제 13권, 제2호, pp.120-130, 2011.
  18. 김남희, 노인의 신체활동 모형구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9. 김윤혜, 수도권 거주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무에 따른 식생활 실태 및 영양상태 비교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차보경, 박창승, "만성통증이 있는 노인의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통증, 일상생활방해 및 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62-172, 2011.
  21. 이주현, 안은미, 김계은, 정유경, 김정현, 김지혜, 이건아, 임세진, 정소원, "한국 농촌지역 노인에서 낙상 경험과 낙상 두려움이 일상활동 제한에 미 치는 영향", 대한노인병학회지, 제13권, 제2호, pp.79-88, 2009.
  22. A. E. Mathews, S. B. Laditka, J. N. Laditka, S. Wilcox, S. J. Corwin, R. Liu, D. B. Friedman, R. Hunter, W. Tseng, and R. G. Logsdon, "Older adults' perceived physical activity enablers and barriers: A multi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18, pp.119-140, 2010. https://doi.org/10.1123/japa.18.2.119
  23. 최명애, 김증임, 채영란, 전미양, 유정희,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 관련 요인들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99-106, 2004.
  24. M. L. Booth, N. Owen, A. Bauman, O. Clavisi, and E. Leslie, "Social-cognitive and perceived environmental influences associated physical activity in older Australians," Preventive Medicine, Vol.31, pp.15-22, 2000. https://doi.org/10.1006/pmed.2000.0661
  25. J. G. Chipperfield, N. E. Newall, L. P. Chuchmach, A. U. Swift, and T. L. Haynes, "Differential determinants of men's and women's everyday physical activity in later life,"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Vol.63, No.4, pp.211-218, 2008. https://doi.org/10.1093/geronb/63.4.S211
  26. 오지연, 양윤준, 김병성, 강재헌, "한국어판 단문형 국제신체활동설문(IPAQ)의 신뢰도와 타당도", 가정의학회지, 제28권, 제7호, pp.532-541, 2007.
  27.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uid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IPAQ) : Short and long forms, http://sites.google.com/site/theipaq/scoring-protocol
  28.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신호철, 조비룡, 오장렬, 윤도경, 이홍준, 이영수, "한국형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노년학, 제6권, 제2호, pp.107-120, 2002.
  29. 이동영, 이강옥, 이정희, 김기웅, 주진형, 윤종철, 김성윤, 우성일, 우종인,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한국 노인 정상규준 연구", 한국신경정신학회지, 제41권, 제3호, pp.508-525, 2002.
  30. 정영미, 김주희, "동거유형에 따른 노인의 인지 기능, 영양상태, 우울의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95-503, 2004.
  31. 이영희, 최미경,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활동도와 낙상 두려움, 우울, 신체기능",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51-362, 2011.
  32. 유광욱, 원유병 "노인들의 신체활동 유무, 부적 정서, 경제적 수준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97-205, 2010.
  33. 장숙랑, 조성일, 오상우, 이언숙, 백현욱, "한국어판 낙상효능 척도와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노인병학회지, 제7 권, 제4호, pp.255-268, 2003.

Cited by

  1. Effects of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Fall Prevention Self Efficacy and Fall Prevention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wareness vol.15, pp.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33